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Solar System
2016.06.10 11:43

[화성, 목성] 16.06.09

(*.80.113.133) 조회 수 225 추천 수 0 댓글 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제목 : [화성, 목성] 16.06.09
망원경/렌즈 : C9.25
카메라 : ZWO ASI224MC
마운트 : NEQ6
필터 : Astronomik UV/IR cut
노출정보 : 10ms
촬영장소 : 김해 장유동
촬영일시 : 2016.06.09 15:27(UT)


또 화성입니다. ^^


연무가 있어 베란다에서 보이는 별은 아크투스트 정도인 투명도였습니다. 

시상은 중하쯤 되었구요. 변화가 다소 있어 초점을 잡는데 시간을 제법 썼는데 결국 적당히 타협하고 찍었습니다. 


이 날은 필터를 바로우 앞에다 장착했는데 미드 바로우와 아스트로노믹이랑 궁합이 안맞는지

바로우 나사산이 상했는지 조금 비딱하게 결합이 된 것 같았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그냥 필터를 거쳐서 봐서 그런지 안시로 에어리디스크를 볼때도 빛이 번지는 느낌이 있었습니다.  


목성은 23도 정도로 낮아서 꼭 목성에 바람이 부는 것 같이 물결쳤습니다.

역시나 결과는 신통치 않습니다. 

막 어두워졌을 때 촬영을 시작하지 않으면 목성은 이제 별 재미가 없을 것 같네요. 


화성은 이틀 전과 같이 구름이 몰려와서 5컷만 찍을 수 있었습니다. 

토성까지 노려보고 싶었는데 아쉬웠습니다. 


화성을 처리하고 보니 빗자루질 한 무늬같은 게 보이는데 처리하면서 생긴 무늬인지... 뭔지... 잘모르겠습니다.

저건 뭘까요? ^^;



mars_201606091527 level3.jpg

*1.5배로 크기조정


Jup_201606091343.jpg






감사합니다. 


  • 선숙래 2016.06.10 15:55 (*.194.93.126)
    베란다에서 촬영까지 하시고 열정이 보기 좋습니다.
  • 박동현 2016.06.10 17:25 (*.80.113.133)
    감사합니다. 베란다에 장비를 설치해놓으니 나가서 별 보는 게 부쩍 줄었습니다. ^^
  • 김영렬 2016.06.10 16:36 (*.66.58.81)

    베란다 동지를 만나니 반갑군요~
    224MC 로 칼라를 잘 못내겠던데, 색감 좋네요.

  • 박동현 2016.06.10 17:26 (*.80.113.133)
    저도 묘한 동지의식을 느낍니다. 화성은 감마를 조금 낮춰서 진하게 처리하고 있는데 목성은 멀겋게 말고는 잘 처리를 못하겠더라고요. 다양하게 처리를 더 해봐야겠습니다. ^^
  • 이건호 2016.06.13 13:05 (*.101.107.100)
    아무래도 빗자루 무늬는 이미지 처리할때 생기는 노이즈로 보이네요. 디노이즈 기능등을 이용해 안 보일정도로 처리 해야 하지 않을까 합니다.
    참, 베란다에서 찍는 노하우를 전수 해 주세요 ^^
  • 박동현 2016.06.21 00:48 (*.239.229.64)

    베란다에서 찍는 특별한 노하우는 없습니다. ^^;
    다 아시겠지만 훗날 제가 까먹지 않도록 몇자 써봅니다.

    1. 확장을 안한 베란다가 유리하고
    2. 층수가 높고 방향이 정남일수록 좋습니다.
    (높을 수록 광해의 영향을 덜 받는 것 같은 느낌이 있고 대상이 높아 보여 좋고 결정적으로 벌레가 덜 꼬여 좋습니다. 방향이 좋으면 남중 근처에서의 촬영 시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3. 5월말 6월초 ~ 9월말 10월초까지는 밖보다는 못하지만 꽤 할만합니다.
    4. 극축을 최대한 정확하게 맞추는 것이 좋습니다.
    - 표류이탈을 몰라서 방향이 좋았던 저번 베란다에서는 남중한 대상을 거꾸로 겨누어서 적당히 맞췄는데
    이사한 베란다는 방향이 안 좋아서 적당히 맞추고 흐르는 반대방향으로 적당히 방위 나사를 조절해서 목성이 원하는 ROI에서 3분 안에는 벗어나지 않도록 조정해놓았습니다.
    - 파이어캡쳐에 AutoGuide 기능이 있는데 아주 최근에 대략적으로 성공했습니다. 활용하시면 더욱 편한 촬영이 될 것 같습니다. (거의 놀면서 찍을 수 있습니다....;;)
    5. 냉각은 가능한한 충분히 시키는 것이 좋으나 완벽하게 될거라는 기대는 안하는 것이 좋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가능성이 있는 날씨면 퇴근하자 마자 베란다와 거실 사이의 창을 닫아놓고 밖 창문을 열수있는만큼 방충망까지 다 열어놓습니다
    날마다 다르긴 하지만 그래도 에어리디스크에서 냉각이 덜 된 흐름들을 볼 때가 대부분이더라고요.
    6. 아직 어린 아이가 있다면 각종 케이블과 콘트럴러는 항상 빼두고 경통에 손을 대지 못하도록 적당히 셋팅하는 것이 좋습니다.
    크게 중요한 것은 아니나 방위조절 나사의 조임여부 등을 촬영 전에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집 아이들은 나사를 매번 다 풀어 놓습니다....;;;)
    7. 파인더를 적당히 위치시키면 대상의 도입이 편합니다.
    베란다의 천정이라고 할까요? 파인더의 위치에 따라 경통은 안가리는 데 파인더로는 안 보이는 경우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파인더의 위치도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8. 적도의의 리미트에 반대되는 경통 위치가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남중 이후에 높은 대상을 찍을 경우 정상적인 위치의 반대 방향에 경통을 놓고 촬영을 하면 높은 대상을 찍을 때 도움이 됩니다.


    전혀 해당이 없으시겠지만 여담입니다. 경통의 특성을 고려하여 광축을 맞추어 놓는 것이 좋습니다.
    제 경통의 경우 적도의의 오른편에 경통이 있는 경우와 왼편에 경통이 있는 경우에 광축이 틀어져서 거기에 대략적으로 맞게 광축을 맞춰놓고 준비를 합니다.

    또 어떤 것이 있을까요?

    횡설수설해봤습니다. ;;;


    앞으로 아파트에 또 살게 되면 가급적 정남이고 높고 확장을 안한 집에 살려구요. ;;

  • 이건호 2016.06.21 10:29 (*.101.107.100)
    잘 들었습니다. 생각할게 많네요 ^^
    저는 이번에 아파틑 고를때 동,남,서가 다 보이는 집을 골랐는데, 베란다 확장을 해 놓아서 좀 아쉽기는 합니다. ㅎ

준회원 사진 갤러리

준회원분들이 촬영한 천체사진만 올려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9 Solar System 토성 2 file 하준기 2008.04.30 2789
188 Solar System 두번째 토성과 질문입니다~ 4 file 정병준 2008.03.26 1918
187 Solar System 첫 토성 3 file 정병준 2008.03.20 1716
186 Solar System 8P/Tuttle 5 file 조현우 2007.12.15 1289
185 Solar System 17P/Holmes 4 file 조현우 2007.12.15 1362
184 Solar System 홈즈혜성 with Mel20 4 file 김광욱 2007.11.19 1408
183 Solar System 17P/Holmes 3 file 조현우 2007.11.05 1479
182 Solar System 홈즈 혜성 2 file 한동주 2007.11.05 1527
181 Solar System 혜성 파티에 참가합니다. Holmes... file 조용현 2007.10.31 1514
180 Solar System 17P/Holmes file 조현우 2007.10.27 1669
179 Solar System Moon total eclipse 15 file 성대환 2007.08.29 1542
178 Solar System C/2006VZ13(LINEAR) 2 file 조현우 2007.06.24 1428
177 Solar System 목성 2 file 조현우 2007.06.19 1412
176 Solar System 은하수 속으로....[수피령] 2 file 이현석 2007.05.24 1359
175 Solar System 96P/Machholz file 조현우 2007.05.04 1358
174 Solar System 목성 1 file 조현우 2007.05.01 1295
173 Solar System 목성과 위성들 4 file 조영현 2007.04.30 1350
172 Solar System C/2007E2(Lovejoy) 3 file 조현우 2007.04.29 1371
171 Solar System 80mm ed굴절 의 토성.. 3 file 하준기 2007.03.04 2493
170 Solar System 2월 마지막날의 토성 5 file 하준기 2007.03.01 2503
169 Solar System 토성의 처녀작 3 file 박성우 2007.02.11 996
168 Solar System 29P/Schwassmann-Wachmann1 4 file 조현우 2007.01.28 1048
167 Solar System 토성 5 file 조현우 2007.01.21 1242
166 Solar System C/2006P1(McNaught) 2 file 조현우 2007.01.14 1090
165 Solar System C/2006L1(Garrardd) 3 file 조현우 2006.12.28 1101
164 Solar System 크리스마스 이브 새벽의 토성. 3 file 오동혁 2006.12.24 1321
163 Solar System 일요일 새벽에 촬영한 토성입니다. 4 file 오동혁 2006.12.04 1415
162 Solar System 11월11일 태양흑점 5 file 최성욱 2006.11.20 1105
161 Solar System 11월18일 토성 3 file 하준기 2006.11.20 1616
160 Solar System C/2006M4(SWAN) 2 file 조현우 2006.11.13 1029
159 Solar System C/2006 M4 (SWAN) 12 file 성대환 2006.10.25 999
158 Solar System 새벽의 B/W토성 4 file 정지원 2006.10.17 127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