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Moon
2016.09.20 14:37

시상 좋았던 달....

(*.32.14.169) 조회 수 9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관측 후기...

telescope : istar-optical h-alpha lens 150/f10

cameras: zwo174mm, meade 5x extender

mount : eq6 pro

filter : erf filter

location: South Korea...

date: 2016.9.20  

시상과 투명도가 아주 좋은날이었습니다.

안시로도 즐길만한 날씨여서 쌍안장치로 이리저리 달위를 떠다니는듯한 착각속에 있었던 것 같습니다.



레이터- JANSSEN

지름-191km

유래-Jules Janssen  쟝센. 1824년-1907년 프랑스 출신 천문학자

         어린시절 사고로 절름발이가 됨..파리대학교 공부

         1868년 일식이 일어나지 않아도 태양의 홈염을 관측할수 있는 방법을 발견

         1870년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으로 파리가 포위..열기구를 타고 일식이 일어나는 아프리카로 탈출성공. 구름에 일식관측은 실패.

         1876년 프랑스 파리천문대 초대대장

         1893 자신이 몰블랑에 설치한 기상관측소에서 태양의 스펙트럼에 강한 산소선은 지구의 산소때문에 생긴다는것을 발견

         1904 태양 6000장의 사진을 담은 태양사진도감 출간

        


크레이터-FABRICIUS

지름-78km

유래-


독일의 신학자 겸 천문학자로 고래자리에서 변광성 미라(Mira)를 발견한 사람

흑점의 이동을 관찰하여 태양자전을 입증

에센스(Esens)에서 출생하여 신학을 공부했다.

1596년 고래자리에서 밝기가 변하는 별을 발견

1610년까지 계속 관측한 결과 그 별이 11개월의 주기로 변하는 변광성임을 최초로 밝혀냄
1604년,뱀자리에서 새로운 별을 발견

1607년 혜성을 관측함으로써 항성은 절대 변하지 않는다는 당시의 우주관에 충격을 주었다.

아들 요하네스(Johannes)와 함께 처음으로 천체관측에 망원경을 사용하여 태양의 흑점이 이동하는 것을 근거로 태양이 자전하고 있음을 증명


Capture-2016-09-20T03_46_52_g3_ap262-2.jpg


크레이터 -ARISTOTELES

지름- 88.0x87.0Km
높이-11200ft


크레이터-EUDOXUS

지름- 68.0x67.0Km

높이-10200ft

Capture-2016-09-20T03_53_14_g3_ap408-1.jpg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글쓴이
540 Moon 추석 다음날 달... 3 file 2010.09.24 1294 박영식
539 Moon 초승달과 지구조 (Crescent Moon and Earthshine) 2 file 2010.12.10 1797 염범석
538 Moon 초승달과 지구조 file 2017.12.24 194 염범석
537 Moon 초승달_화성_금성_2017_0201 file 2017.02.02 97 김영렬
536 Moon 초승달, 국제 우주 정거장 (ISS), 그리고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 (Discovery)호 2 file 2011.03.16 1487 염범석
535 Moon 초승달, 80mm F5굴절 + PL25mm file 2003.04.07 2087 조윤호
534 Moon 초승달 10 file 2007.12.16 1982 강문기
533 Moon 초생달, 2003년 3월 9일 file 2003.05.10 1741 박병우
532 Moon 천왕성과 개기월식 2 file 2022.11.09 145 황인준
531 Moon 처음찍는 구역 2 file 2016.01.16 130 김종호
530 Moon 지구조(Earthshine) 4 file 2006.03.07 1448 염범석
529 Moon 지구조 1 file 2004.12.09 1212 이건호
528 Moon 좀처럼 보기힘든 시상... 10 file 2016.01.16 181 김종호
527 Moon 정월대보름달_060212_중계동 7 file 2006.02.13 1850 신범영
526 Moon 정월대보름달... 7 file 2008.02.22 2602 신범영
525 Moon 정월 대보름 달입니다. 9 file 2004.02.06 857 박현권
524 Moon 정월 대보름 달 10 file 2005.02.24 1043 김승남
523 Moon 저도 달입니다. (도심의 달) file 2004.07.31 983 박현권
522 Moon 자작 160mm 돌커크햄 6 file 2016.02.18 541 김종호
521 Moon 의미있는 보름달(음력 10.15)~~ 4 file 2008.11.13 2139 조용현
520 Moon 위난의 바다 동쪽벽. 메시에A 2 file 2006.08.11 1972 윤홍선
519 Moon 위난의 바다 file 2006.09.10 2448 윤홍선
518 Moon 위난의 바다 file 2016.06.11 152 김종호
517 Moon 월식의 색깔 2 file 2018.08.04 211 김상욱
516 Moon 월면 산책... 5 file 2017.04.04 194 박영식
515 Moon 월령7.1(2004.12.19.) 4 file 2004.12.22 723 김시태
514 Moon 월령17.7의 월출~~~ 3 file 2009.10.06 1719 조용현
513 Moon 월령 8.3일의 달 5 file 2009.12.26 1524 권기식
512 Moon 월령 7일의 달입니다. file 2003.05.10 1622 문병화
511 Moon 월령 7.1일의 달입니다(모자이크 합성) 8 file 2016.06.17 169 김도익
510 Moon 월령 6.5일 3 file 2013.10.15 684 임재식
509 Moon 월령 6.2일(2014.3.7) 3 file 2014.03.07 874 임재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 Next
/ 18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