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Sun
2017.08.12 19:21

Sun_2017_0812

(*.117.91.183) 조회 수 173 추천 수 1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제목 : 태양 H alpha (2017. 8. 12)

태양 망원경( H-alpha) : Coronado Solarmax II 60, BF15, 2.5x powermate

카메라 :  ZWO  ASI 1600 MM

마운트 : Ioptron AZ Mount Pro 경위대

촬영장소 경기도 용인 아파트
촬영일시 : 2017년 8월 12일

촬영후기 : 오늘은 아침에 날이 좋아 태양 촬영을 하면서, 솔라맥스의 내부 에탈론과 전면 외부 에탈론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Solarmax 1 에서는 본래 외부 에탈론을 사용했었는데, Solarmax II 에서는 내부 에탈론 으로 바뀌었지요.

                  더블 스택은 여기에 외부 에탈론을 추가하여 Solarmax I 에서는 외부 에탈론을 두개 사용하는 것이 되고,

                  Solarmax II 에서는 외부 + 내부 에탈론을 사용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처음 구입하던 시기에 Solarmax I 과 Solarmax II 를 같이 팔고 있었는데, Solarmax II 가 더 가격이 낮았었습니다.

                  좀 의아했지요. 누가 구형을 더 비싼 가격에 사나 하구요.

                  구입한 후 알고보니 Solarmax 1 은 두개가 모두 외부 에탈론으로 비싼게 맞는 거 였습니다.

                  그땐 처음 구입하는 거라 잘 몰랐는데, 지금이라면 가격이 비싸도 Solarmax 1 을 샀을 거 같습니다.

                  신형이 막 새로 나온 시기라 당연히 신형이 좋은 줄 알고, 게다가 가격도 저렴해 졌으니 신형을 구입한 거지요.

 

                  사실 내부 에탈론은 필터 구경을 줄여 가격을 낮춘것으로 PST 에 처음 적용했던 것이었습니다.

                  그러다가 60 미리 90 미리에도 내부 에탈론을 사용하면서 가격을 내린 거 였지요.

                  최근 Solarmax III 라고 하면서 나온것이 다시 외부 에탈론만 사용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더군요.

                  내부 에탈론이 성능이 떨어진다는 것을 스스로도 인정한 셈이네요.

                  게다가 70 미리 굴절에 60 미리 에탈론을 사용하면서  Solarmax III 70 이라고 명칭를 해서, 자칫 70 미리 에탈론으로 잘못알게 선전하고 있네요.


                 아무튼 평소 내부 에탈론에 불만이었는데, 이참에 내부 에탈론과 전면 외부 에탈론의 차이를 사진으로 비교해 보았습니다.

                 후처리는 거의 같은 정도로 한 것입니다. 확실히 외부 에틸론이 좋습니다.

                 사실 그렇다보니, 내부 에탈론만으로 더블 스택을 하려고 하면 결과가 좋지 않았습니다.

                 PST, Solarmax 60 의 내부 에탈론, 쿼크, 이들 셋중에 둘을 사용하여 더블 스택을 해보면 결과가 영 좋지 않지요.

                 이들을 하나 사용하는 것까지는 어찌어찌 눈감아 줄만 하지만, 둘을 겹쳐서 더블 스택으로 하는 순간 결과는 너무 떨어집니다.

                 결국 더블 스택을 하려면 최소한 하나는 전면 외부 에탈론을 사용해야 하고, 더 좋은것은 외부 에탈론만으로 더블스택하는 것이지요.


                물론 저가로 구경큰 더블스택 태양 망원경을 만들어 볼려고 이리저리 시도해 보지만, 사실 답이 나와 있는 문제입니다.

                align 이나 기계적인 구조 문제뿐만이 아니라, 기본적으로 이들이 외부 전면 에탈론에 비해 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이지요.

                둘을 겹치는 순간 성능 저하가 배가 되어, 기계적으로 아무리 잘 정렬시켜도 어쩔수 없는 결과입니다.


                어쨌거나 사진은 2.5배 Powermae 를 사용하였더니, 주변의 Spicule 도 보이고 만족스럽습니다.^^

                한장으로 주변 홍염도 보이구요.

                요즘 태양 활동이 크게 없어서 좀 밋밋한게 아쉽군요.



( 전면 외부 Etalon )

제목없음-2.jpg


( 내부 Etalon )

제목없음-1.jpg




  • 이건호 2017.08.14 10:26 (*.101.107.100)
    태양활동이 밋밋하다면 이번 개기일식때 좀 아쉽겠네요.
  • 김영렬 2017.08.14 16:10 (*.66.58.81)
    개기일식은 태양표면보다는 일식자체를 보려는 것이니 크게 아쉬울 것은 없을 듯 하군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글쓴이
» Sun Sun_2017_0812 2 file 2017.08.12 173 김영렬
351 Sun Sun_2017_0726 (PST) file 2017.07.26 111 김영렬
350 Sun Sun_2017_0725 (PST) 3 file 2017.07.25 128 김영렬
349 Sun Sun_2017_0720 (PST) 4 file 2017.07.20 113 김영렬
348 Sun Sun_2017_0617 1 file 2017.06.17 85 김영렬
347 Sun Sun_2017_0616 2 file 2017.06.16 79 김영렬
346 Sun Sun_2017_0612 2 file 2017.06.13 57 김영렬
345 Sun Sun_2017_0612 1 file 2017.06.14 55 김영렬
344 Sun Sun_2017_0602 2 file 2017.06.02 40 김영렬
343 Sun Sun_2017_0526 2 file 2017.05.26 29 김영렬
342 Sun Sun_2017_0429 1 file 2017.04.29 48 김영렬
341 Sun Sun_2017_0422 1 file 2017.04.23 34 김영렬
340 Sun Sun_2017_0209 2 file 2017.02.10 76 김영렬
339 Sun Sun_2016_1229 1 file 2016.12.29 44 김영렬
338 Sun Sun_2016_0811 2 file 2016.08.11 112 김영렬
337 Sun Sun_2016_0803 6 file 2016.08.03 111 김영렬
336 Sun Sun_2016_0521 6 file 2016.05.22 102 김영렬
335 Sun Sun_2016_0518 2 file 2016.05.18 110 김영렬
334 Sun Sun_2016_0507 7 file 2016.05.07 109 김영렬
333 Sun Sun_2016_0419 2 file 2016.04.19 151 김영렬
332 Sun Sun_2016_0415 12 file 2016.04.15 262 김영렬
331 Sun Sun_2015_1121 1 file 2015.11.21 108 김영렬
330 Sun Sun_2015_1112 2 file 2015.11.13 168 김영렬
329 Sun Sun_2015_1104 14 file 2015.11.04 210 김영렬
328 Sun Sun_2015_1104 3 file 2015.11.09 90 김영렬
327 Sun Sun_2015_1024 4 file 2015.10.24 97 김영렬
326 Sun Sun_2015_1021 2 file 2015.10.21 82 김영렬
325 Sun Sun_2015_1019 9 file 2015.10.19 84 김영렬
324 Sun Sun_2015_1018 1 file 2015.10.18 64 김영렬
323 Sun Sun_2015_1009 3 file 2015.10.09 95 김영렬
322 Sun Sun_2015_1007 3 file 2015.10.07 80 김영렬
321 Sun Sun_2015_0929, 비교사진 2 file 2015.09.30 194 김영렬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19 Next
/ 19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