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Sun
2003.06.01 16:38

030601 SUN

(*.117.20.24) 조회 수 2264 추천 수 176 댓글 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노목 천문관은 정말 아늑하고 공기좋고 좋은 곳이었습니다.
물론 마음씨 넉넉하고 사람좋은 김 영혜님께서 계셨기 때문입니다. 참 알차고 좋은 휴식 이었으며 좋은 관측이었습니다.
관측 후기는 신용택 님 께서 쓰시기로 하셨으니 곧 올라 올것으로 봅니다. ^^

일단  김 영혜님께서 매우  궁금해 하실 것 같아 마지막 떠나기 전에 찍은 태양 사진을 서둘러 처리해서 한장 올립니다.

밑에는 로우 이미지입니다.
사이즈를 크게 올렸으므로 그림을 클릭해서 보시면 좀더 디테일 한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 처리를 통해 쌀알 조직과 프로미넌스가 아주 디테일 하게 나왔습니다.

다른 사진들은 천천히 이미지 처리 해서 올릴 예정입니다.


FS152
NJP Temma
코로나도 90mm 태양 Ha필터
충북 제천시 노목 탐사관 부설 천문대
Seeing : 5/10
Trans : 4/5
ISO200
1/250초
2003.06.01 10:48
Registax에서 26장 합성 후
포토샵에서 처리

그림을 클릭 해서 크게 보세요..


이전에 올라온 사진들과 비교해 보면 얌전한 태양쪽에 속합니다. 흑점도 별로 없고 백반도 별로 없고 말이죠..


  • 이건호 2003.06.02 08:10 (*.101.108.100)
    어떤 이미지처리를 하셨나요?
    홍염등, 전체적으로 많이 살아 났는데, 태양 둘레는 좀 어색한 듯 합니다.
  • 김영혜 2003.06.02 08:50 (*.193.221.103)
    인준이 형 사진실력은 정말 끝내주네요. 행성은 그만 두시고 태양으로 전향하는게 어떻습니까? ㅎㅎ 정말 멋있습니다. 그리고 아이피스에 잡티가 찍혀나오는 것 방지하는 방법 뒤져 봤는데 어디 있는지 모르겠군요 갈쳐주세요...
  • 황인준 2003.06.02 10:27 (*.117.18.176)
    어색한 부분이 있다면 그건 아직 태양에 대한 이미지 처리가 익숙치 않은 결국 실력 때문일테고... 이미지는 위에 써 놓은 대로 레지스탁스에서 합성 선처리 하고 포토샵에서 약간 손을 본것 뿐입니다. 헌데 생각해 보면 언샵을 많이 쓰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아마 태양 필터의 특성을 이해하면 조금 도움이 될듯도 하다고 생각하옵니다. 대왕.^^
    그리고 영혜님.. 실력은 무신.. 장비가 좋아서지요.. 보통 아이피스 잡티가 찍히는 경우 보다는 안찍히는 경우가 많은데.. 태양의 고배율은 모르겠고 저 배율일때는 자동 촛점이 촛점을 잘 맞추더라구요. 우선 눈으로 볼때 약간 촛점을 흐린 상태에서 카메라를 연결하고 그리고는 카메라의 자동 촛점을 이용해 보세요.. 수동도 마찬가지구요.
  • 이건호 2003.06.02 11:13 (*.101.108.100)
    코로나도 태양필터를 보면 전면 중앙에 동그란 은박지가 있는데... 그게 뭐하는지 모르겠어요. 아마 그것때문에 그렇게 보이고 찍히는 거 같은데... 아시는 분 없을까요?
  • 김영렬 2003.06.02 17:37 (*.232.128.122)
    멀리까지 가서, 결국 멋진 사진을 찍은 것 같습니다.
  • 최승용 2003.06.02 18:23 (*.254.175.125)
    제가 생각 하기로는 그 중앙에 있는 은박지는 인위적인 일식현상을 만들어서 홍염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아닌가 합니다. 코로나도 태양 필터의 각 사이즈에 따라서 아마도 그 중앙의 은박지 크기도 달라지지 않을까요? 원래는 주경의 초점거리에 따라서 이 크기가 달라져야 하는데 말입니다. 간단하게 홈염을 볼 수 있게 하려면 초점면에 주경의 초점거리의 약 1/100의 작은 디스크를 사용하면 태양면적과 비슷해서 태양을 가리게 되겠지요. 그리고 접안렌즈로 보면 인위적인 일식을 보는 것과 같게 되는 것이구요. 저도 이렇게 만들어 보려고 했는데 약간 문제가 있더군요. 열을 빼내야 하는데 이 필터를 만들 수가 없더군요^^. 아닌가????
  • 이건호 2003.06.03 13:39 (*.101.108.100)
    저도 첨엔 그런 생각을 했는데.... 렌즈를 가린다고 일식현상이 일어나진 않겠더군요. 구경차폐된 망원경을 생각하면 쉽죠. 더 궁금해 지는군요.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글쓴이
608 Sun (컬러 재수정)15.3.2태양 4 file 2015.03.02 375 김종호
» Sun 030601 SUN 7 file 2003.06.01 2264 황인준
606 Sun 030605 홍염의활동 11 file 2003.06.27 5375 김영혜
605 Sun 030622 태양 7 file 2003.06.25 4141 김영혜
604 Sun 030622 흑점과 필라멘트와 용광로 3 file 2003.06.26 3888 김영혜
603 Sun 030705-태양의 흑점과 필라멘트 4 file 2003.07.13 5092 김영혜
602 Sun 040115태양 2 file 2004.01.15 2654 김영혜
601 Sun 070319_partial solar eclipse 9 file 2007.03.19 2186 최승용
600 Sun 070319_partial solar eclipse_gif 6 file 2007.03.19 1969 최승용
599 Sun 090730 AM8 SUN 3 file 2009.08.02 1664 도영재
598 Sun 10/02/21 태양현황 1 file 2010.02.25 1395 도영재
597 Sun 10/04/22 태양 4 file 2010.04.25 1514 도영재
596 Sun 10/10/16 13시경 태양 2 file 2010.10.16 1209 도영재
595 Sun 100203 태양 2 file 2010.02.04 1488 도영재
594 Sun 10D 와 S2pro의 비교 4 file 2003.10.31 1225 김영혜
593 Sun 10월 31일 태양(Ha) 10 file 2003.11.04 1434 김영혜
592 Sun 10월14일 부분일식 8 file 2004.10.14 1084 김영혜
591 Sun 11월 14일 호주 개기일식 7 file 2012.11.19 777 김상욱
590 Sun 120521_partial solar eclipse 5 file 2012.05.21 802 최승용
589 Sun 120521_Partial Solar Eclipse 7 file 2012.05.23 869 최승용
588 Sun 120606_Venus Transit 3 file 2012.06.07 780 최승용
587 Sun 120606_venus transit 2 file 2012.06.13 700 최승용
586 Sun 13.11.03 오후2시 홍염폭발 5 file 2013.11.12 547 도영재
585 Sun 13.11.13 11시 태양 4 file 2013.11.14 566 도영재
584 Sun 13.11.15 12시 태양 4 file 2013.11.15 581 도영재
583 Sun 13.11.7 태양.. 4 file 2013.11.07 588 김종호
582 Sun 14.02.06 태양 test 5 file 2014.02.06 820 도영재
581 Sun 14.03.02 태양 4 file 2014.03.03 875 도영재
580 Sun 14.1.10일 태양 4 file 2014.01.11 764 김종호
579 Sun 14.1.10일 태양 이미지 재처리.. 5 file 2014.01.20 749 김종호
578 Sun 14.2.5일자 태양 By P.S.T 4 file 2014.02.05 806 김종호
577 Sun 14.3.21 홍염 큰놈.. 3 file 2014.03.22 984 김종호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