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Deep Sky
2004.05.14 22:10

대전 하늘의 니트(2)

(*.229.237.101) 조회 수 1388 추천 수 111 댓글 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니트 혜성(C/2001 Q4; NEAT)
250mm 굴절망원경 (250FRT, F9, F.L.=2250mm)
ST-8 CCD 카메라
필터 없이 180초 x 2장
2004년 5월 13일 대전시민천문대(대전시 유성구 신성동)

이미지 처리를 하던 중에 혜성 머리의 중심부에 핵으로 추정되는 형상을 찾았습니다. 이 혜성의 핵 자체가 길쭉하게 생겼는지, 아니면 다른 이유 때문에 그렇게 찍힌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가능성 1. 촬영 중에 혜성 자체가 흘렀거나(혜성 가이드를 하지 않았으므로),
가능성 2. 이 혜성의 핵 자체가 막대 모양처럼 변형되었거나,
가능성 3. 핵이 약간 찌그러져 있고, 마침 핵이 찌그러진 방향으로 혜성이 흘렀기 때문이다.

다른 분들의 사진에서는 어떻게 나타났는지 궁금합니다. 혹시 혜성의 머리 부분을 크게 찍으신 분들 안 계십니까?
  • 김영렬 2004.05.15 07:28 (*.58.19.198)
    혜성이 이동한 것입니다. 혜성의 이동이 빨라 10분은 말할필요도 없고, 90초에서도 이런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핵이 보다시피 워낙 밝아 이를 보면서 가이드 할 수 도 있었을 거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안시로 볼때는 시선방향의 다른 별인줄 착각했습니다. 그런데 사진을 찍어보니 이동을 하더군요.
    저는 시간이 나면 일부러 이모습을 올리려고 했는데, 여기에 이미 올려져 있군요
  • 이건호 2004.05.15 08:15 (*.101.108.100)
    계산해 보면 그날 니트는 1분에 10초각 정도를 천구에서 움직이고 있습니다. 6분동안 찍으셨으니 약 1분각 정도의 움직임이 찍혔을 것이구요.
    길게 찍히는 것을 방지하려면 노출시간을 줄이거나 조금씩 여러장을 찍어 혜성의 코마를 중심으로 합성할수 있습니다.

    자신의 초점길이와 픽셀사이즈를 염두에 두어 적절한 촬영계획이 필요한 대목입니다.
  • 김동빈 2004.05.15 12:23 (*.229.237.101)
    (1) 두 분 말씀에 감사드립니다. 그런데 위 사진은 혜성 핵을 중심으로 합성했으니 3분간의 움직임이 찍혔을 것인데, 실제로 찍힌 모양을 보면 3분간 흐른 것 치고는 너무 길게 나왔습니다. 핵 부분을 확대하여 살펴보니 단순히 흘렀다고만 보기에는 불균일한 형상이 보이는 것 같기도 합니다.
    (2) 이 사진 말고도 90초 노출로 찍은 것들도 있는데, 거기서도 핵이 길쭉하게 찍혔더군요. 90초짜리 사진은 구름 때문에 제대로 나오지 않아서 원 이미지 그대로 보관만 되어 있습니다.
    (3) 제가 사용한 망원경은 쇼와사의 250mm 플로라이트 굴절 망원경(250FRT)입니다. 이 망원경으로는 2~3분만 노출을 주어도 별상이 타원형으로 나타납니다. CCD 오토 가이드 기능을 활용하고 싶은데, 이 망원경에 적용 가능한지 알고 싶습니다. 별도의 프로그램을 짜야 하는지, 아니면 현재 알려진 프로그램 중에 쇼와 가대를 지원하는 게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아무리 하찮은 정보라도 좋으니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신기진 2004.05.15 22:11 (*.253.82.82)
    보현산에서 촬영한 사진을 보니 이 사진과 비슷하게 나왔습니다. 보현산에서는 핵이 여러조각으로 갈라진것이 아닌가라고 하던데요...
  • 김동빈 2004.05.15 22:55 (*.229.237.101)
    예, 저도 그 사진 보았습니다. 그런데 사진 설명을 다시 읽어 보니 "핵이 몇 개로 나누어진 것처럼 보인다"고 적혀 있군요. "핵이 몇 개로 나누어졌다"는 표현과는 분명히 다르다고 봅니다. 저는 혜성 가이드를 하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혜성 핵이 흐른 흔적이 매끈하지 않은 게 좀 이상하지만... 그건 그렇고, 별마로에서는 13일에 혜성이 보였는지요? 대전에서는 한 시간 남짓 구름이 걷혀서 관람 시간 사이의 빈틈을 이용해 몇 장 찍을 수 있었습니다. 수십 명의 관람객들도 주망원경으로 도심 하늘의 혜성을 봤습니다. 그 수십 명 중에 외국인 두 명만이 "환상적이다, 아름답다"는 말을 연발하더군요. 우리 나라 사람들과는 너무 대조적이었습니다.
  • 신기진 2004.05.16 13:55 (*.179.205.210)
    13일 저녁 8시부터 구름이 없어져 촬영을 하긴 했습니다만 300mm 망원렌즈로 촬영했습니다. 고도가 좀더 높아지면 주망원경으로 촬영할 예정이었는데 날씨가 영 도와주지 않네요. ^^ 마지막에 외국인의 반응은 저도 공감합니다. 요즘 대전에서 올라오는 사진에 깊은 관심이 갑니다. 앞으로도 좋은 사진 많이 부탁드리겠습니다.
  • 김동빈 2004.05.18 12:20 (*.229.237.101)
    신기진 선생님, 여기서 이렇게 만나게 되니 정말 반갑습니다. 별마로의 깨끗한 하늘과 천문대 아래로 내려다보이는 영월 읍내의 정경이 눈에 아른거립니다. 영월에서는 밤하늘의 아름다움에 감동한 적이 여러 번 있었습니다. 그런데 최근 그 비슷한 감동을 제게 전해 준 사람들이 있었지요. 바로 앞 글에서 언급한 외국인 말입니다. 두 분 다 나이가 꽤 들어 보였는데, 놀랍게도 그 중 한 분은 쪽지에 ISS 통과 시각과 예상 경로를 미리 적어 오셨습니다. 저는 그들과 함께 목성 근처를 지나가는 ISS를 보았습니다. 시민천문대 관측실에서 ISS를 보려고 시간 맞춰 찾아오는 모습, 그리고 철저한 준비 정신에 감탄했습니다. 목성 근처를 지나가는 ISS의 모습은 제가 봤던 여러 장면 가운데서도 압권이었습니다. 저 또한 영월에서 올라오는 사진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앞으로 시민천문대 차원의 교류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준회원 사진 갤러리

준회원분들이 촬영한 천체사진만 올려주세요.

  1. M16

    8월 7일 신풍재에서.. SCT 9.25 with reducer( f:6.3) , LPS_P2 filter 300D, EM 200 T Jr., NO touch guide ISO 1600 150sec x 15장 / Registax with noise reduction 중앙부 crop후 뽀샵, Neat image.. 색감은 뽀샵에서 제 취향대로.. 조정했습니다. ** 아...
    Date2004.08.09 CategoryDeep Sky By신병석 Views1195
    Read More
  2. M11(Wild Duck Cluster) & Asteroid Juno(3)

    ------------------------------------------------------------- Date : 2004. 07. 29. 00:13 - 00:14 (28 July, 2004. 15:13 - 15:14 UT) Object : M11(Wild Duck Cluster) & Asteroid Juno(3). Camera : Canon EOS 10D Telescope : Takahashi MT-200 Focal...
    Date2004.07.31 CategoryDeep Sky By염범석 Views1257
    Read More
  3. 간만에 사진 올립니다. 8인치 SCT, EQ-5적도의, 바더UV/IR필터, 투유캠 FULL AUTO 위 1000장 레지스탁스 합성 아래 800장 레지스탁스 합성 위 가운데 보이는거 슈뢰더계곡으로 알고있는데 맞는지 모르겠군요.
    Date2004.07.31 CategoryDeep Sky By남기현 Views1233
    Read More
  4. M8

    M8입니다. 노출이 조금 부족한 듯도 하지만.. 이렇게도 찍을 수 있구나.. 하는 정도로 보아주세요. ^^ 오리온 10"+EM200USD+300D+자작오토가이더
    Date2004.07.25 CategoryDeep Sky By신호철 Views1107
    Read More
  5. M27

    SCT 9.25 with reducer( F 6.3 )LPS -P2 filter/ EM200 Temma 2 Jr NO touch guide 300D, 90sec 12장합성. registax. PS . 7월 23일 무주 적상산 위의 사진은 Blue가 과도하게 보정한것 같아서 박병우님과 선숙래님의 멋진 사진을 참고삼아 7월 26일 색감조절...
    Date2004.07.24 CategoryDeep Sky By신병석 Views1555
    Read More
  6. M8&M20

    지리한 장마가 끝나던 7월 17일밤. 구름사이로 맑은 하늘을 보여주었던 공주 마티재에서.. SKY90 with flattener / EM200 Temma 2 Jr - NO touch guide / 300D with LPS 2 filter / 4분노출 3장 합성 / Registax PS neat image/crop후 1/3로 축소/
    Date2004.07.22 CategoryDeep Sky By신병석 Views1070
    Read More
  7. 석호성운과 삼열성운

    300D, EF70-200 F4L , GP 반자동가이드 ISO200 약 2분 노출 4장 합성 33% 리사이즈후 중심부 크롭 중원계곡 처음 해본 망원렌즈 촬영입니다. 일반 사진은 노출 오버는 절대피해야한다지만 천체사진은 노출 언더가 되면 디지털 처리가 훨씬 어려운 것 같습니다...
    Date2004.07.08 CategoryDeep Sky By유종선 Views1244
    Read More
  8. Helix nebula(NGC7293) / M17 - 두번째로 올려봅니다.

    6월 12일 밤 무주 신풍재에서. Cannon 300D , EM200 TEmma 2 Jr. No touch guide 1.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Helix nebula( NGC 7293)입니다. SKY 90 with flattner.. 300D ISO 1600 180sec Registax 3 매합성. Neat noise reduction 뽀샵조정후 crop & 1/2 resi...
    Date2004.06.14 CategoryDeep Sky By신병석 Views1435
    Read More
  9. 장비 구입후 첫 사진

    어제 집 앞에서 장비 구입 후 첫 테스트를 하였습니다. 아직 GP에 75SDHF를 올릴 수 없지만 적위측 모터를 부착하는 볼트 구멍으로 보이는 것이 있어 거기에 경통 밴드를 연결하였습니다. 기대했던 것 이상으로 괜찮은 결과를 얻었습니다. 릴리즈가 없어서 임...
    Date2004.06.13 CategoryDeep Sky By권기식 Views1550
    Read More
  10. 초승달과 금성

    Date : 2004. 5. 21. 20:32 Object : Crescent moon and Venus Camera : Canon EOS 10D Lens : Pentax 67 SMC 200mm(F4) Focal Length : 200mm F ratio : 5.6 Exposure : 3 sec ISO( ASA) : 400 Colorspace : sRGB Exposure Mode : Manual exposure Photograp...
    Date2004.05.22 CategoryDeep Sky By염범석 Views1167
    Read More
  11. M101

    M101 250mm 굴절망원경 (250FRT, F9, F.L.=2250mm) ST-8 180초 x 13장 2004년 5월 20일 대전시민천문대(대전시 유성구 신성동) 모처럼 하늘이 맑게 개어서 북두칠성 근처를 겨누어 보았습니다. 합성을 마치기 전까지는 이놈이 이렇게 큰 놈인지 실감할 수 없...
    Date2004.05.20 CategoryDeep Sky By김동빈 Views1155
    Read More
  12. Neat 5.14

    ニート彗星の新しい作品ができましたので、送らせて いただきます。 高度が高くなって条件も良く、撮影しやすくなりました。 尾がどのように変化するか今後が楽しみです。 松本 博久 Data 5.14 20:52 ε160 530mm F3.3 NJP S2Pro ...
    Date2004.05.18 CategoryDeep Sky By Hirohisa Matsmoto Views1224
    Read More
  13. 대전 하늘의 니트(2)

    니트 혜성(C/2001 Q4; NEAT) 250mm 굴절망원경 (250FRT, F9, F.L.=2250mm) ST-8 CCD 카메라 필터 없이 180초 x 2장 2004년 5월 13일 대전시민천문대(대전시 유성구 신성동) 이미지 처리를 하던 중에 혜성 머리의 중심부에 핵으로 추정되는 형상을 찾았습니다....
    Date2004.05.14 CategoryDeep Sky By김동빈 Views1388
    Read More
  14. 대전 하늘의 니트

    니트 혜성(C/2001 Q4; NEAT) 250mm 굴절망원경 (250FRT, F9, F.L.=2250mm) ST-8 CCD 카메라 필터 없이 180초 x 2장 사진에 나타난 혜성 색깔은 의사 색상(pseudocolor)으로 혜성의 밝기 분포를 표시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처리한 것이다(사실은 원본 사진이 너...
    Date2004.05.14 CategoryDeep Sky By김동빈 Views1312
    Read More
  15. Neat Q4

    2004/05/06 보현산 Canon EOS 10d FD 400mm 1:2.8L ASA 1600 F/4 e = 40s x 29 다시 처리하여 올립니다... 그냥 이미지 처리 없이 혜성 중심으로 얼라인하고 lighten 레이어 옵션으로 해버렸습니다;;; 5월 5일 저녁에도 찍었는데 하룻밤새에 놀랄만치 많이 올...
    Date2004.05.07 CategoryDeep Sky By김승남 Views1198
    Read More
  16. 개기 월식(Lunar Total Eclipse)-1

    개기식이 시작될 무렵 산으로 지는 달... ^^ 디카로 100여장 찍었는데 raw파일로 촬영을 해서 아직 대부분의 사진을 정리하지 못했습니다. 그중 잘 나온 사진 몇 장 중에서... ---------------------------------- Date : 2004. 05. 05. 04:48 (May. 04. 19:4...
    Date2004.05.06 CategoryDeep Sky By염범석 Views1081
    Read More
  17. 2003년 5월 5일 개기월식

    *ist D가 처음으로 이슬 맞는 날이었습니다.. ^^;
    Date2004.05.06 CategoryDeep Sky By권기식 Views1269
    Read More
  18. [re] M3 다시

    M3 250mm 굴절망원경 (250FRT, F9, F.L.=2250mm) ST-8 180초 x 1장 + 240초 x 1장 2004년 4월 24일 대전시민천문대(대전시 유성구 신성동) DDP 처리(2004년 5월 5일 ) 지난 번에 올렸던 사진을 조금 손본 것입니다. 멋없이 하얗게 퍼져 보였던 성단이 좀 나아...
    Date2004.05.05 CategoryDeep Sky By김동빈 Views806
    Read More
  19. M3

    M3 250mm 굴절망원경 (250FRT, F9, F.L.=2250mm) ST-8 180초 x 1장 + 240초 x 1장 2004년 4월 24일 대전시민천문대(대전시 유성구 신성동) 노터치 가이드로 몇 분간 노출이 가능한지 알아보기 위해 몇 장 찍었는데, 그 중 잘 나온 것 두 장을 겹쳐보았습니다....
    Date2004.05.01 CategoryDeep Sky By김동빈 Views973
    Read More
  20. 투유캠으로 찍은 달입니다. 포토샵에서 연결하였는데 몇장 부족하여 완전하지 않습니다. 2004. 4. 28. 9:00~9:20 TEC막스토프6", 투유캠, EM-10
    Date2004.04.29 CategoryDeep Sky By유형근 Views1142
    Read More
  21. 오랜만에 올리는 사진입니다. 갖고 있는 장비로는 이런 거 밖에 못 찍는군요.. ㅜ.ㅜ 빨랑 적도의를 사야지.. *ist D + Pentax 75SDHF (직초점) ISO 200, 1/200" 맥심을 구해서 나머지 사진 몇 장이랑 합성해봐야겠습니다..
    Date2004.04.29 CategoryDeep Sky By권기식 Views1512
    Read More
  22. M97 - 올빼미 성운

    M97 250mm 굴절망원경 (250FRT, F9, F.L.=2250mm) ST-8 150초 x 3장 + 180초 x 3장 + 300초 x 2장 2004년 4월 28일 대전시민천문대(대전시 유성구 신성동) 아무리 대전 하늘이라지만, 달이 떠 있을 때 찍어서 그런지 생각했던 것만큼 잘 나오지는 않았습니다....
    Date2004.04.28 CategoryDeep Sky By김동빈 Views1096
    Read More
  23. M51 - 소용돌이 은하

    M51 250mm 굴절망원경 (250FRT, F9, F.L.=2250mm) ST-8 180초 x 5장 2004년 4월 24일 대전시민천문대(대전시 유성구 신성동) 달이 없는 틈을 타서 연습 삼아 몇 장 찍어봤습니다. 대전 하늘에서도 웬만큼 찍히긴 찍히는데, 현재로선 3분이상 연속 노출이 불가...
    Date2004.04.24 CategoryDeep Sky By김동빈 Views1108
    Read More
  24. 몇몇장비가 더 오기까지...

    당분간 안산 1대학에서 관측하기가 힘들어질것 같습니다. 곧 축제다 뭐다 해서 야간대학 학생들도 분주해질 것이고 늦은밤까지 관측지 옆 운동장에 서치라이트가 낮처럼 밝아질것 같군요. 어제도 서치라이트가 대낮같이 밝았었습니다. 겨우 천정만 살짝열려 ...
    Date2004.04.17 CategoryDeep Sky By박정용 Views1285
    Read More
  25. M61

    얼마 전에 올렸던 M64와 같은 날에 찍은 것입니다. 얼마나 어두운 별까지 나왔는지 궁금해서 일부 별들의 등급을 확인해 보았습니다. 등급 자료는 Guide 7.0에서 뽑은 것입니다. M61 250mm 굴절망원경 (F9, F.L.=2250mm) ST-8 180초 x4 원본 이미지에서 다크 ...
    Date2004.04.16 CategoryDeep Sky By김동빈 Views977
    Read More
  26. M64 - 처녀작

    요즘 시간 날 때마다 CCD Astronomy(Christian Buil)를 읽고 있습니다. 이 책에 나온 대로 찍어 본 사진으로 저의 CCD 촬영 입문작입니다. 앞으로 자주 들어와 많이 배우고 가겠습니다. M64 250mm 굴절망원경 (F9, F.L.=2250mm) ST-8 180초 x 2 원본 이미지에...
    Date2004.04.13 CategoryDeep Sky By김동빈 Views1069
    Read More
  27. M83 / M84,86,87付近

    마쯔모토 히로히사씨로부터 오랜만에 사진이 도착했습니다. M83 31cm + MT-200Reducer 1200mm F4 BJ-42L L 5mX12 R 5mX3 GB 5mX2 (2X2) M84,86,87付近 EF300mmF2.8 + EF1.4X 420mm F4 BJ-42L L 5mX12 RGB 5mX2(2X2)
    Date2004.04.06 CategoryDeep Sky By황인준 Views1888
    Read More
  28. M101(퍼온사진)

    TEC 유저그룹의 Paul Kanevsky 님의 사진 입니다.. HX916는 가이드칩은 없으나 SBIG ST-2000XM보다 저가에 감도는 더 좋다고 합니다.. -January and February 2004 (four nights) -Equipment: TEC140 at F/7, HX916 CCD, G11 mount, ST-4 -Exposure: L(R+Ha)G...
    Date2004.02.28 CategoryDeep Sky By김영재 Views1436
    Read More
  29. [10d] orion

    Canon 10d EF 200mm 1:2.8L f/4.5 ASA 800 e = 89s x 13 e = 149s x 1 e= 209s x 1 경북 상주 04/02/23 음...ㅡㅗ ㅡ;;; 10d는 붉은 색과의 전쟁이라고 하는 말을 실감하겠습니다...ㅠㅗ ㅠ 찍고 보니 구도도 이상하군요... 조더 왼쪽으로 확! 돌렸어야는데.....
    Date2004.02.24 CategoryDeep Sky By김승남 Views1271
    Read More
  30. [10d] Markarians galaxy chain

    Canon 10d FD 400mm 1:2.8L f/4~5.6 ASA 400 e = 180s x 12 경북 상주 0219
    Date2004.02.23 CategoryDeep Sky By김승남 Views1097
    Read More
  31. [10d] T7

    10d FD 400mm 1:2.8L f/4~5.6 asa 800 e = 60s x 10 경북상주 고도가 너무 낮네요..ㅡㅗ ㅡ;;;
    Date2004.02.21 CategoryDeep Sky By김승남 Views1194
    Read More
  32. [10d] 안드로메다

    10d fd 400mm 1:2.8L f/4~5.6 e=120s x 8 더이상 고도가 낮아지기 전에 한컷 찍어야 겠다고 생각해서... 경북 상주
    Date2004.02.21 CategoryDeep Sky By김승남 Views116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Next
/ 5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