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Moon
2004.12.21 20:19

Cophernicus

(*.103.11.123) 조회 수 847 추천 수 7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확대해서 찍어보려고 했는데 너무 울렁거려서 포기했습니다. 구름 사이로 찍은 거라 여전히 좀 부족하군요.
K2 OBSERVATORY
12/21 8PM KST, C8, EQ-5, Baader UV/IR Filter
10FPS, 1/100Sec, 770장 합성
포샵에서 커브와 색조 조정
즐감하세요.

다음은 고 전재규님의 홈페이지에 있는 코페르니쿠스 설명입니다.

------------------------------------------------------------------------------------

직경 93㎞, 깊이 3800m. 연령이 8.1억 년 밖에 안된 젊은 크레이터. 보존 상태가 아주 좋아서, 월면에서 크레이터의 가장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비의 바다가 폭풍의 대양과 만나는 곳에 위치해 있으며, 어두운 바다를 배경으로 아주 뚜렷하게 나타나는 밝은 광조를 갖고 있다.
월령이 보름일 경우에 가장 두드러지는 이 광조는 코페르니쿠스로부터 별이 폭발한 것처럼 사방으로 수백 ㎞까지 뻗어 있다. 중앙에 있는 3개의 산봉우리는 7배 정도의 쌍안경을 사용해도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사실, 광조에 있어서 티코와 대적할 만한 크레이터는 코페르니쿠스밖에 없다. 코페르니쿠스의 광조는 운석이 달에 충돌하여 코페르니쿠스가 생성될 때, 밝은 색조를 띤 고지대의 물질들이 어두운 바다 위로 흩뿌려져서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티코에서와 같은 어두운 헤일로(halo)가 존재하지 않아도 밝게 빛날 수 있는 것이다. 티코의 광조는 사방으로 쭉쭉 뻗어 있는 형태인데 비해서 코페르니쿠스의 광조는 거미줄이나 깃털처럼 복잡하게 뒤얽힌 모습이다.
특기할 만한 것으로 코페르니쿠스의 남동쪽에는 고리 모양으로 생긴 두 개의 타원형 광조가 있는데, 큰 것이 작은 것을 둘러싸고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코페르니쿠스의 바닥은 북서부가 비교적 평탄한데 비해서 남동부는 상대적으로 지형이 거칠다. 코페르니쿠스의 바로 동쪽에는 지름 69㎞의 스타디우스 Stadius가 있다. 크레이터라고는 하지만 원형(原形)이 거의 완전히 파괴되어 흔적만이 남아 있을 뿐이다.
  • 최승용 2004.12.22 14:35 (*.255.216.142)
    동지날의 저의 거의 같은 시간대의 코페루니쿠스군요.
    구름이 많아서 저도 힘들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글쓴이
156 Moon 8 file 2009.03.10 1846 박대영
155 Moon 4월16일 보름달 포토샵공부해서 가공해보았습니다. 2 file 2003.05.05 1847 김영혜
154 Moon 정월대보름달_060212_중계동 7 file 2006.02.13 1850 신범영
153 Moon 달 - 2003년 4월 14일 3 file 2003.04.15 1854 이경화
152 Moon 달 2006년 8월 12일 6 file 2006.08.14 1861 이건호
151 Moon 월령 11일 4 file 2010.03.29 1880 권기식
150 Moon Moon101022 Sun101023(햇님 달님) 3 file 2010.10.23 1880 김영렬
149 Moon 쿼드러플_081231 5 file 2008.12.31 1881 김호섭
148 Moon 옅은 구름속에서 촬영한 슈뢰터계곡 file 2005.03.23 1882 남기현
147 Moon 광덕산 한가위 보름달 3 file 2008.09.15 1895 신범영
146 Moon 하현달입니다. 6 file 2006.11.14 1897 신병석
145 Moon Autour de la Lune 8 file 2009.06.13 1898 박성래
144 Moon 060216_moon_55 6 file 2006.02.17 1900 최승용
143 Moon 4 file 2009.12.01 1910 임재식
142 Moon 030513 Schickard, Hainzel, Schiller 와 달의 남동부 file 2003.05.18 1945 황인준
141 Moon Moon-041031 7 file 2004.11.01 1958 박정용
140 Moon 060812_moon 5 file 2006.08.17 1962 최승용
139 Moon 무심코 찍어본 moon 4 file 2008.10.10 1962 이상희
138 Moon Petavius 8 file 2006.05.03 1968 윤홍선
137 Moon 위난의 바다 동쪽벽. 메시에A 2 file 2006.08.11 1972 윤홍선
136 Moon Werner인근 file 2003.07.01 1980 남명도
135 Moon 초승달 10 file 2007.12.16 1982 강문기
134 Moon MT-200 firstlight 2 file 2010.03.08 1991 박영식
133 Moon 2006년 5월 8일 달 - 클라비우스(Clavius) 1 file 2006.05.09 1995 남기현
132 Moon 새해 첫 달 (하현) 9 file 2008.01.02 2001 강문기
131 Moon 2009 기축년 첫 만월~~ 5 file 2009.01.11 2022 조용현
130 Moon 개기월식(지구 그림자 구하기) 6 file 2014.10.10 2024 신범영
129 Moon 080823_moon 8 file 2008.08.25 2030 최승용
128 Moon Clavius file 2003.04.08 2033 박병우
127 Moon 11월11일 하현 9 file 2006.11.15 2052 김영렬
126 Moon Moonage22 7 file 2009.02.18 2059 황인준
125 Moon 030513 달의 북쪽 4 file 2003.05.14 2070 김상욱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Next
/ 18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