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Sun
2014.03.03 11:38

14.03.02 태양

(*.170.72.138) 조회 수 875 추천 수 0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1-11-15-406s12.jpg



pst1.jpg


판교 태양번개 11시경 태양 200프레임 레지스탁스 합성사진 입니다.

전에 사진을 보면 뉴톤 링? 같은 무늬가 보였는데 이번에는 다행히 보이지 안는군요.^^


김종호님의 pst개조를 보며 저도 몇가지 정보를 올립니다.

일단 전면 더블스택 필터를 보시면 내부에 은박지 비슷한 원형 반사판이 있습니다.

처음 구입후 보니 중심에서 많이 벗어나 있더군요.

이문제로 고민 많이 했습니다.^^


싱글로 사용하더라도 제성능이 안나왔습니다.

과감하게 열어서 센터에 이 반사판을 옮겨주니...그나마 위 결과물이 나오더군요.

접착제로 붙어있던 것으로 보아 열로 인해 늘어진것 같습니다.

이것의 용도는 모르겠습니다. 룬트 태양망원경에는 없는 부분이지요.


또 신형 pst는 전 버전과 구조가 좀 다르더군요.

제가 알기로는 전 버전은 전면렌즈에도 코팅이 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신형은 일반렌즈 입니다.

단 후부 프리즘 위 접안부에 전에 없던 필터가 하나더 생겼습니다.

위에 올린 사진 보시면 아이피스 연결부를 분해한 두가지 부속이 있습니다.

개조에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 임재식 2014.03.03 12:23 (*.206.51.57)
    여유되면 pst하나 사서 저도 해 봐야겠습니다^^;
  • 김종호 2014.03.03 12:38 (*.97.47.105)
    퀄리티가 점점좋아집니다..^^
    고 은박지는 렌즈에 반사된 빛다발을 은박지로 가린겁니다.난반사 목적인듯해요. pst튜브를 뒷쪽에서 보면 렌즈 중앙에 이미지서클크기만큼 동그란거 보입니다.
    그 난반사 방지하는 용도인듯합니다. 그래서 제위치가 아니라 벗어나면 아무래도 콘트라스트가 떨어질겁니다.
    그런데의문은 영국의 솔라스코프라는 회사는 이게없어요..풀 에탈론으로 쓰는데말이죠..
    그리고 룬트도 있는 제품 있어요..그것도 3개나..아주정확한 광학 메커니즘은 본사에물와봐야할듯해요.ㅋ

    pst 신형버전은 앞쪽에 코팅이 아닌 erf필터를 후면부에 장착한거에요. 일명 미니erf라고 불르죠.
    변형한 이유는 전면 코팅은 코팅의 벗겨짐이 많이 일어난것도 있고 일명`녹`이라고하지요.
    그리고 원가절감이지요. 코로나도가 미드로 넘어가면서 원가절감을 위한 방편일수도 있다는생각이..^^
  • 김영렬 2014.03.03 14:04 (*.66.58.81)
    번개 결과물들이 올라오는 군요/
    저는 몸만 가서 구경만 했기 때문에 사진도 구경만 합니다.
  • 이건호 2014.03.03 18:03 (*.101.107.100)
    잘 보다 왔습니다.

    태양필터가 원리등이 잘 알려지지도 않았고... 연구할게 참 많은거 같아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글쓴이
416 Sun Sun_2014_1029 file 2014.10.30 970 김영렬
415 Sun 태양_2011_0903 2 file 2011.09.03 962 김영렬
414 Sun 거대흑점 막차타기 6 file 2014.10.29 962 이건호
413 Sun 태양 7 file 2014.04.07 953 선숙래
412 Sun 태양(2011.10.22) file 2011.10.23 951 임상균
411 Sun SUN 20140315 11 file 2014.03.15 939 이건호
410 Sun 태양 4 file 2011.03.23 932 임재식
409 Sun 호주 개기일식 3 file 2012.11.14 927 임상균
408 Sun 검은 태양 2 file 2012.11.19 927 황인준
407 Sun 태양풍년 4 file 2014.03.23 921 이건호
406 Sun Sun_2013_0629 3 file 2013.06.28 915 김영렬
405 Sun P.S.T double stack 11 file 2014.03.24 911 김종호
404 Sun 태양과 태양 흑점 (2011. 09. 30.) 3 file 2011.10.02 906 염범석
403 Sun 지금은 부분일식 중 file 2004.10.14 902 윤홍선
402 Sun 거대한 흑점 Huge Sunspot 2 file 2014.10.24 902 염범석
401 Sun 140516 12시 태양 5 file 2014.05.17 894 도영재
400 Sun 태양 8 file 2014.04.01 891 선숙래
399 Sun Partial Solar Eclipse-최대식(2012.05.21) 4 file 2012.05.25 888 김일순
398 Sun 태양 2014-06-15 큰 홍염 6 file 2014.06.16 888 이건호
397 Sun SUN 2014_05_22 8 file 2014.05.26 887 황인준
396 Sun 태양 그 뜨거웠던 열하루 동안의 기억 6 file 2014.10.31 884 김영렬
395 Sun SUN 20140315 풀샷 5 file 2014.03.16 882 이건호
394 Sun SUN 2014.03.02 8 file 2014.03.02 879 이건호
» Sun 14.03.02 태양 4 file 2014.03.03 875 도영재
392 Sun 태양~~ 밤에 별본지 오래됐네요~~ 1 file 2013.06.25 873 조용현
391 Sun P.S.T MOD 150/f10 istar optical h-alpha telescope 5 file 2014.08.28 871 김종호
390 Sun 120521_Partial Solar Eclipse 7 file 2012.05.23 869 최승용
389 Sun 태양 2014-01-20 7 file 2014.01.19 864 이건호
388 Sun 140418 3시 태양 1 file 2014.04.18 858 도영재
387 Sun 설날 태양 1 file 2014.01.31 852 임재식
386 Sun 태양 2014.01.31 9 file 2014.02.01 850 이건호
385 Sun SUN 20140323 7 file 2014.03.23 850 이건호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19 Next
/ 19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