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lar System

머나 먼 행성 명왕성

by 김동빈 posted Jun 01, 200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06년 5월 31일 대전시민천문대 주 관측실
254mm 굴절망원경(F/9)
SBIG ST-8 CCD 카메라(영하 1도)
촬영 시각: 2시 10분 - 3시 42분(KST)
필터 없이 2분 노출
33장 중에서 처음, 가운데, 마지막 이미지(약 45분 간격)를 GIF 애니메이션 처리
2번 사진의 정중앙 약간 아래에서 오른쪽으로 움직이는 밝은 점이 명왕성이다.
1번 사진은 33장의 이미지를 합친 것이다.
3번과 4번 그림에 표시된 숫자는 각각 GSC 번호와 별의 등급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121은 GSC 6248 121을 의미하고, 701은 7.01 등급을 의미한다.
3번과 4번 그림은 CD-ROM 성도인 Guide 8.0에서 가져왔다.

#### 명왕성 관측 일지 ####

6월 17일, 명왕성이 충의 위치를 통과한다.
명왕성만 보면 태양계 행성을 다 봄.
6월 중순이면 날씨가 좋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최소한 3주 전부터 관측을 시도하기로 함.
언제 이런 생각을 했는지는 기억이 안 남.
명왕성 촬영에 신경을 좀 쓰다 보니 낮에 하는 태양 촬영에 약간 소홀하게 됨.

5월 21일, 1차 관측을 시도하였으나 좋은 결과가 나오지 않음.
명왕성으로 추정되는 위치에 희미한 점이 찍혔으나 배경의 노이즈와 분간이 되지 않음.
맨눈으로 2등성까지만 보였음.
맑더라도 3등성이 보이지 않는 날에는 CCD 촬영을 하지 않기로 함.

5월 24일과 26일에도 촬영을 시도하였으나 일찍부터 구름이 몰려와 관측을 포기함.

5월 31일, 3등성까지 보이는 맑은 날씨 덕분에 예정된 촬영 일정을 무사히 마칠 수 있었음.
명왕성을 CCD 시야에 넣는 데에 약간의 시행착오를 겪음.
적도 이남의 천체가 남중하기 전에 동기화(sync)를 누르면 망원경이 남북 방향을 거꾸로 인식하는 문제가 발생함.
제어 프로그램에서 동기화 버튼을 누르기 전에 대상의 적위를 꼭 확인해야 한다는 사실을 깜빡 잊었음.
망원경의 초기 위치를 수동으로 잡아준 다음에 처음부터 다시 시작함.
명왕성에 가까우면서 적위가 플러스인 밝은 별을 골라 동기화시킴.
관측실에서 밤새워 보기는 이번이 처음.

6월 1일, 전 처리 과정을 거친 33장의 영상 중에서 세 장 골라서 GIF 파일로 변환함.
결과에 대체로 만족함.

Articles

3 4 5 6 7 8 9 10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