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Sun
2015.09.30 21:17

Sun_2015_0929, 비교사진

(*.71.85.210) 조회 수 194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제목 : 태양 H alpha (2015, 9.29)
태양 망원경( H-alpha) : Solarmax II 60 fl=400mm, F:6,6), Double Stack, BF15

H-alpha 필터: Daystar Quark H-alpha eyepiece (4.2x 바로우 내장), Chromosphere Model

카메라 :  Imaging Source DMK24UP031(태양 전면 촬영), ZWO  ASI 174 MM (확대 촬영)

마운트 :  EM11 Temma2 Jr

촬영장소 : 경기도 용인 아파트
촬영일시 : 2015년 9월 29일

촬영후기 : 솔라맥스 싱글, 솔라맥스 더블,  솔라맥스 싱글+쿼크 비교 입니다.

                   싱글이 홍염에 좋고, 더블이 표면에 좋다고는 하지만, 제 생각에 이는 안시에서 싱글이 밝게 보여 홍염이 잘 보이기 때문인 듯 합니다.

                   사진에서는 더블이 두가지 다 좋다고 생각합니다. 표면의 차이는 상당히 크구요.

                   사실은 안시도 암막같은 거로 암적응하고 보면 더블에서가 홍염의 모습도 더 디테일하게 보인다고 생각합니다. 


                   아래 사진은 솔라맥스 싱글과 솔라맥스 더블, 그리고 솔라맥스 싱글 + 쿼크(결국 더블인 셈이지요.) 의 확대촬영입니다.

                   5x powermate 는 좀 과한 확대율이라 영상이 그리 좋지는 않지만, 단지 비교를 위한 것입니다. 게다가 실내촬영이라서...

                   망원경은 현재로서는 솔라맥스 60 미리로 밖에 적용해 볼수 없구요. 조만간 어댑터를 가공하면 여러 망원경에서 시험 가능할 것 같습니다.

                   솔라맥스에서는 5x powermate 를 사용했고, 솔라맥스 싱글+쿼크는 4배 바로우 내장 이므로 나중에 리사이즈를 하고 크롭했습니다.

                   노출은 모두 10ms, 게인은 firecapture 에서 400 이 최대인데, 싱글(130/400),  더블(250/400), 싱글+ 쿼크(200/400) 입니다.

                   비교를 위해서 다른 처리는 전혀 하지 않았고, 레지스탁스에서 wavelet 은 동일하게 적용했습니다.


                   결과를 보면, 더블 혹은 솔라맥스 싱글+쿼크에서 표면의 콘트라스트 차이가 싱글보다 한층 뛰어나고,  보이는 디테일도 한결 좋습니다.

                   홍염부를 보아도 더블 혹은 솔라맥스 싱글+쿼크에서 더 잘 보일뿐 아니라, 특히 표면으로 넘어가는 부분의 홈염은 더블 혹은 솔라맥스 싱글+쿼크에서 압도적입니다.

                   그런의미에서 더블로 촬영할 때는 굳이 홍염부와 표면을 따로 촬영해서 모자이크 하지 않고 있습니다.

                   싱글을 더블정도로 어둡게 촬영하거나, 포샵에서 레벨 혹은 콘트라스트 혹은 감마등을 조절해서 대비효과를 주어 표면을 더블 비슷하게 하려하면 주변 홍염은 다 보이지 않게 됩니다.


                   태양 전면 촬영에서도, 전체적으로 홍염까지도 더블에서 더 잘 나타납니다.

                   마찬가지로 포샵에서 싱글 사진을 대비효과를 주면, 주변 홍염이 거의 나타나지 않습니다.

                   물론 싱글에서는 게인을 낮출수  있으므로 노이즈가 적게 촬영할 수 있고, 이점에서 장점이 있습니다.

                   더블로 싱글만큼 노이즈를 줄이려면, 싱글보다 두배 정도 촬영매수를 늘려야 하겠지요.

                   하지만, 실제로는 모두 5000장 촬영해서 3000장 합성했고, wavelet 도 동일하게 적용하였는데, 노이즈의 차이는 별로 못 느껴집니다.

                   적은 장수를 촬영해서 노이즈가 많이 보이게 합성하면 노이즈의 차이가 좀 더 드러나겠지요.


<솔라맥스 싱글에 5x powermate >

single.jpg



<솔라맥스 더블에 5x powermate>

double.jpg


<솔라맥스 싱글 + 쿼크 의 더블구성, 쿼크는 4배 바로우 내장, 리사이즈후 크롭>

single+quark.jpg


<솔라맥스 싱글>

full_single.jpg


<솔라맥스 더블>

full_double.jpg






  • 김종호 2015.09.30 21:22 (*.97.47.54)
    유익한 비교기 였습니다.~^^
  • 박영식 2015.10.08 08:54 (*.253.237.162)
    솔라맥스 싱글에 쿼크 구성이 훨씬 샤프하네요.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글쓴이
224 Sun 15.4.21 더 썬! 8 file 2015.04.21 250 김종호
223 Sun 15.3.19 태양 13 file 2015.03.19 245 김종호
222 Sun 처음 찍어본 태양 이미지입니다.^.~ 7 file 2015.10.31 239 공준호
221 Sun 쌀알무늬.... 4 file 2016.05.21 239 김종호
220 Sun Pronto + PST 11 file 2015.08.10 238 박영식
219 Sun Baily's beads 5 file 2017.08.26 236 김상욱
218 Sun 151017 여주 스타파티 태양 3 file 2015.10.18 231 도영재
217 Sun 스타파티...TEC 160ED+Daystar Quark 10 file 2015.10.18 231 김종호
216 Sun Sun_Halpha_2018_0213 2 file 2018.02.13 228 김영렬
215 Sun 2015년 5월 17일... 태양 6 file 2015.05.17 227 박영식
214 Sun Sun_2015_0622 11 file 2015.06.21 224 김영렬
213 Sun Sun_2018_0106 1 file 2018.01.06 218 김영렬
212 Sun Sun_2015_0327 7 file 2015.03.29 216 김영렬
211 Sun 오랜만의 거대흑점.. 5 file 2017.07.12 215 김종호
210 Sun 150327 태양 9 file 2015.03.27 212 도영재
209 Sun Sun_2015_1104 14 file 2015.11.04 212 김영렬
208 Sun 2019 칠레 개기일식 2 file 2019.07.23 211 황인준
207 Sun 썬! 2 file 2015.05.14 210 김종호
206 Sun 일몰, 11월 첫째날 2 file 2018.11.01 208 김태환
205 Sun 3d conversion. file 2017.09.20 207 김종호
204 Sun Sun_2015_0425 9 file 2015.04.26 205 김영렬
203 Sun 2015.8.23 태양 타임랩스 10 file 2015.08.24 203 김종호
202 Sun 첫만남... 4 file 2015.06.18 197 김종호
201 Sun 태양 5월 9일 6 file 2015.05.11 195 선숙래
» Sun Sun_2015_0929, 비교사진 2 file 2015.09.30 194 김영렬
199 Sun 오랜만의 거대흑점... 3 file 2017.09.03 194 김종호
198 Sun 나도 썬 12 file 2015.10.19 192 이건호
197 Sun 2015년 5월 7일 태양 3 file 2015.05.07 191 박영식
196 Sun 150425 태양 4 file 2015.04.25 190 도영재
195 Sun 식혀주자.. 12 file 2015.06.10 190 김종호
194 Sun 쿼크!!!! 11 file 2015.10.14 189 김종호
193 Sun Sun_2015_0516 8 file 2015.05.16 188 김영렬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9 Next
/ 19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