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Deep Sky
2004.04.13 00:21

M64 - 처녀작

(*.229.237.101) 조회 수 1069 추천 수 83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요즘 시간 날 때마다 CCD Astronomy(Christian Buil)를 읽고 있습니다.  이 책에 나온 대로  찍어 본 사진으로 저의 CCD 촬영 입문작입니다. 앞으로 자주 들어와 많이 배우고 가겠습니다.

M64
250mm 굴절망원경 (F9, F.L.=2250mm)
ST-8
180초 x 2
원본 이미지에서 다크 빼고 플랫(돔 플랫)으로 나눈 다음 합성 후 크기 조정
2004년 4월 10일 대전시민천문대
  • 선숙래 2004.04.13 10:32 (*.80.2.59)
    첫사진 축하합니다.처음부터 플랫필드까지 고려하시고,다음 사진이 기대됩니다.
  • 박병우 2004.04.13 12:13 (*.99.83.55)
    김동빈 선생님 반갑습니다. 몇년전에 저와 인터넷 인사를 했었지요. 아마 강원도의 초등학교 선생님으로 기억합니다.

    요위에 적힌 김선생님 홈페이지를 들어가보니까 역법에 관심이 많으신 모양입니다. 앞으로 만날 기회가 있으면 물어볼 것이 많습니다. 당장 궁금한 것은 옛날 사람들은 일년을 정확히 어떻게 측정해서 알았을까요?

    그럼 나중에 한번 만날 기회가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앞으로 많은 사진을 찍어서 올려주세요.
  • 황인준 2004.04.13 14:08 (*.150.205.56)
    멋지고 근사한 사진입니다.
    앞으로도 좋은 사진 많이 구경시켜 주세요^^
  • 김일순 2004.04.14 15:09 (*.104.39.80)
    여기서 만나네요.. 대전 생활은 재미있으시죠?
    우와~! CCD 사진 부러워라...
  • 김동빈 2004.04.14 16:01 (*.229.237.101)
    볼품없는 제 사진에 관심을 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사실, 시민천문대 장비를 가지고 이 정도밖에 못찍는다는 게 좀 부끄럽습니다. 앞으로 더 좋은 사진을 찍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일년의 길이 측정(박병우 님께):
    오랜 옛날에는 동지가 설날이었습니다. 하필이면 동짓날을 설날로 잡은 것은 일년의 길이를 정하는 방법과 상관이 있습니다. 옛 사람들은 땅에 막대기를 수직으로 세워 그림자 길이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동지 시각을 구했는데,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역법의 원리분석(이은성)'이나 '별과 우주 1999년 12월호(안상현)'에 실려 있습니다.
    -대전 생활(김일순 선생님께):
    대전 생활은 재미있으면서도 마음 아플 때가 많습니다. 별 사진을 찍는다던가 위치 계산을 하는 것은 재미있지만, 일주일에 5일을 떨어져서 사는 처자식을 생각하면...... 하지만 별 보는 데 몰입할 때만큼은 모든 근심 다 사라집니다. 아, 천문학적인 근심거리가 하나 있기는 있네요. 250mm 주 망원경으로 3분 이상 노출을 주면 별이 흘러버립니다. 관람객들에게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지만요.

준회원 사진 갤러리

준회원분들이 촬영한 천체사진만 올려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1 Deep Sky M16 4 file 신병석 2004.08.09 1195
170 Deep Sky M11(Wild Duck Cluster) & Asteroid Juno(3) 1 file 염범석 2004.07.31 1257
169 Deep Sky 1 file 남기현 2004.07.31 1233
168 Deep Sky M8 5 file 신호철 2004.07.25 1107
167 Deep Sky M27 3 file 신병석 2004.07.24 1555
166 Deep Sky M8&M20 file 신병석 2004.07.22 1070
165 Deep Sky 석호성운과 삼열성운 2 file 유종선 2004.07.08 1244
164 Deep Sky Helix nebula(NGC7293) / M17 - 두번째로 올려봅니다. 1 file 신병석 2004.06.14 1435
163 Deep Sky 장비 구입후 첫 사진 권기식 2004.06.13 1550
162 Deep Sky 초승달과 금성 2 file 염범석 2004.05.22 1167
161 Deep Sky M101 file 김동빈 2004.05.20 1155
160 Deep Sky Neat 5.14 4 file Hirohisa Matsmoto 2004.05.18 1224
159 Deep Sky 대전 하늘의 니트(2) 7 file 김동빈 2004.05.14 1388
158 Deep Sky 대전 하늘의 니트 file 김동빈 2004.05.14 1312
157 Deep Sky Neat Q4 4 file 김승남 2004.05.07 1198
156 Deep Sky 개기 월식(Lunar Total Eclipse)-1 7 file 염범석 2004.05.06 1081
155 Deep Sky 2003년 5월 5일 개기월식 5 file 권기식 2004.05.06 1269
154 Deep Sky [re] M3 다시 file 김동빈 2004.05.05 806
153 Deep Sky M3 4 file 김동빈 2004.05.01 973
152 Deep Sky 1 file 유형근 2004.04.29 1142
151 Deep Sky file 권기식 2004.04.29 1512
150 Deep Sky M97 - 올빼미 성운 file 김동빈 2004.04.28 1096
149 Deep Sky M51 - 소용돌이 은하 2 file 김동빈 2004.04.24 1108
148 Deep Sky 몇몇장비가 더 오기까지... 3 file 박정용 2004.04.17 1285
147 Deep Sky M61 3 file 김동빈 2004.04.16 977
» Deep Sky M64 - 처녀작 5 file 김동빈 2004.04.13 1069
145 Deep Sky M83 / M84,86,87付近 4 file 황인준 2004.04.06 1888
144 Deep Sky M101(퍼온사진) file 김영재 2004.02.28 1436
143 Deep Sky [10d] orion 3 file 김승남 2004.02.24 1271
142 Deep Sky [10d] Markarians galaxy chain 1 file 김승남 2004.02.23 1097
141 Deep Sky [10d] T7 file 김승남 2004.02.21 1194
140 Deep Sky [10d] 안드로메다 file 김승남 2004.02.21 1167
Board Pagination Prev 1 ...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Next
/ 5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