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Deep Sky
2016.04.02 01:01

M1 게성운과 말머리성운 입니다

(*.139.52.235) 조회 수 395 추천 수 0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제목 :  M1 게성운과  말머리성운 입니다 

망원경/렌즈 :  셀레스트론 C8 (8인치 슈미트카세그레인) + 플래트너 Type4 ,   Zenithstar 66SD(가이드 경통)
카메라 :  EOS550D(LPF 필터개조, 주경통), QHY5L-II color(가이드경통)
마운트 :  스카이워쳐 AZ-EQ6, PHD가이딩 
필터 :  오리온 sky-glow 필터  
노출정보 :  장당 300초 노출, ISO1600 , - 후보정 : DSS 합성(라이트 16장 + 다크5장), 포토샵 보정
촬영장소 :  경기도 안성 무덤가
촬영일시 :  2015. 12. 19일 밤 11시30분 
촬영후기 :

M1 게성운 입니다..  장초점 SCT로 크게 찍어봅니다.

구름이 몰려와서 2시간 동안 5분 노출로 25장 찍고 16장 정도 건졌습니다.

M1_합성1_보정1_렌즈보정_1200X800.jpg



2. 말머리성운 입니다

망원경/렌즈 :  셀레스트론 C8 (8인치 슈미트카세그레인) + 플래트너 Type4 ,   Zenithstar 66SD(가이드 경통)
카메라 :  EOS550D(LPF 필터개조, 주경통), QHY5L-II color(가이드경통)
마운트 :  스카이워쳐 AZ-EQ6, PHD가이딩 
필터 :  오리온 sky-glow 필터  
노출정보 :  장당 300초 노출, ISO1600 , - 후보정 : DSS 합성(DSS 합성.  라이트 26장 + 다크6장), 포토샵 보정
촬영장소 :  경기도 안성 무덤가
촬영일시 :  2015. 12. 12일 새벽 3시 
촬영후기 : 

말머리성운 SCT로 크게 찍어봅니다.

슈미트카세그레인 경통은 F수가 커서 딥스카이에는 불리하지만 크게 찍을 때는 좋은 것 같습니다.

IC434_말머리_151211_합성2_보정2_1200X800.jpg









  • 김상욱 2016.04.02 09:36 (*.151.120.182)
    사용해 본 적이 없기는 하지만 C8으로 굉장히 잘 찍으신 것 같습니다.
    촛점거리가 길면 가이드하기도 까다로웠을 텐데 장비 운용도 잘 하시는 것 같습니다.
    좋은 이미지 잘 보았습니다.
  • 김도익 2016.04.05 15:06 (*.36.147.152)
    감사합니다.. 초점거리 2000mm에 AZ EQ6로는 그런대로 가이드가 되는 것 같습니다..^^
  • 이건호 2016.04.04 20:42 (*.101.107.100)
    예전, 필름으로 단초점 굴절 사진이 주 였을떄, 조상호님이 SCT로 찍은 오리온 말머리 사진을 보고 허걱 했었는데, 그떄 그 느낌이 납니다.
    잘 찍으셨어요.!
  • 김도익 2016.04.05 15:10 (*.36.147.152)
    감사합니다.. 저도 조상호님의 책에서 SCT에 필름카메라로 찍은 사진을 봤습니다.. 초점 잡기와 확인이 바로 안되어 지금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이 어려웠을 것 같은데요 ..존경스럽습니다..

준회원 사진 갤러리

준회원분들이 촬영한 천체사진만 올려주세요.

  1. by 임경순

    왕초보 연습사진 4 file

  2. by 임경순

    왕초보 연습사진입니다 ^^ 1 file

  3. by 류호열

    Orion 성운과 말머리 성운 4 file

  4. by 임경순

    강원도 고향에서 0 file

  5. by 이재림

    고산 페리제의 밤하늘 1 file

  6. by 류호열

    기린자리의 암흑성운 B 8,9,11,13 등등 2 file

  7. by 류호열

    황소자리의 먼지들 3 file

  8. by 이재림

    디보체의 피쉬아이 - II 2 file

  9. by 이재림

    디보체의 은하수와 오리온 3 file

  10. by 이재림

    눕체 위의 오리온 3 file

  11. by 이재림

    디보체의 Fisheye. 3 file

  12. by 이재림

    팍딩의 삼태성과 대성운 2 file

  13. by 류호열

    페루세우스에서 황소자리까지 9 file

  14. by 류호열

    m78 5 file

  15. by 류호열

    Sh2-240 15 file

  16. by 안정철

    IC2177 부산갈매기 4 file

  17. by 안정철

    Pleiades versus California 5 file

  18. by 오상도

    ic443 Jellyfish(해파리성운) 5 file

  19. by 임종필

    m37 4 file

  20. by 이재림

    겨울철 대 삼각형. 5 file

  21. by 임종필

    m1 5 file

  22. by 정병준

    M38 8 file

  23. by 정병준

    김장날 월식 5 file

  24. by 정병준

    오리온과 러닝맨 3 file

  25. by 임종필

    m82 1 file

  26. by 정병준

    M42 오리온대성운 3 file

  27. by 이재림

    안나푸르나와 데네브. 3 file

  28. by 이재림

    설산위의 카시오페아. 3 file

  29. by 이재림

    안나푸르나의 설산. 3 file

  30. by 이재림

    지난 몽골의 추억 - II 0 file

  31. by 이재림

    지난 몽골의 추억 - I 2 file

  32. by 성화중

    오리온대성운, 크리스마스트리 6 file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54 Next
/ 5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