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Deep Sky
2006.05.26 17:58

오랜만에 찍어본 홍염

(*.229.237.101) 조회 수 909 추천 수 62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06년 5월 26일 대전시민천문대 주 관측실
128mm 굴절망원경(F/8) + 코로나도 H-알파 필터(SolarMax 60)
니콘 쿨픽스 4500 + LV 25mm
촬영 데이터와 이미지 처리 방법은 지난번에 설명했던 것과 대동소이합니다.

오늘 모처럼 날씨가 좋아서 몇 장 찍어보았습니다.
초등학교 단체 관람객과 VIP(과기부 출입 기자단) 방문 때문에 많이 찍지는 못했습니다.
VIP 방문이 있는 날에는 카메라 사용이 제한됩니다. 높으신 분들 구경하는 모습 찍어야 하기 때문에...
어쨌거나, 오늘 촬영을 계기로 홍염 촬영과 이미지 처리에 대한 감각이 아직 살아있다는 걸 느꼈습니다.
김영혜 님이 올리신 사진에 비할 바는 아니지만, 나름대로 최선의 방법과 기법이 녹아 있는 사진입니다.
지난주에 CCD 촬영을 시도해 보았는데, 몇 가지 문제가 드러나 쿨픽스4500으로 되돌아왔습니다.
홍염 관찰용 망원경에 CCD를 걸어 놓으면 관람에 매우 큰 지장을 초래하게 되더군요.
그 외 여러 가지 기술적인 문제도 있고......
역시 시민천문대에서는 어포컬 촬영이 최적의 방법이라는 걸 새삼 깨달았습니다.
촬영 중에 관람객이 들어 오면 카메라만 떼어내면 그만이거든요.
CCD나 DSLR을 이용한 직초점 촬영은 근무 시간 중에는 아무래도 무리인 것 같습니다.
그럼, 새로운 홍염의 모습 즐감하십시오.^^
  • Hunsuk yoo 2006.05.26 19:03 (*.241.147.26)
    마치 화산에서 용암이 분출하는 것 같습니다...정말 멋진 사진입니다...
    그리고 기술 적인 질문이 있는데요...코로나도 H-알파 필터만 있으면 육안으로도 잘 보이나요?
  • 김동빈 2006.05.26 20:22 (*.229.237.101)
    육안으로는 훨씬 더 생생한 모습으로 보입니다. 온통 빨갛게 보이죠.
    그러나 위의 사진에 나타난 색깔은 육안으로 볼 때와는 많이 다릅니다.
    촬영시 변조된 색깔로 저장되며, 나중에 이미지 처리를 거치는 과정에서 더욱 심하게 변조됩니다.
  • 김영혜 2006.05.26 20:52 (*.64.143.233)
    정말 멋집니다.^^
    합성기법도 뛰어나시고요.
    제가 많이 배웁니다.
    동지가 있어 좋습니다. 나중에 한번 놀러가도되죠?
  • 김동빈 2006.05.27 12:04 (*.229.237.101)
    과찬의 말씀입니다.
    합성 기법은 별다른 게 없습니다.
    홍염이 잘 나온 것 한 장, 원반부 묘사가 잘 된 것 한 장, 모두 두 장을 골라서
    RGB 분해 후 채널별로 가장 보기 좋은 걸 골라서 다시 합성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합니다.
    아직 갈 길이 멀고도 멀지요^^;
    앞으로 태양 촬영에 관하여 좋은 의견 나눌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시간 나시면 저희 천문대에 놀러 오십시오.

준회원 사진 갤러리

준회원분들이 촬영한 천체사진만 올려주세요.

  1. by 송준엽

    달의 클라비우스 주변~ 7 file

  2. by 이상헌

    M81 M82 3 file

  3. by 전승표

    NGC6992(베일성운) 4 file

  4. by 이상헌

    M13 7 file

  5. by 고창균

    베일의 서쪽(ngc6960) 12 file

  6. by 이상헌

    북아메리카성운과 펠리칸성운 12 file

  7. by 이영욱

    울산 M27 6 file

  8. by 오동혁

    GRS 와 RS jr 2 file

  9. by 송준엽

    비가 와도 열심히~~ 3 file

  10. by 이권재

    까만사진^^ 2 file

  11. by 김동빈

    오랜만에 찍어본 홍염 4 file

  12. by 제철성

    나다회원님들 감사합니다. 0 file

  13. by 김삼진

    M-13 3 file

  14. by 김삼진

    이미지재처리<M-57(2006.05.10)> 2 file

  15. by 이권재

    여름대삼각형입니다. 1 file

  16. by 임재식

    무엇이 문제인지?? 0 file

  17. by 이권재

    양덕원을 아시나요~~? 7 file

  18. by 송준엽

    부끄럽지만.... 3 file

  19. by 김삼진

    m-57(고리성운) 5 file

  20. by 송준엽

    신고식 사진 '월령 11일 달' 2 file

  21. by 김삼진

    FN380테스트(M-17) 5 file

  22. by 양성우

    만들어 놓고 보니 재미있네요. 4 file

  23. by 하준기

    공양왕릉 - 5월7일 새벽 m 27 4 file

  24. by 김삼진

    M-65,66 6 file

  25. by 윤종성

    NGC7000(북아메리카 성운) 2 file

  26. by 임종필

    기록차원에서 하나 올려봅니다^^:북아메리카성운 7 file

  27. by 임재식

    월령 4.7 2 file

  28. by 임재식

    월령 3.7 2 file

  29. by 이상헌

    백조자리 감마성 부근 8 file

  30. by 김민규

    월령 사진 완성입니다. 8 file

  31. by 조현우

    M13 0 file

  32. by 고창균

    이른 M13 2 file

Board Pagination Prev 1 ...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54 Next
/ 5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