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00.197.215) 조회 수 503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천체사진에 별이 흐를 때 3 (NJP 측정 결과)

사실 표류이탈법을 요 아래의 교재를 보고서 습득한 것은 아니고, 김흥수씨께 문의를 하여 배운 후, 자료를 보니 그 내용이 있었습니다.

제 가대는 약 1년 전에 요 아래의 방법대로 지방항성시를 이용하여 극축을 맞추고 난 후 한번도 손댄 일이 없었습니다. 그렇더라도 안시관측에서는 전혀 문제가 없었습니다. 자동탐색시 별 도입도 문제가 없었습니다. 또 가대 무게 발란스가 안맞더라도 가대가 죽어나지 사용자가 죽어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무게발란스는 대충해놓고 사용했었습니다. 그런데 사진 촬영을 하니 이상하게 별이 튀고 난리 부루스를 치길래 극축을 의심하게 됩니다. 처음 한번 맞추고 난 후 손댄일이 없었으니까요.

표류이탈법으로 별 흐름을 조사해보니 남북방향의 별흐름은 전혀 없었습니다. 표류이탈법에서는 동서방향의 별흐름에 대한 언급은 없습니다. 그 이유는 뭣이냐하면 동서방향 흐름은 적경 모터의 회전수에 의한 것인데, 이것은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는 항목이 아니기때문입니다. 적경축의 빠르기는 지구의 자전속도와 같도록 설정되어있고 이것은 메이커에서 정확히 세팅을 하여 출하시킵니다. 만약 가대가 이것이 정확치 않다면 그 가대는 불량가대입니다.

근데 제 가대는 남북방향은 괜찮은데 동서방향의 흐름이 있었습니다. 이게 왔다갔다하면 ‘주기 오차’이지만 제 가대는 별이 동쪽 방향으로 계속 벗어났습니다. NJP 가대의 주기오차는 +-4초각입니다.

‘이거 가대가 완전히 꼬물이구만’

처음에는 가대의 속도가 별속도보다 빠르다고 생각했습니다. 동쪽으로 별이 흐르므로...그러나 이것은 별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했습니다. 왜냐하면 사양서의 주기오차가 +-4초이고 약 500배로 가이드 아이피스로 보았으므로 4초X500=2000초의 크기이므로 별이 충분히 가이드 아이피스의 원밖으로 벗어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참 무식하지요.

지난 번에 김흥수씨와 이야기를 나누면서 별이 1초에 15초를 이동하므로, 가대를 정지시키고 아이피스를 들여다봐서 1초 사이에 얼마나 가는 것이가를 보았습니다. 이것의 약 1/4이 사양서 주기오차인데 그렇게 따지니 주기오차내에서 별이 이동하는 것은 그야말로 작은 값이었습니다.

둘이서 다시 측정해보았습니다. 역시 동쪽으로 별이 흘렀습니다. 그러나 동쪽으로 흐른다는 것은 모터의 속도가 느리다는 이야기이지요. 흥수씨가 가대의 무게발란스를 다시 잡았습니다. 다시 측정을 해보니 가이드아이피스 작은 원안의 별이 시간이 지나도 꼼짝않고 있었습니다.

‘역시 무게 발란스 문제였구나...’

이렇게 해서 무게 발란스를 잡고 사진을 찍으니 확실히 별이 덜 흘렀습니다. 그러나 때에 따라서 흐르는 것도 나오고 안흐르는 것도 나옵니다.

‘이건 왜 이럴까?’

*PS: 잠이 와서 다음에 적겠습니다.

천문장비 개조.자작.뉴스.사용기.팁

천문장비 정보들의 모임(카메라제외)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 사용기.팁 박영식님~ 마스킹 방향에 관해서... 3 file 전영준 2007.11.28 6364
23 사용기.팁 SXD 하루 사용기 1 file 박성래 2007.12.09 7284
22 사용기.팁 수리점 소개 선숙래 2008.03.04 6980
21 사용기.팁 gemini41 review 5 file 서종길 2008.03.29 7110
20 사용기.팁 Tec140 review 2 file 서종길 2008.04.08 7932
19 사용기.팁 스카이워쳐 십자선 아이피스 개봉기 박성래 2008.04.23 6964
18 사용기.팁 gm2000적도의 review 2 file 서종길 2008.04.27 7083
17 사용기.팁 TMB130 F7 주변화각 별상 테스트기 9 file 전영준 2008.06.08 7578
16 사용기.팁 국산쌍안경 camron 12x26 3 file 황형태 2009.03.23 6984
15 사용기.팁 캠론 쌍안경 사망했습니다..ㅠ 1 황형태 2009.04.09 6633
14 사용기.팁 7월 22일 일식관련 사진장비 인터뷰내용중[천문가이드내용] 1 이용정 2009.05.27 6591
13 사용기.팁 일식때 일식이 있는 풍경을 찍자~~ 1 file 이용정 2009.06.02 6613
12 사용기.팁 개기일식 연속촬영 2탄 file 이용정 2009.06.08 8910
11 사용기.팁 FD300mm 전용 가죽 케이스 박현권 2009.07.31 5476
10 사용기.팁 Takahashi EM-200b 분해하기... 2 file 박영식 2010.02.03 5947
9 사용기.팁 MPCC 자료 6 file 장승혁 2010.06.24 4630
8 사용기.팁 MPCC와 쌍곡면 미러의 조합 file 장승혁 2010.07.05 5129
7 사용기.팁 보그 신형 리듀서 0.78X DGT (7878) 의 백포커스와 실배율 file 장승혁 2010.08.27 5600
6 사용기.팁 Morning Calm 300GE First Light 1 file 황인준 2011.03.23 5013
5 사용기.팁 스카이트래커 리뷰 (SkyTracker review) 1 염범석 2013.04.17 459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