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기기정보
2009.03.19 23:35

쌍안경의 분해능

(*.38.63.66) 조회 수 609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망원경의 분해능이란 그 망원경이 분간해낼 수 있는 두 점광원 사이의 최소의 각으로 보통 초각으로 표시되는데, Dawes에 의하면 어떤 망원경의 분해능은 117/D 초각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D는 대물렌즈의 직경으로 mm단위임)

천체망원경에 있어서 분해능은 그 망원경의 성능을 나타내는 가장 중요한 스펙중의 하나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시판되는 쌍안경의 스펙에는 보통 분해능이 표기되는 일이 없습니다.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어떤 사람의 교정시력이 1.0이라면 그 사람의 눈은 60초각의 분해능을 갖게 됩니다. 즉, 그 사람의 눈은 60초각보다 작은 각거리는 도저히 분해를 할 수가 없는 거죠.

그 사람이 7x50쌍안경을 갖고 있다고 합시다. Dawes에 의하면 그 쌍안경의 (엄밀하게 말하면 쌍안경 대물렌즈의) 분해능은 117/50 = 약 2.34초각입니다.

그런데 2.34초각 떨어져 있는 이중성을 7배로 확대해봤자 2.34 x 7 = 약 16.38 초각에 불과하기 때문에 눈의 분해능이 60초각에 불과한 그 사람은 도저히 그 이중성을 분해할 수가 없습니다. 즉, 그 쌍안경의 대물렌즈가 2.34초각이라고 말하는 것은 그 사람에게 아무 의미가 없는 것입니다.

실제로 그 사람이 자신의 쌍안경으로 분해해낼 수 있는 최소의 각거리는 60/7= 약 8.6초각입니다. 8.6초각은 돼야 7배로 키워서 60초각을 만든 다음에 비로소 분해를 할 수 있는 거지요. 물론 8.6초각은 대물렌즈의 분해능인 2.34초각보다 훨씬 큽니다.

그러므로 천체망원경의 분해능이 대물렌즈의 직경으로 결정되는데 반해서, 쌍안경의 분해능은 그 쌍안경의 배율에 의해서 주로 결정됩니다.

다만, 배율이 구경에 비해서 상당히 크게 되면 그 쌍안경의 분해능은 더 이상 배율에 의존하지 않고 구경에 의존하게 되는데요, 그 한계배율을 계산하는 방식은... 쌍안경의 분해능이 그 대물렌즈의 분해능에 도달할 때 까지 배율을 키우면,

                     60/한계배율 = 117/D

(교정시력 1.0인 사람 기준입니다). 따라서,

                     한계배율 = D x 60/117 = (약) D/2

예를 들어서, 교정시력 1.0인 사람의 경우 구경 25mm인 쌍안경이라면 한계배율은 약 12.5배가 되겠네요.
이 한계배율을 넘어가게 되면 더 이상 자세하게 보이는 건 없다고 봐야합니다.

이렇게 보면 왜 10x42 쌍안경이 7x50 쌍안경보다 이중성을 더 잘 분해하는가를 이해할 수 있겠습니다. 한계배율 내에서 쌍안경의 분해능은 그 쌍안경의 배율에 의존하는 값이기 때문이지요. ( 물론 아주 잘 만들어진 쌍안경들의 경우입니다)

* NADA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9-03-23 12:17)
  • 전영준 2009.03.20 14:53 (*.138.203.2)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잘읽었습니다.
  • 황인준 2009.03.20 21:51 (*.229.212.218)
    천천히 읽어 보았습니다.. 좋은 정보입니다.
  • 이건호 2009.03.23 10:12 (*.101.107.100)
    두고두고 읽도록 정보 게시판에도 복새해 놓겠습니다.

천문장비 개조.자작.뉴스.사용기.팁

천문장비 정보들의 모임(카메라제외)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3 기기정보 전체 해상도 보조 설명 6 file 박병우 2003.05.01 3911
102 기기정보 재미있는 분해능, 유효배율, 천체 사진 촬영 이야기 박병우 2004.02.07 6294
101 기기정보 이혁기님의 글 보조설명/ 건호님과 의견 수렴 내용, 향후 과제 73 file 박병우 2003.05.07 4139
100 기기정보 이준화님의 아래 글에 대한 답변과 마지막 설명 file 박병우 2003.04.30 3615
99 기기정보 이 그래프에 대해 3 박병우 2003.05.01 3650
98 기기정보 오토가이드 팁 - 정세윤님의 글 정세윤 2005.05.06 8392
97 기기정보 여러가지 이견이 생기는 배경에 관하여(원문이 사라져버렸습니다.) 이준화 2003.05.01 3467
96 기기정보 압력 조절 에탈론 1 file 김종호 2015.03.03 1037
95 기기정보 아이피스의 시야와 밝기의 관계 황형태 2009.04.01 5079
94 기기정보 아이피스 시야링의 직경 1 황형태 2009.05.31 5486
93 기기정보 아이피스 겉보기시야각 측정하기 file 황형태 2009.03.26 7349
92 기기정보 쌍안경의 최단거리, 안폭, 광축, 주변상 간의 관계 1 황형태 2009.09.19 7244
» 기기정보 쌍안경의 분해능 3 황형태 2009.03.19 6090
90 기기정보 신천체? 발견시... 박영식 2005.07.01 6015
89 기기정보 스파이더 형태에 따른 회절상 최신버전 6 file 김태환 2015.03.31 1180
88 기기정보 샤오미 액션캠 4 이준화 2015.03.04 1148
87 기기정보 빅센 코마코렉터 신형출시 예정 4 김광욱 2015.06.26 658
86 기기정보 분해능 / 해상력 / 콘트라스트 및 광학계의 선택 1 file 이건호 2003.05.01 3830
85 기기정보 반사망원경의 초점면 100% 조명범위 2 황형태 2009.04.17 5195
84 기기정보 박병우님의 해상력 정의에 대하여 file 이준화 2003.04.30 366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