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Deep Sky
2005.03.09 13:37

Jupiter재시도

(*.144.143.87) 조회 수 1011 추천 수 80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오늘 Orion Telescope에서 신청한 SLR Steady Camera Pix Mount가 왔더군요. 어댑터살돈이 없어 이걸 샀습니다.
공부하다가 밤 11쯤에 허겁지겁 망원경 경통 10분 냉각시키고 찍어봤는데 시잉에 비해 기대이하의 사진이 나오군요.
그래도 전번보다 많이 나아진거 같아 기분은 좋습니다. ^^
상의 안정성이 사진에 얼마나 큰 영향을 끼치는지 새삼 깨닫게 되었습니다.

200Newtonian Reflector+EQ4-D+SLR Steady Camera Pix Mount+Canon A95동영상 30초
그중 205장 합성
아 그리고 질문요 레지스탁스를 제가 귀찮아서 그냥 Auto Process로 하는데 그래서 300장중에서 205장만 합성된걸까요? 수동으로해야 더 나은 사진을 만들수 있을까요?

  • 김경호 2005.03.09 13:40 (*.144.143.87)
    사용된 아이피스는 PL 27mm이고요 바로우는 GSO의 3배바로우, 망원경의 초점거리는 800mm입니다.
  • 김경호 2005.03.09 13:44 (*.144.143.87)
    아랫사진은 Neat Image 4.0에서 Strongly Sharpen and Focus out 2번한것입니다.
  • 김경호 2005.03.09 13:55 (*.144.143.87)
    질문 하나 더요. 전 목성 찍을떄 너무 밝아서 구경을 거의 다가리고 찍거든요(구경마개에 조그만 구멍이 2개 뚫려있구요 거기에 맞는 뚜껑이있어서 1개만 열수도 있고 다열수도 있더군요.) 뚫려있는구멍의 반지름은 약 4cm정도입니다. 윗사진은 뚫려있는 구멍 하나만 열고 찍었습니다. 이렇게 찍는거 맞나요? 아니면 그냥 밝은 상태로 찍어서 그담에 이미지처리를 어둡게 해야하나요 +_+ 헷갈;
  • 김영렬 2005.03.09 15:01 (*.232.128.96)
    가능성이 있어 보이네요. 경통을 가리는 것은 불리하니까, 일단 ISO 를 최대한 낮추고, 확대도 지금보다는 2배이상 더 해야 좋을 것 같군요. 아이피스를 교환하던가, 카메라 광학줌을 이용하던가... 그래도 여전히 너무 밝다면, 어쨌든 다른 방법을 생각해 보아야 할 거 같네요. 동영상은 세번 정도 찍어, 900장 정도를 합성해도 좋을 것 같군요. 선택은 수동으로 하는게 좋지만, 자동으로 해도 지금정도에서는 큰 차이가 없으리라 생각합니다.
  • 김경호 2005.03.09 20:56 (*.144.143.87)
    오늘 날씨가 좋으면 한번 1200장까지 합성해보려고합니다 ^^ 그리고 카메라의 광학줌을 최대로 한것이 저것입니다. ㅠㅠ.. 디지털줌은 동영상모드에서 안되더군요. 음. 아무래도 카메라의 F수를 늘리고 (저건 F4.0에 iso400 으로 한것이니 F를 8까지 늘리고 iso를 50까지 낮추어 봐야겠군요

준회원 사진 갤러리

준회원분들이 촬영한 천체사진만 올려주세요.

  1. by 이병국

    천안 호반에서의 첫 달사진 5 file

  2. by 김종호

    알비레오 5 file

  3. by 김형근

    M57 7 file

  4. by 임수현

    이번엔 달 사진입니다..^^;; 2 file

  5. by 강문기

    M27 3 file

  6. by 강문기

    M82 4 file

  7. by 강문기

    M42 6 file

  8. by 권한조

    상현달 6 file

  9. by 도영재

    실패한 말머리성운& 플레아이데스 5 file

  10. by 김희철

    허접한 장미성운 3 file

  11. by 김희철

    [re] 밑에사진 원본... 2 file

  12. by 이은호

    밑에사진 원본... 0 file

  13. by 이은호

    달...... 5 file

  14. by 김형근

    M65와 M66 8 file

  15. by 박교영

    달이에요... 1 file

  16. by 변수근

    3 file

  17. by 김종호

    오래전에 2 file

  18. by 신범영

    STL-11000 TEST SHOT 12 file

  19. by 김경호

    맑은 하늘의 달. 3 file

  20. by 김경호

    구름속의 달. 2 file

  21. by 성대환

    International Star party 4 file

  22. by 성대환

    초승달과 수성의 근접사진 0 file

  23. by 김희철

    M42 이미지 처리 2 file

  24. by 김경호

    Jupiter재시도 5 file

  25. by 도영재

    M42 오리온 처음도전... 11 file

  26. by 신승훈

    어머나 폰으로 찍은 달사진이에요 1 file

  27. by 김영재

    달착륙선에서 찍은 달의 크레이터 4 file

  28. by 김경호

    옛날 달사진 자료 리터치 6 file

  29. by 김경호

    처음으로 합성해 본 달. 0 file

  30. by 김희철

    [re] 주기오차 2 file

  31. by 김희철

    허접한 오리온성운(M42) 2 file

  32. by 황준엽

    ToUCam으로 처음 작업해본 결과입니다.. 0 file

Board Pagination Prev 1 ...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 54 Next
/ 5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