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Deep Sky
2012.01.11 08:59

페루세우스에서 황소자리까지

(*.206.30.167) 조회 수 1214 추천 수 41 댓글 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2011년 마지막으로 찍은 사진입니다.
크리스마스 연휴에 날씨가 좋고 밤도 길어 2일 동안 찍었는데, 첫날 여러가지 실수로 인해 할당량을 다 못찍고
노출을 줄여서 2일 째 다 찍으려고 하였는데, 마지막 9번 째 frame이 고도가 낮아 나무가지가 가득 들어 있어서
다음날 또 나가게 되었습니다. 10% 오버랩 하였는데, 우주가 평평하지 않아서 나중에 사진을 만들려고 하니
주변부를 많이 잘라내게 되었습니다. 원래는 오버랩을 줄이고 400mm 화각으로 찍으려고 계획했다가 이런 이유로 300mm로
좀더 넓게 찍고 오버랩을 늘렸는데, 생각했던 것 보다도 주변부 어긋남이 많아서 crop 하고 보니 화각이 많이 줄어들었습니다.
아래쪽에 암흑대가 더 길게 있는데, 자르려니 조금 아까웠습니다. 67렌즈가 이미지 써클이 넓기는 하나 16803 화각에서는 귀퉁이 광량저하가 상당합니다. 플랫을 안찍고 후처리로 때우기에는 한계가 있는 듯 합니다. 전반적이 색발란스가 아직도 조금 어색합니다. 결과물을 보고 싶은 조급함에 이정도선에서 후처리를 마무리 했습니다. 플랫을 찍어야 하나 고민이 많아집니다.

  • 김일순 2012.01.11 09:24 (*.110.19.32)
    역작입니다.
    어떻게 한 눈에 보는 방법이 없을까요? 너무 넓어서... 감탄하다가... 길 잃었습니다. ^^
  • 신병석 2012.01.11 10:55 (*.208.80.127)
    올리시는 사진마다 모두 작품이군요.. 대단합니다.
    9프레임 모자익에 25%크기이군요.. 원본크기로 보면 정말 할말을 잃겠습니다.
    16803은 플렛이 제대로 들어가지 않으면 처리하기 어려운듯합니다.
    귀퉁이 짜르고 나면 화각이 11000이나 똑같다는 .. ㅠㅠ
  • 김삼진 2012.01.11 14:44 (*.121.8.236)
    광활한 우주입니다.화각이 자르고도 이정도이니 16803 엄청납니다.^^
  • 김광욱 2012.01.11 15:21 (*.94.146.226)
    Pix 를 쓰시면 모자이크에 신경을 안쓰셔도 된다니까요...^^;; (http://pixinsight.com/videos/StarAlignment/Mosaic/en.html)
  • 이재림 2012.01.11 21:12 (*.113.54.96)
    붉은색이 제대로 표현 되었네요... 저는 엄두도 못낼 사진 같습니다...
  • 신범영 2012.01.12 01:38 (*.125.200.43)
    배경에 있는 옅은 붉은색 성은이 멋집니다.
    STL 11K는 적색감도가 낮아서 어려운데 FLI는 적색 감도가 좋은 것 같습니다.^^
  • 류호열 2012.01.12 09:22 (*.206.30.167)
    참고 삼아 원본의 모자잌 사진을 추가해 봅니다. 모자잌 설계도를 성도에 그리며 딱 칸이 9개짜리인 바둑판입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면 조금씩 칸이 어긋나지요..^^ 매일 같은 시간대에서 1 프레임씩 찍는다면 완벽한 바둑판은 아니더라도 원래 계획한 화각을 다 담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다들 아시겠지만 구의 표면을 모자잌하려면 사실 한프레임 찍고 그 주변 프레임을 찍을 때 angle을 조금씩 돌려 찍어서 한쪽면은 오버랩이 적게 한쪽은 조금 많이 해야 하는데, 경계선의 별의 어긋남이 줄어듭니다. 물론 이런 모자잌을 지원하는 성도프로그램도 있습니다. 하지만 회전장치에 눈금을 그려넣고 매번 angle을 돌려서 화각을 성도와 매칭하는 정성이 있어야겠지요. 포토샾에서 모자잌 합성을 할때 오토옵션을 선택하면 경계부에 별이 일치하지 않는 부분을 일정부분 지우고 어느정도 맞는 부분을 연결해 줍니다. 물론 주변부가 늘어지는 인위적인 왜곡이 생기는 9개 프레임도 무리없이 연결해줍니다. 하지만 이사진은 reposition 옵셥으로 붙혔고 경계부분은 어색하지않게 수동으로 레이어를 덮어서 다시 덧붙혔습니다. 확실하지는 않지만 경험상 500mm 광학계에 16803 화각정도(227X227 분 시야각)가 경계면이 어색하지 않게 붙는 것 같습니다.
  • 이준화 2012.01.12 14:51 (*.125.184.70)
    정말 놀라운 사진입니다. 감탄하지 않을 수 없군요. 대단하십니다.
  • 안정철 2012.01.25 17:39 (*.139.43.218)
    대단합니다..
    모자잌 동지가 생기니 더욱 좋습니다.
    반시계방향 으로 10도정도만 돌렸으면 더큰 화각으로 볼수 있었을텐데 ..
    앞으로도 기대해봅니다..
    지구는 잘크죠?

준회원 사진 갤러리

준회원분들이 촬영한 천체사진만 올려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Deep Sky 페루세우스에서 황소자리까지 9 file 류호열 2012.01.11 1214
1610 Deep Sky 팍딩의 삼태성과 대성운 2 file 이재림 2012.01.11 995
1609 Deep Sky 파주 보광사 3 file 조진원 2010.12.17 1564
1608 Deep Sky 파주 마타사의 7공주(누군지 불참한 애도 있음) 5 file 조용현 2008.02.02 1501
1607 Deep Sky 트라페지움 일병 구하기 2 file 박성준 2004.11.05 1099
1606 Deep Sky 투유켐 테스트샷 file 오동혁 2006.02.05 664
1605 Deep Sky 투유캠으로 두번째 찍은 화성 3 file 김일순 2003.09.04 1261
1604 Deep Sky 투유캠. 월면일부 모자이크. 4 file 김민규 2006.08.11 844
1603 Deep Sky 투유캠. 모자이크 입니다. 5 file 김민규 2006.01.11 913
1602 Deep Sky 투유캠 첫 작품 ^^ 3 file 김경호 2006.08.03 814
1601 Deep Sky 투유캠 찍어 봅니다. 3 file 김민규 2005.12.25 884
1600 Deep Sky 투유캠 사진입니다. 5 file 김민규 2006.08.08 895
1599 Deep Sky 투유캠 사진 8장입니다. 2 file 김민규 2006.08.16 909
1598 Deep Sky 투유캠 보름달 모자이크. 6 file 김민규 2006.10.07 991
1597 Deep Sky 투유캠 모자이크. 5 file 김민규 2006.08.12 807
1596 Deep Sky 투유캠 몇 장 올립니다. 3 file 김민규 2006.10.31 775
1595 Deep Sky 투유캠 달 모자이크.10월12일 새벽. 3 file 김민규 2006.10.12 893
1594 Deep Sky 투유캠 달 모자이크. 7 file 김민규 2006.09.03 925
1593 Deep Sky 투유캠 달 모자이크. 3 file 김민규 2006.10.05 886
1592 Deep Sky 토르의 투구 7 file 장민석 2017.02.14 385
1591 Deep Sky 테스트샷 - 장미, 삼태성 6 file 장승혁 2009.03.18 1517
1590 Deep Sky 테스트샷 - 백조자리 데네브 주변 8 file 장승혁 2009.05.25 1206
1589 Deep Sky 큰개왼쪽동네_080301 2 file 김호섭 2008.03.03 1175
1588 Deep Sky 크리스마스트리성운 12 file 변성식 2007.02.25 958
1587 Deep Sky 크리스마스트리 성운 2 file 김영대. 2015.12.04 251
1586 Deep Sky 콘성운 7 file 전승표 2008.02.29 1435
1585 Deep Sky 코페르니쿠스, 달 북부 2 file 김경호 2005.05.21 1057
1584 Deep Sky 코페루니쿠스??? 3 file 남명도 2003.05.12 2385
1583 Deep Sky 코쿤성운(NGC5146) 6 file 전승표 2008.08.07 1521
1582 Deep Sky 코로나도 P.S.T 더블스택 7 file 김종호 2013.06.17 1139
1581 Deep Sky 캠코더로 찍은 달 file 어진선 2003.08.10 1901
1580 Deep Sky 캘리포니아와 플라이아데스 1 file 윤종성 2014.04.16 107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4 Next
/ 5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