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Solar System
2006.05.11 22:02

귀여운 홍염들

(*.229.237.101) 조회 수 916 추천 수 58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06년 5월 11일 대전시민천문대 주 관측실
128mm 굴절망원경(F/8) + 코로나도 H-알파 필터(SolarMax 60)
니콘 쿨픽스 4500 + LV 25mm
ISO 100, F4.4, 1/30초+1/60초(상, 중); F2.6, 1/500초(하)
맥심 DL에서 RGB 분해/합성(B채널 0)->포토샵에서 레벨 조정->레지스탁스에서 레이어 조정->포토샵에서 샤픈 & 리사이즈
마지막 사진은 이미지 처리 없이 크기만 줄임

찍는 데 걸린 시간보다 찍은 걸 하나하나 살펴보면서
잘 나온 걸 가려내는 데 훨씬 더 많은 시간이 걸렸습니다.
너무 많이 찍어서 그런 것 같습니다.
구름 때문에 낭비한 시간도 제법 길었고...
앞으로는 좀더 경제적으로 찍을 생각입니다.

다음은 쿨픽스 4500으로 찍을 때 적용할 나만의 원칙입니다.

(1) 많이 찍는다고 좋은 게 아니다. 바쁜데...
노출 단계별로 잘 나온 것 한 장씩만 건질 수 있도록 적당히 찍는다.
가급적 해가 구름에 가려지지 않았을 때에 찍는다.

(2) 홍염 또는 활동 영역이 잘 보이는 날에는 언제라도 찍을 수 있도록
디카 어댑터와 아이피스(LV 25mm)를 접안부에 단단히 고정시켜 놓는다.
조임 나사를 펜치로 힘껏 돌려 놓고, 펜치는 나만 아는 곳에 잘 감추어 둔다.
누가 손대면 곤란하니까...

(3) 태양 전체 모습은 어차피 기대할 게 못 되니 10장 이내에서 끝낸다.
이때 모니터 화면의 세로(짧은) 방향을 남북 방향에 맞추고 나서 찍는다.
나중에 홍염의 위치를 확인하는 데 필요하기 때문이다.
(위의 세 번째 사진은 방향을 맞추지 않고 찍은 것임)

(4) 홍염 부분을 확대 촬영할 때에는 가급적 화면의 가로 방향을 기준으로
홍염이 왼쪽이나 오른쪽에 오도록 한다(위의 두 번째 사진처럼).

(5) 노출 단계별로 가장 잘 나온 것들을 골라 RGB 분해를 한 다음
R채널과 G채널을 저장한다. 별 도움이 안 되는 B채널은 버린다.
홍염 부분은 R채널에서, 원반부의 표면 무늬는 G채널에서 고른다.
합성 단계에서 B채널은 아무 것이나 지정하고 값을 0으로 넣는다.

나머지 자질구레한 내용은 생략.

약 한 달간 해가 보이는 날(집에서 쉬는 날 제외)이면 빠짐없이 찍었는데,
제대로 나온 것은 없습니다.^^
귀여운 홍염의 모습, 재미있게 감상하시기 바랍니다.
  • 김영혜 2006.05.11 22:56 (*.64.143.233)
    멋집니다.^^
  • 이건호 2006.05.12 08:29 (*.101.107.100)
    날로 발전하시는 촬영방법과 이미지처리방법에 눈이 휘둥그레 집니다~
  • 황인준 2006.05.13 09:18 (*.85.131.136)
    정말 너무 멋집니다.
    그리고 이미지 처리 노하우도 납득이 가구요..
    점점 태양에 관심이 생기게 하시는군요..

준회원 사진 갤러리

준회원분들이 촬영한 천체사진만 올려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5 Solar System 태양의 활동 영역 5 file 김동빈 2006.04.27 943
124 Solar System C/2006 S3 ( LONEOS ) 1 file 조현우 2013.05.26 942
123 Solar System Comet C2004Q2(Machholz) 4 file 신범영 2004.11.21 940
122 Solar System 5월24일 목성(투유캠 흑백촬영) file 오동혁 2006.05.27 937
121 Solar System 2012년 부분일식 3 file 박진성 2012.05.22 934
120 Solar System 168P/Hergenrother 1 file 조현우 2012.10.15 933
119 Solar System 엷은 구름을 뚫고 본 태양 홍염 1 file 김동빈 2006.04.12 930
118 Solar System C/2012 L2 (LINEAR) 1 file 조현우 2013.03.25 927
117 Solar System 177P/Barnard 1 file 조현우 2006.08.03 925
116 Solar System Comet ISON(C/2012 S1) #1~#2 1 file 권한조 2013.10.31 921
» Solar System 귀여운 홍염들 3 file 김동빈 2006.05.11 916
114 Solar System comet 2009 P1 Garradd 1 file 김정호 2012.03.28 914
113 Solar System 154P/Brewington 1 file 조현우 2013.11.03 908
112 Solar System 9월 10일 태양 흑점 3 file 한종현 2014.09.10 903
111 Solar System C/2005E2(McNaught) file 조현우 2006.05.21 902
110 Solar System 6월19일 목성입니다. 3 file 오동혁 2006.06.20 901
109 Solar System First Quarter Moon 4 file 염범석 2005.01.21 900
108 Solar System C/2009 P1(Garradd) 1 file 조현우 2011.09.04 899
107 Solar System C/2013 R1 (Lovejoy) file 조현우 2013.10.09 894
106 Solar System 5월8일(5월9일 새벽) 에 찍은 목성입니다. 2 file 오동혁 2006.05.10 889
105 Solar System 5월 14일 목성 5 file 박현근 2006.05.16 889
104 Solar System 2012.05.21. 부분일식 1 file 노광민 2012.05.25 883
103 Solar System 2월18일 토성 8 file 박현근 2006.02.18 876
102 Solar System C/2011 R1 ( McNaught ) 1 file 조현우 2013.02.20 876
101 Solar System Let's start Jupiter! 2 file 김태환 2014.10.14 876
100 Solar System 0524-목성입니다. 6 file 오동혁 2006.05.25 874
99 Solar System 토성입니다. 5 file 오동혁 2006.05.03 873
98 Solar System 태양 모자이크 실패작 1 file 김석희 2014.06.14 871
97 Solar System C/2012 X1 (LINEAR) file 조현우 2013.12.25 869
96 Solar System 판스타스 혜성(3/13) 4 file 한동주 2013.03.25 868
95 Solar System 목성 첫사진 5 file 김경호 2005.03.06 861
94 Solar System 63P/Wild 1 file 조현우 2013.05.19 859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