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Deep Sky
2010.09.06 01:01

각 500mm & 700mm 화각의 M31

(*.112.103.159) 조회 수 1809 추천 수 226 댓글 1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번
- 촬영일시 : 2010년 9월 4일 22:00시부터 익일3:00시까지
- 촬영장소 :  인제 상남면
- 마 운 트 : Takahashi em200 temma2
- 망 원 경 : Pentax 105 SDHF *0.72 reducer
- 가 이 드 : Pentax 75 SDHF, PHD,DSI,gp-usb
- 카 메 라 :  Astro40d
- 노출정보 : ISO1600  600초4장, ISO800  600초6장+300초 1장+ 60초3장
- 보      정: Nebulosity합성, 포토샵 레벨  조정

2번
- 촬영일시 : 2010년 8월 17일 22:00시부터 익일3:00시까지
- 촬영장소 :  철원 수피령
- 마 운 트 : Takahashi em200 temma2
- 망 원 경 : Pentax 105 SDHF
- 가 이 드 : Pentax 75 SDHF, PHD,DSI,gp-usb
- 카 메 라 :  Astro40d
- 노출정보 : ISO1600  600초2장, ISO800  600초4장+300초 2장+ 180초2장+60초 1장
- 보      정: Nebulosity합성, 포토샵 레벨  조정

같은 경통 다른 촛점거리로 각각 촬영해봅니다..





  • 이광호 2010.09.06 09:24 (*.234.50.27)
    안드로메다를 가장 아름답게 표현하신거 같습니다
    동그란 별상이 인상적입니다
  • 전승표 2010.09.06 12:25 (*.103.83.29)
    별상 요렇게 예쁘게 처리하는 기술은 어느 학원 가면 가르쳐주나요? ^^
    딱 좋은 화각에 화려한 색감이 눈을 즐겁게 해주네요.
  • 선숙래 2010.09.06 17:01 (*.222.198.55)
    화각에 따른 안드로메다,멋지고 좋습니다.
    CCD보다 좋네요.
  • 장승혁 2010.09.06 20:29 (*.123.115.118)
    하나의 경통으로 두개의 화각을 쓸 수 있으니 좋네요. 나선팔의 산광성운이 일품입니다.
  • 김일순 2010.09.06 23:10 (*.204.216.82)
    이거 뭐... CCD가 눈물을 흘리고 가겠습니다.
  • 심재훈 2010.09.06 23:59 (*.56.16.108)
    대단한 사진입니다. ccd 구입을 안하셔도 될 듯 합니다.
    언제나 멋진 사진으로 늘 감탄하며 보고 있습니다.
  • 안정철 2010.09.07 15:59 (*.139.43.178)
    아직 부족한 실력과 사진에 좋은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박영식 2010.09.08 09:32 (*.219.33.111)
    휘감는 나선팔에 성운, 성단들까지 정말 잘 나왔네요 ^^
  • 김정식 2010.09.08 19:38 (*.204.135.46)
    처리가 놀랍고도 놀랍습니다.
    CCD가 필요없으시겠습니다.
  • 조진원 2010.11.01 16:28 (*.178.229.203)
    정말 멋지게 담으셨네요~~
    아흐~~달려가고 싶네요~~

준회원 사진 갤러리

준회원분들이 촬영한 천체사진만 올려주세요.

  1. 투유캠 모자이크.

    생각보다 어렵습니다.ㅠㅠ 어제보단 시상이 나은(?) 것 같기도 하고.. 조금 넓게 찍은 6장을 모자이크 해 보았습니다.^^
    Date2006.08.12 CategoryDeep Sky By김민규 Views807
    Read More
  2. 투유캠. 월면일부 모자이크.

    사진을 올리려고 와보니 최승용님의 월면 전면 투유캠 사진이 있네요.;; 멋진 사진을 보고나서.. 부끄러워 망설여 졌지만 그냥 올려 봅니다.ㅡ.ㅜ.... 더불어 예전 사진도 함께 올립니다. 코페르니쿠스 입니다..^^ 군데군데 검은 동그라미 들은 캠에 묻은 먼...
    Date2006.08.11 CategoryDeep Sky By김민규 Views844
    Read More
  3. 깨달음!!!!

    광학계의 성능 차이라는걸 몸소 실감한 사진입니다........ 잘려고 누우니.... 창 밖에 달이 휘엉청~~ 퀭~~하니 밝아서. 우선 징후아 90mm 굴절, 촛점거리 500mm 에 350D 직촛점 촬영. 촛점을 아무리 맞추어도..... ETX 로 찍은 결과를 보고 나서야!!!!! 징후...
    Date2006.08.10 CategoryDeep Sky By송준엽 Views1170
    Read More
  4. 피타고라스주변부(FS60C 버전)

    2006.08.06 10시35분 분당 야탑 아파트베란다 투유켐 5배바로우 FC60C 500프레임 피타고라스주변부 사진입니다 : 조금마한 계곡도 보이내요..(한번찾아보삼?)
    Date2006.08.10 CategoryDeep Sky By변성식 Views1058
    Read More
  5. 월령 14.3일

    디테일 살리기기 정말 힘든 것 같습니다.^^;; gpd+오리온옵틱스 250(f4.8)+d50(직초점) iso 200, s : 800 오토레벨 후 커브스 조절
    Date2006.08.09 CategoryDeep Sky By임재식 Views791
    Read More
  6. 중국산(옥션표 200mm F/4)+ToUcam Pro II+Eq4d+주경가리개(Contrast조절) 아파트 베란다 새벽1시 8월 9일 수요일 레지스탁스 약 300매 합성후 포토샵에서 이미지처리 주경 분해능의 한계인거 같네요 ㅎㅎ.
    Date2006.08.09 CategoryDeep Sky By김경호 Views876
    Read More
  7. 투유캠 사진입니다.

    며칠 전 찍은 것과 오늘 찍은 것 2장씩 입니다.^^ 두 번째 사진은 며칠 전 4장 모자이크입니다. 시상이 좋지 못한 건지.. 초점이 부정확한건지.. 좀 뿌옇게 나왔습니다.-_-;;
    Date2006.08.08 CategoryDeep Sky By김민규 Views895
    Read More
  8. 이게 천체인가요? 비행기인가요?

    안녕하세요. 평소에 사진만 구경하다가 궁금한 일이 생겨서 이렇게 용기를 내어 사진을 올려봅니다. 저희집 옥상에서 전갈자리를 촬영했는데, 왼쪽 상단에 초록빛의 빛무리가 찍혔습니다. 촬영데이터는 다음과 같구요.. 필름카메라인데다 적정노출값을 알수가...
    Date2006.08.08 CategoryDeep Sky By최영삼 Views992
    Read More
  9. 슈레터 계곡 (FS60C버젼)

    2006.08.06 10시20분 분당 야탑 아파트베란다 투유켐 5배바로우 FC60C 400프레임 ---------- 베란다에서 관측은 즐겁지만 시상이 안좋다..하지만 더울때 선풍기 옆에서 관측할수 있으니 이또한 재미있는 관측이다. 극축이맞지않아 그런지 시야에서 빨리사라지...
    Date2006.08.07 CategoryDeep Sky By변성식 Views1053
    Read More
  10. 천왕성

    상이 좀 흘렀습니다,다음에 다시 도전..기록차원.. *장비:보그100ED(F/6.4),LV5,2.5배 파워메이트,쿨픽스4500(ISO400),GP적도의 *레지스탁스,포토샵 *2006/08/02(대부도)
    Date2006.08.05 CategoryDeep Sky By조현우 Views1105
    Read More
  11. M57

    노출70+60 2장합성
    Date2006.08.04 CategoryDeep Sky By조현우 Views756
    Read More
  12. M27

    쿨픽스4500이 딥스카이용으로는 부적합하지만 함 찍어보고 있습니다. *장비:보그100ED(F/6.4),LV25,LPS-P2,쿨픽스4500,GP적도의(노터치) *M27(60초X2장) 포토샵 **2006/08/02(대부도)
    Date2006.08.04 CategoryDeep Sky By조현우 Views803
    Read More
  13. 방금 전에 올린 사진 다시 손본겁니다.

    두번 올리는 이유는.. 세개가 올라가지지 않아서 ㅋ 비교 부탁해요~ 어떤것이 적당한 이미지 처리인지...물론 원본이 안좋아서 판별하기 어려우시겠지만 ㅋ
    Date2006.08.03 CategoryDeep Sky By김경호 Views795
    Read More
  14. 투유캠 첫 작품 ^^

    장비:중국산 200 Newtonian Reflector F/4+ Toucam Pro II 840k + Eq4d 촬영장소: 아파트 베란다(유리닫혀있는 상태에서;;;) 투유캠 첫 작품입니다. 초당프레임 10, 주경가리개 사용, 레지스탁스 약 300매 합성(자동모드) 초점이 빗나갔는지 아니면 실력이 부...
    Date2006.08.03 CategoryDeep Sky By김경호 Views814
    Read More
  15. NGC 6992 베일성운

    2006. 8. 1 양평 epsilon e-180ed 300D w/o LPF w/ LPS-P2 iso800 3minx9 EM200 Temma2 no-touch guide 주변부 crop 50% resize
    Date2006.08.02 CategoryDeep Sky By이상헌 Views838
    Read More
  16. 장마 뒤의 달.

    오랜만에 하늘이 트여 관측소에 가보았습니다. 간만의 맑은 하늘에 후배들도 와있더군요. 달이나 다시 한 번 찍어 봤습니다.^^ 고도가 꽤 낮아 시상이 최상은 아닌 듯 하네요.ㅎㅎ
    Date2006.08.01 CategoryDeep Sky By김민규 Views660
    Read More
  17. 보현산 천문대 서쪽....

    천문대에 방해될까봐 항상 주차장에서 사진을 찍는데... 천문대 앞까지 가는 분들도 계신가 봅니다. 밤 11시 새벽1시에도 자동차 헤드라이트를 켜고 천문대 안에서 나오시는 분이 계시더군요. ???? 밤에 차가 나오는건 한번도 못 봤는데.... 천문대 직원이 그...
    Date2006.08.01 CategoryDeep Sky By송준엽 Views782
    Read More
  18. 벌써 떠오르는 플라이아데스

    2006.7.31 보현산 천문대. 350D. ISO1600. 환산촛점거리 36mm. 노출 30초. 1장. 한달 반만에 별을 볼 수 있었습니다. 아직 적도의도 마땅찮고... 그래도 350D 는 질렀고 해서 그냥 삼각대에 고정 시켜 놓고 이런 저런 사진을 찍어 보고 왔습니다. 동쪽으로 벌...
    Date2006.08.01 CategoryDeep Sky By송준엽 Views814
    Read More
  19. NGC6992 NGC6960

    안녕하세요~ 울산의 정홍우입니다 이번 장마기간에 NADA 회원분들의 조언을 듣고 10D의 LPF를 제거했습니다 다시한번 감사의 말씀드립니다 저도 나다에 첫 포스팅입니다^^ 아직 실력이 많이 딸려서 너무 부족한 사진입니다 10D(LPF제거,켄코 MCUV장착)+200.8(...
    Date2006.07.29 CategoryDeep Sky By정홍우 Views823
    Read More
  20. M27

    나다에는 첫 포스팅이군요. 몇달만에 하늘이 열여서 대부도로 갔습니다. 7월22일 대부도 대남초등학교 주차장 모기한테 엄청 물리면서 작업 PENTAX 105 SDHF + 350D (LPF제거 국내 모싸이트의 H@ 투과 필터 장착) JP-160+FS2 + PENTAX 75SDHF + TUCAM PRO2 AU...
    Date2006.07.27 CategoryDeep Sky By박재기 Views1002
    Read More
  21. 별 비

    날짜 : 2006년 2월 초순 장소 : 기장 죽성마을 부근 장비 : 300D,18-55mm(18mm), 30sec+80min 지겨운장마..
    Date2006.07.24 CategoryDeep Sky By이영진 Views975
    Read More
  22. 달사진 리터치

    Image Process란의 황인준님의 글을 읽고 옛날 달사진 다시 처리해 봤습니다. 아래가 재처리한 달사진입니다. 투유캠이 어제 도착했는데 어댑터가 없어서 아무것도 못하네요 ㅎㅎ 아쉬운마음에 Image Process란을 보면서 공부하고 있답니다. 단초점 중국산 20...
    Date2006.07.21 CategoryDeep Sky By김경호 Views842
    Read More
  23. 한달만에 보는 달!!!

    [Canon] Canon EOS Kiss Digital N 1/250ms F0/1 ISO200 징후아 DT90 굴절 (구경 90mm, 촛점거리 500mm) 밤 11시쯤 밖에 잠깐 나갔다가.... 구름 사이로 달이 나온 것을 보고 급하게 집에 들어왔습니다. 그런데 망원경 잡고 카메라 연결하니 또 구름 뒤로 숨...
    Date2006.07.14 CategoryDeep Sky By송준엽 Views965
    Read More
  24. 오늘도 한 컷...

    오늘도 한 컷 했습니다. gpd+d50 오리온250(f 4.8)
    Date2006.07.07 CategoryDeep Sky By임재식 Views860
    Read More
  25. 어제 밤...

    어제 촬영해 봤습니다. fc76+2.5파워메이트(가운데)와 오리온 250(f4.8)(아래) 각각 달 촬영을 해 봤습니다.^^; 근데 오리온이 더 잘 나온 듯 합니다. 목성은 오리온+2.5파워메이트로 촬영했는데, 초점이 안 맞아서 영~~~~삐리릿한 것 같습니다.
    Date2006.07.04 CategoryDeep Sky By임재식 Views849
    Read More
  26. 여름철 은하수

    어제는 망원경을 설치하기 위해 아리조나 하늘 마을에 갔습니다. 날씨가 안 좋아서 잠을 청했습니다. 그런데 1시경 일어나니 옅은 구름이 있지만 그래도 열려 있었습니다. 서산으로 기우는 은하수를 찍어 보았습니다. 역시 안좋아서 여름철 대삼각과 은하수를...
    Date2006.06.29 CategoryDeep Sky By성대환 Views1118
    Read More
  27. cocoon

    2006. 6.24 양평 epsilon e-180ed 300D w/o LPF w/ LPS-P2 iso1600 3minx8 주변부 크롭 50% resize 중간중간에 구름도 흘러가서 붉은성운 주위를 감고 있는 옅은 성운은 잘 안보입니다.
    Date2006.06.27 CategoryDeep Sky By이상헌 Views948
    Read More
  28. 대상 확인 (IC1396)

    케페우스 자리에 있는 성운 IC1396입니다. 너무 어두워 필름으로 찍을 때도 잘 못찍었던 대상입니다. 사실 크기만 했지, 모양도 밋밋하고 특징도 별로 없어 잘 환영받지 못하는 대상인 것 같습니다. 망원경 접을려다 박명 시간이 좀 남길래 '그동안 잘 있었니...
    Date2006.06.15 CategoryDeep Sky By고창균 Views1009
    Read More
  29. 떠오르는 백조좌

    2006. 3. 31 양평 중원계곡 300D w/o LPF EF 24mm F2.8(F4.0) 5min x 3
    Date2006.06.11 CategoryDeep Sky By이상헌 Views874
    Read More
  30. 흑점 근처

    2006년 6월 10일 대전시민천문대 주 관측실 128mm 굴절망원경(F/8) + 코로나도 H-알파 필터(SolarMax 60) 니콘 쿨픽스 4500 + LV 25mm 촬영 데이터와 이미지 처리 방법은 지난번에 설명했던 것과 대동소이합니다. 오늘 오전에 구름이 몰려오기 전에 서둘러 찍...
    Date2006.06.10 CategoryDeep Sky By김동빈 Views805
    Read More
  31. 빛줄기 크레이터들...

    2006년 6월 9일, 대구 아파트 베란다. 장비 : ETX105EC 카메라 : Meade LPI 동영상 캡쳐 : K3CCD 합성 : registax, 800프레임 사진1. TYCHO Crater 사진2. BULLIALDUS Crater K3CCD 에서 Meade LPI 의 노출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을 발견했습니다....
    Date2006.06.09 CategoryDeep Sky By송준엽 Views1273
    Read More
  32. ngc6334 & ngc6357

    안녕하세요? 별만세의 고창균입니다. 조금 오래전에 찍었었던 사진입니다. 제가 다니는 강원도 화천 수피령은 남쪽에 광해가 좀 있지요. 게다가 워낙 낮은 곳의 대상이라 찍을까 말까 고민하다가 테스트 겸하여 찍었었습니다. '혹시나' 했지만 '역시나'였습니...
    Date2006.06.08 CategoryDeep Sky By고창균 Views104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 54 Next
/ 5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