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Sun
2011.06.03 19:57

Sun_2011_0603

(*.71.85.28) 조회 수 1282 추천 수 121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11년 6월 3일

망원경 : Solarmax II 60, Doble Stack, BF15
카메라 : QHY5T(1/2 " , 2048 x 1536 화소)
맨프로토 055 삼각대, 셀레스트론 미동운대

Solarmax II 60 의 테스트 촬영을 해 보았습니다.
도브테일바가 다음주에나 손에 들어오기 때문에, 일단은 삼각대와 미동운대를 사용하였습니다.

삼각대로는 불안정해서 오래 촬영하지는 못했고, 합성매수도 부족합니다.
합성매수가 적다보니 노이즈가 좀 많은 편이네요.
그래도 400mm 초점에서 한번에 촬영이 가능하니 편하기는 하군요.

초점거리를 늘려서 모자이크를 해보고도 싶지만, 요즘은 모자이크가 피곤하네요.
다음에 em11 에 도브테일로 올려서 합성 매수만 더 늘려 볼 생각입니다.
카메라와 망원경의 성능 테스트 차원에서 크롭하여 실사이즈로 올렸습니다.

세번째 사진은 첫번째 사진과 두번째 사진의 레이어합성입니다.
이 정도에서 한장으로 합성하는게 표면과 홍염 양쪽에 대한 적절한 타협이 아닐까 합니다.

카메라는 아래 사진에서 보이듯이 화면 1/3 지점에서 종종 띠처럼 밝게 찍히는 경우가 나옵니다.
촬영매수만 많아지면, 골라내던가 합성매수를 늘려서 사용하면 크게 지장은 없을 듯 해서
교환은 하지 않고 그냥 사용하려고 합니다.
위에 사진에서는 나타나지 않았고, 카메라 렌즈를 연결해서 지상 촬영을 해 보아도 나타나지 않는데,
왜 태양 사진에서만 이따금 나타나는지 모르겠네요.
태양 사진을 위해 구입한 카메라인데...
  • 도영재 2011.06.03 23:34 (*.178.57.23)
    드디어 60구경 태양망원경의 첫 작품이군요.^^
    표면이 징글징글합니다. 여기저기 지렁이도 보이는군요. 첫사진은 싱글필터인가요?
    ccd도 궁합이 좋은것 같습니다.
  • 김영렬 2011.06.04 05:53 (*.71.85.28)
    첫 사진도 더블 스택입니다. 위의 두장은 단지 노출의 차이입니다.
    싱글 스택은 표면이나 홍염 모두, 디테일에서 더블 스택에 미치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그나저나 lunt 35 로도 좀 더 잘 찍었어야 하는데...
    lunt 35 에는 아마 qhy5 칼라 (5T 가 아니라)로 하면 훨씬 좋은 결과가 나올 거라는 추측은 됩니다.
    Mightex MCE-B013-US 로 촬영한 것을 보면, 모노이고 물결무늬가 생긴 것 말고는 잘 나오는 편이지요.
  • 조용현 2011.06.06 15:35 (*.143.105.26)
    역시 필터의 크기가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진입니다..
    무척 정밀한 촬영을 하셨습니다..
  • 황인준 2011.06.06 23:50 (*.238.154.185)
    대단한 디테일과 활발한 활동사진입니다.
    멋집니다.
  • 최승용 2011.06.07 10:06 (*.117.76.123)
    이제 태양사진에 이골이 나셨군요.^^
    멋지 사진을 보게 되어서 참 좋습니다.
  • 신범영 2011.06.11 21:53 (*.117.7.16)
    살아 숨쉬는 태양의 모습이 박력있습니다.^^

  1.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Next
/ 19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