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토론방
2005.10.25 13:40

사진촬영시 방향?

(*.111.41.219) 조회 수 9161 댓글 1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여러분들은 천체사진을 찍으실 때 어느 방향을 위쪽으로 잡으시나요?
천체사진이라는 것이 특별히 위 아래가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서
아무렇게나 잡아도 되지만 대체로는 북쪽이 위가 되도록 잡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잡다 보면 화각이나 대상의 특성에 따라서는 끄트머리가
잘리는 경우도 있을 것입니다.

저는 지금은 엄청 넓은 광시야 (4x5 도) 의 필름 사진을 찍고 있으므로
그다지 고민하지 않고 항상 북쪽이 위로 가도록 찍고 있습니다.
이럴 경우는 때에 따라서 세로 구도 사진이 나오기도 하죠
(오리온 대성운 같은 경우)

장초점이나 면적이 작은 CCD 를 쓰시는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1) 항상 북쪽이 위로 가도록 찍는다
2) 대상의 배치에 따라서 북쪽이 위로 가게, 혹은 서쪽이 위로 가게 찍는다
3) 방향에 상관없이 대상이 가장 잘 들어올 수 있는 각도로 찍는다


  • 김일순 2005.10.25 14:02 (*.104.39.86)
    그다지 생각해본 일은 없습니다만... 저의 경우는 3번 입니다.
  • 박영식 2005.10.25 14:25 (*.219.33.111)
    찍을때에도 가능하면 북쪽이 위로가게 찍구요...
    이미지 처리후 올릴때는...
    "1. 항상 북쪽이 위로가게 찍는다." 입니다... ^^
  • 황인준 2005.10.25 14:46 (*.85.130.40)
    3입니다.
    하지만 행성은 다릅니다.
  • 신병석 2005.10.25 17:39 (*.208.80.4)
    3번.. 한표.. 이미지 올릴때도 맘에드는 방향으로.. 한표
  • 이건호 2005.10.25 18:57 (*.120.233.221)
    개인적인 취향인지라 다양하네요.
    저는 두 대상을 집어 넣거나, 구도를 틀어야 화각에 들어가는 대상등을 제외한 거의 모든 대상을 북쪽이 위 또는 좌,우 90도를 틀어 찍고 있습니다.
  • 이건호 2005.10.25 19:28 (*.120.233.221)
    사람들이 많이 찍어서 구도가 익숙해져서 인지 몰라도,
    큼지막한 대상들도 0,90,180,270도 화각에서 안정되게 보이는 것들이 대부분입니다.
  • 박성준 2005.10.26 15:39 (*.248.11.89)
    아직 초심자 성향때문인지 저도 그다지 생각해본적은 없지만, 경험상으로 3번인듯 싶습니다. ^^
  • 이경화 2005.10.27 09:10 (*.120.171.236)
    에.. 또.. 보는 사람은 3번이 제일 싫습니다.^^
  • 박대영 2005.10.27 18:11 (*.98.199.203)
    제 경우도 3번입니다. 가능한 한 화각에 대상이 들어오도록 구도를 잡기때문입니다.
  • 황인준 2005.10.27 23:10 (*.204.207.223)
    경화누님 싫다고 까지... TT;


    장초점 사진은 가이드성때문에..
    단촛점 사진은 화각과 구도때문에
    그리고 기본적으로 기록사진이 아니기에
    어떤경우는 나만의 안정도를 추구하다 보니..
    또 아주 약간은 사진의 Originality를 추구하다 보면
    또 아주 약간은 카피해서 가져가도 내것인지 알 수 있도록...
    그냥 막 찍습니다.
    긴 측면은하는 대각구도가 멋있는 것 같고.
    손오공 성운은 괜히 바로 서 있어야 될 것 같고.
    M42가 주인공이면 러닝맨은 약간 기울어져야 할 것 같고..
    꼭 돼지모양 같은 IC1848은 돼지 같아서 세워줘야 할 것 같고..
    ㅎㅎ.. 하여간 전 쉽게 말해 개념도 없고 제 멋대로내요..^^
  • 이건호 2005.10.28 08:12 (*.101.107.100)
    요즘은 RA 수평으로 CCD를 설치해 놓고 아예 건들지를 않습니다. (무인이기에 변경할 방법도 아직 없지만요,)
    이렇게 고정시켜 놓으면, 초점과 오토가이드 학습이 매번 필요없고, 자동센터링 학습도 필요 없고, 여러가지 잔 일들이 줄어드는 이점이 있습니다. 오토가이드도 CCD XY축과 RA,DEC축이 맞으면 추적 성능이 조금 향상됩니다.
  • 황인준 2005.10.28 08:53 (*.207.96.178)
    건호씨 궁금증 두가지가 있는데 배웁시다..^^
    1. 은하 같은 것 찍을때 가이드 성은 어떻게 해요?
    2. 사진 보면서 늘 느끼는 것인데 스파이더가 십자면 불루밍 처리하면 회절이 밑에 쪽 것이 없어지기도 하는데 건호씨 사진은 그렇지 않더군요.. 혹 다름 프로그램으로 처리하나요? 처리 노하우라도..
  • 이건호 2005.10.28 12:12 (*.101.107.100)
    the sky에서 화각 보고 별이 없으면 아예 촬영할 생각을 접고 있습니다. 꼭 필요한 사진이면 나중에 현장에 가서 180도 또는 90도 돌려 찍고 있습니다.
    요즘 외국 RO 들을 보면 로테이터를 꼭 달던데 이런 것이 있으면 좋겠단 생각입니다.
    블루밍은 R. wadaski의 debloomer 쓰고 있는데, 잘 됩니다. 아랫쪽으로 많이 블루밍이 새겨서 가끔 스파이더상이 아래쪽만 사라지기도 하는데, 문제되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아주 약간 (5도정도) 돌려 찍기도 했었습니다.
    맥심에 있는 블루밍제거 툴은 좀 이상한 작동을 하는 것 같아 안 쓰고 있습니다.
    debloomer는 30일간 평가판인데, 처음 설치할때만 PC날짜를 30년 뒤로하고 설치하면 30년 동안 쓸수 있는 트릭이 있습니다. 아 이런거 올리면 전화오는데... ^^
  • 신범영 2005.10.28 14:32 (*.39.192.19)
    EM200+FSQ106+STL11K조합에서 화각은 비교적 자유롭지만 STL의 비대칭적인 구조때문에 회전각도에 따라 적도의의 발란스가 바뀝니다. 경험상 파인더의 반대쪽에 STL의 무거운 부분이 오도록 위치하면 서로 상쇄되어 균형이 잘 맞는 것 같아서 방향설정에 고려하고 있습니다.
  • 황인준 2005.10.28 15:54 (*.85.130.40)
    아하 그럴 수도 있군요..
    혹시 팸 프로 같은 것도 그렇게 쓸 수
  • 최훈옥 2005.11.12 14:03 (*.104.13.198)
    가이드성 넣기 쉬운 대상들은 어떤게 있을까요? 대상을어렵게 카메라에 넣어도 가이드망원경 들여다보며 대략 좌절..
  • 이건호 2005.11.13 20:29 (*.120.233.228)
    주경의 초점길이에 따라 가이드성이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어요. 미리 The SKY의 FOV 창으로 확인해 놓는 것이 좋습니다.

천문장비 개조.자작.뉴스.사용기.팁

천문장비 정보들의 모임(카메라제외)

  1. [re] 12인치 뉴튼 플랫

  2. [re] 플랫을 찍을때 궁금한 것?

  3. 플랫이 이렇게 찍히네요.^^

  4. about flat combine~

  5. 사진촬영시 방향?

  6. [re] 행성촬영 및 staking에 대해 궁굼한점...

  7. Maxim vs IRAF

  8. 모니터의 밝기는....

  9. F:4에 쓸 코마콜렉터????

  10. 행성촬영 및 staking에 대해 궁굼한점...

  11. 혹시... EQ6 분해해 보신분 계시나요 ?

  12. 냉각팬을 달아야 할까요 ?

  13. 천체사진에 영향을 주는 요소 - 우선순위

  14. 사진촬영용 망원경의 선택?

  15. 모노CCD가 좋을때

  16. 슈미트카세그레인 보정판에 쌓인 먼지

  17. 40D vs 4000XCM

  18. 가이드 망원경 후보....

  19. 컬러CCD가 부러울때

  20. EQ6 분해 2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