Skip to content

(*.109.120.147) 조회 수 1972 추천 수 157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월령 17일이라 딱히 주제로 삼을만한 대상이 많지 않았습니다. 위 사진은 위난의 바다 동쪽벽을 확대해 본 모습으로 사진 우측 하단의 큼지막한 크레이터 이름이 Condorcet 이라고 되어 있네요. 아래 사진은 풍요의 바다 한 가운데 나 있으면서 볼 때마다 꼭 혜성을 연상시키는 메시에A 를 게인 듬뿍 낮추고 바라본 것입니다. 볼품도 없고 재미도 없는 사진이어서 따로 올리기 죄송해서 한꺼번에 올려 봅니다. 어서 달의 고도가 높아졌으면 좋겠습니다.

사진 1: 2006년 8월 11일 새벽 1시 42분 51초~42분 40초
사진 2: 2006년 8월 11일 새벽 1시 40분 21초~41분 10초
충남 아산
ALPO Seeing Scale: 7/10, Transparency: 4/10
Takahashi μ-300 (12-inch Dall-Kirkham, F11.9) at F23.8 using TeleVue Powermate x2
Lumenera LU075

다음은 Messier 와 Messier A 에 대한 간략한 설명입니다.

풍요의 바다(Mare Fecunditatis) 복판에 위치하고 있는 매우 독특한 모양새의 한 쌍의 크레이터입니다. 동쪽의 크레이터(위 사진에서 좌측 하단의 작고 밝은 타원형의 크레이터)가 Messier, 그리고 그로부터 서쪽으로 20km 남짓 떨어져 있는 크레이터(위 사진에서 Messier의 1시 방향으로 근접해 있는 크레이터)가 Messier A입니다. Messier A로부터 나 있는 빛줄기는 풍요의 바다를 가로질러 무려 120km나 서쪽 방향으로 뻗어 있어 마치 혜성을 연상시킵니다.

Messier는 통상적인 크레이터와는 달리 타원형으로서 깊이 1,250m, 장경 11km, 단경 8km로 알려져 있습니다. Messier A는 옛날에는 Pickering이라고 불리웠던 것으로 11x13km로 Messier보다 약간 더 큽니다. Messie A는 얼핏 하나로 보이지만 위 사진을 자세히 들여다 보면 Messier A의 서쪽 벽 부분(사진 상 12시 방향)이 두 겹으로 되어 있는 듯한 기분을 느낄 수 있습니다. 아폴로 오비터가 촬영한 근접사진을 보면 좀더 분명해 지는데, 오래된 크레이터 위에 새로운 크레이터가 오버랩 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Messier A의 동쪽 벽은 매우 밝고 가파른 반면 서쪽 벽은 상대적으로 어둡고 완만해 보입니다.
http://www.maa.agleia.de/Messier/E/Xtra/m-crat1.html

어떻게 이와 같은 모양새가 되었을까요? 확실치는 않으나 운석이 달의 지평선과 4도 이내의 매우 얕은 각도로 충돌한 결과로 추정되어지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먼저 Messier가 만들어졌고 동일 운석의 파편에 의해서 Messier A와 이어 서쪽으로 긴 빛줄기가 생성되었을 것이라는 가설입니다. 한 연구에 의하면 운석의 충돌 당시 속도가 대략 1.7km/s였다면 이와 같은 결과를 낳았을 것이라는 것을 실험을 통해 증명하였습니다.
  • 박성준 2006.08.12 09:11 (*.136.156.253)
    위난의 바다 이미지는 달의 지형을 정말 입체적으로 보여주는군요!
  • 윤홍선 2006.08.12 10:14 (*.109.120.147)
    말씀하신 대로 월면의 가장자리가 입체적이긴 한데 왠지 시상의 영향을 훨씬 더 많이 받는 것 같이 보이더군요. 멀미 유발 가능할 것 같습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글쓴이
444 Moon 051211_plato 5 file 2005.12.12 1258 최승용
443 Moon 051211_tycho 4 file 2005.12.13 1394 최승용
442 Moon 060216_moon_55 6 file 2006.02.17 1900 최승용
441 Moon 060810_moon_35i 8 file 2006.08.11 2630 최승용
440 Moon 060812_moon 5 file 2006.08.17 1962 최승용
439 Moon 060812_moon_10_collection 15 file 2006.08.17 2719 최승용
438 Moon 061102_moon 9 file 2006.11.04 2919 최승용
437 Moon 080126-Moon 3 file 2008.01.28 2317 박정용
436 Moon 080601_27.0달의 월출 10 file 2008.06.02 2391 김호섭
435 Moon 080823_moon 8 file 2008.08.25 2030 최승용
434 Moon 080823_Moon detail 11 file 2008.08.25 2615 황인준
433 Moon 10 월 4일 목동 ( PM 10 : 20) 3 file 2006.10.04 1675 추현석
432 Moon 10월15~16 분당번개 6 file 2003.10.16 963 이경화
431 Moon 11-12 달 & 토성 3 file 2003.11.12 1140 박현권
430 Moon 11/14일 보름달(슈퍼문) 입니다. file 2016.12.10 116 김도익
429 Moon 11/8일 (월령 8.0일) 달 조준해봅니다. 2 file 2016.11.13 117 김도익
428 Moon 11월 21일, 22일 달... 9 file 2004.11.22 907 박영식
427 Moon 11월 22일 달 4 file 2004.11.23 1282 박영식
426 Moon 11월11일 하현 9 file 2006.11.15 2052 김영렬
425 Moon 12/6일에 찍은 월령 6.4일 달 입니다.. 5 file 2016.12.10 64 김도익
424 Moon 120604_partial lunar eclipse 4 file 2012.06.05 902 최승용
423 Moon 130219_alpes valley 1 file 2013.02.22 962 최승용
422 Moon 130219_moon file 2013.02.21 1090 최승용
421 Moon 130414_moon_24P 3 file 2013.04.15 743 최승용
420 Moon 13개월 보름달농사 2 file 2013.03.06 847 김호섭
419 Moon 14.10.11 moon 6 file 2014.10.11 839 김종호
418 Moon 14.4.7 Moon 8 file 2014.04.08 924 김종호
417 Moon 15.2.27 moon 5 file 2015.02.27 417 김종호
416 Moon 15.3.29moon 10 file 2015.03.31 390 김종호
415 Moon 150530_moon_14 com 4 file 2015.06.01 142 최승용
414 Moon 150828_moon 5 file 2015.08.29 143 최승용
413 Moon 151130_moons 6 file 2015.12.01 196 최승용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 Next
/ 18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