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Deep Sky
2017.02.16 17:25

말머리 성운

(*.175.9.101) 조회 수 178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제목 : 말머리성운
망원경/렌즈 : GSO RC 10"
카메라 : QSI690, Lodestar x 2 
마운트 : RST400 
필터 : Astrodon Truebalance L,R,G,B, H, S, O (5nm)
노출정보 : H 16 x 1200s, L 32 x 600s RGB 14 x 600s (each)
촬영장소 : 군위 RO 
촬영일시 :  2017-02-01,02,14
촬영후기 : 

당초 월령이 좋을 때 Ha RGB를 촬영하였는데, L 이미지 없이는 이미지가 잘 살아지지 않았습니다.

RGB합성본에서 꺼낸 L로는 한계가 느껴저서, 밝은 달 아래에서 L을 찍어봤는데 생각보다는 광해 영향을 많이 안 받은듯 보여지네요~

시야가 좁아서 이로운 점도 제법 있는 듯 합니다.

정병준님 말머리 보고 멀머리를 감싼 먼지 부분을 혹시나 볼 수 있을까 기대했는데, 안되는건 안되네요 ㅎㅎㅎ

먼지 색도 많이 다릅니다~


HLRGB 50% JPEG.jpg



  • 정병준 2017.02.16 21:12 (*.158.98.12)
    큼지막한 말머리네요. 제 처리와 색감은 조금 다르지만, 서로 나름의 매력을 가지고 있는것 같습니다. ^^
    리듀서를 쓰고 계신는지는 모르겠지만.. 리듀서를 쓰든 안쓰든 QSI690의 픽셀이 워낙 작아서 많이 오버 셈플링일 것 같은데
    2x2binning으로 촬영 해보시는건 어떨까요? 해상도가 낮아지긴 하지만 촬영과 처리가 많이 수월할것 같은데요.
  • 장민석 2017.02.18 00:31 (*.243.105.73)
    현재 시스템이 필셀당 0.5arc-sec 정도라서 사실 큰 의미는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간 국내 사이트에는 거의 50% 리사이즈로 올리고 있어서 실제 2비닝촬영이랑 다를바가 없어보이긴 합니다.
    다만, 해상도가 (1600 x 1400 정도) 너무 낮아서 나중에 혹시라도 현상할 때를 대비해서 계속 1비닝으로 찍었는데,
    현재 상황만 봐서는 그럴 일이 거의 없어 보이긴 하네요^^ 엽서나 찍어야 될듯해요~ㅋㅋ
    그렇지 않아도 최근 찍고 있는 M81번부터는 모두 2비닝으로 찍고 있긴 합니다.
  • 권한조 2017.02.19 22:02 (*.53.32.184)
    동의합니다.
    몇번 찍으면서 느낌점은 최적의 시스템은 1.0arc-sec/pixel 인것 같습니다.
    이를 f6 광학계로 환산하면 N인치 f6 광학계에서 N um pixl CCD를 사용했을때 거의 1.0arc-sec/pixel 인것으로 계산됩니다.
    8300ccd라면 bin1에서 5인치 굴절에 적합하고 bin2에서는 10인치 f6 RC(reducer 사용)가 적합하다는 의미도 됩니다.
    한국이 아닌 다른 곳이라면 더 작은 픽셀의 CCD를 사용하는 것이 많은 이점을 가져다줄수도 있다는 생각도 듭니다.

준회원 사진 갤러리

준회원분들이 촬영한 천체사진만 올려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75 Deep Sky 허접한 M1 4 file 오정식 2004.11.15 979
1674 Deep Sky 허접 M42 file 권기식 2004.12.24 948
1673 Deep Sky 허블우주망원경의 화성사진 3 file 이건호 2003.08.28 1933
1672 Deep Sky 해파리와 원숭이 5 file 장승혁 2009.03.27 1377
1671 Deep Sky 해파리 6 file 변성식 2007.01.24 997
1670 Deep Sky 해의 표면 2 file 성대환 2006.08.13 906
1669 Deep Sky 해송과 카시오페아자리 3 file 김규 2009.06.27 1267
1668 Deep Sky 해넘이 3 file 김종호 2009.01.12 1244
1667 Deep Sky 합성한번 해보았습니다...^^ 1 file 김경중 2005.07.26 897
1666 Deep Sky 한달만에 보는 달!!! 2 file 송준엽 2006.07.14 965
1665 Deep Sky 한국천문연구원과 간의.. 4 file 안해도 2010.02.25 1473
1664 Deep Sky 한계령에서 토스트 테스트 5 file 강지수 2011.09.15 1321
1663 Deep Sky 한강 8 file 이현석 2007.06.19 1109
1662 Deep Sky 한가위 보름달(2006/10/07 01:55) 8 file 양성우 2006.10.09 1022
1661 Deep Sky 학생들과 함께한.. file 전영준 2004.11.23 1036
1660 Deep Sky 하현으로 가는 달 11 file 권한조 2005.01.31 1162
1659 Deep Sky 하현가는 달 1 file 권한조 2005.04.22 1314
1658 Deep Sky 하현. 4 file 김민규 2005.12.25 962
1657 Deep Sky 하현(월령 22.51)의 달. 3 file 양성우 2006.10.18 1040
1656 Deep Sky 하이아데스 성단~ 2 file 윤종성 2007.12.11 1472
1655 Deep Sky 하이아데스 성단 4 file 윤종성 2007.12.01 1754
1654 Deep Sky 하룻밤 습작 모음집~ 8 file 송준엽 2006.09.03 1298
1653 Deep Sky 하루밤에... 1 file 임재식 2006.10.07 918
1652 Deep Sky 하늘에는 아름다운 보석이 한가득 4 file 조진원 2010.11.15 1554
1651 Deep Sky 필름은 다른맛 이네요 2 file 조진원 2010.11.03 1411
1650 Deep Sky 필름삽질-펜탁스67편 4 file 이권재 2008.09.23 1676
1649 Deep Sky 필름사진입니다. 하오터널편^^ 3 file 이권재 2008.02.27 1384
1648 Deep Sky 필름사진 입니다. *^^* 4 file 이권재 2007.12.25 1640
1647 Deep Sky 필름 사진 네 점 2 file 권기식 2003.11.25 1433
1646 Deep Sky 픽스인사이트의위력 장미성운 5 file 이기원 2014.02.08 1897
1645 Deep Sky 피타고라스주변부(FS60C 버전) 4 file 변성식 2006.08.10 1058
1644 Deep Sky 피츠버그 하늘의 화성입니다. 4 file 문재곤 2003.09.05 127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4 Next
/ 5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