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기기정보
2008.06.29 13:48

플래트너와 초점면까지의 거리

(*.111.41.230) 조회 수 6719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굴절망원경으로 사진촬영을 할 때는 보통 상면을 평탄화시키는
플래트너를 사용하게 되지요. 대부분의 리듀서가 플래트너 기능도
포함하고 있구요.

리듀서/플래트너와 초점면까지는 보통 최적 거리가 정해져 있어서
거리가 맞지 않으면 보정 능력이 떨어집니다.  
유명한 회사의 것이면 대개 이 거리가 명시되어 있고, 그게 아니라도
시스템 차트에서 유추할 수가 있는데, 이름모를 회사의 것이나
자작 리듀서의 경우는 거리를 정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야후의 TEC 그룹에 롤랜드 크리스텐 아저씨가 여기에 대해 글을 쓴
것이 있어서 요약해서 옮겨 봅니다.


1. 플래트너를 조립하고 초점면의 중앙에 있는 별로 초점을 맞춘다.  
   그러면 주변부의 별은 부어 보일 것이다.

2. 주변부의 별에 초점을 맞추면서 중앙부의 초점 위치와 비교한다.

3. 주변부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초점을 더 빼내야 한다면
   상면은 바깥으로 휘어 있는 것이고, (상면의 곡률이 + )
   이 경우 플래트너와 초점면이 너무 먼 것이므로
   거리를 좁혀야 한다.

4. 주변부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초점을 안쪽으로 밀어넣어야 한다면
   상면은 안쪽으로 휘어 있는 것이고 (곡률이 - )
   플래트너와 초점면이 너무 가까운 것이므로 거리를 더 떨어뜨려야 한다.

5. 거리를 조절할 때는 2.5mm 정도 단위로 하는 것이 안전하다.

6. 초점면이 광축에 정확히 직각이어야 한다. 양쪽 끝이 0.5mm 만 기울어져
   있어도 별이 길쭉하게 찍힌다.


그런데 플래트너와 초점면까지 거리를 맘대로 조절하는 것이
일반 사용자들에게는 쉬운 일이 아니어서 얼마나 도움이 될지는 모르겠습니다.
  • 유종선 2008.06.29 23:31 (*.166.62.7)
    오호.. 정말 좋은 정보 입니다. 이준희님은 정말 사이언스베슬 같습니다.
  • 전영준 2008.06.30 09:05 (*.138.203.2)
    그렇군요..
    회사별 제작된 플래트너 보정거리 자료를 참고해서 세밀한 세팅을 할 때 참 도움이 많이 되겠습니다.
  • 최승용 2008.07.01 18:20 (*.78.47.6)
    잘 보았습니다.

천문장비 개조.자작.뉴스.사용기.팁

천문장비 정보들의 모임(카메라제외)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 기기정보 광량부족과 수차보정 1 이준화 2006.03.20 6806
42 기기정보 Rolland Christen 의 오일간격 렌즈에 대한 글 이준희 2006.03.21 8674
41 기기정보 EQ6 주기오차 테스트 1 file 박진홍 2006.12.04 8785
40 기기정보 SX260 주기오차 테스트 file 박진홍 2006.12.25 7996
39 기기정보 Temma PC 와 Temma 2 의 비교 1 file 이준희 2008.06.13 6181
» 기기정보 플래트너와 초점면까지의 거리 3 이준희 2008.06.29 6719
37 기기정보 고정밀도 광학계를 써야 하는 이유 1 이준희 2009.01.09 6080
36 기기정보 쌍안경의 분해능 3 황형태 2009.03.19 6090
35 기기정보 아이피스 겉보기시야각 측정하기 file 황형태 2009.03.26 7349
34 기기정보 아이피스의 시야와 밝기의 관계 황형태 2009.04.01 5079
33 기기정보 망원경 배율 이야기 1 황형태 2009.04.03 10693
32 기기정보 반사망원경의 초점면 100% 조명범위 2 황형태 2009.04.17 5195
31 기기정보 뉴튼식 반사망원경의 옵셋 공식 1 황형태 2009.04.21 5702
30 기기정보 굴절망원경 론키상 테스트 리스트 6 file 황인준 2009.04.24 4975
29 기기정보 SN10 광축맞추기 file 황형태 2009.05.08 5090
28 기기정보 망원경의 실시야각 측정하기 황형태 2009.05.19 6675
27 기기정보 아이피스 시야링의 직경 1 황형태 2009.05.31 5486
26 기기정보 미러쎌 자작 시 참고할 수 있는 수학적 결과 한가지... 5 file 황형태 2009.06.16 8128
25 기기정보 [수정] 뉴튼식 반사망원경의 옵셋 공식 황형태 2009.06.23 6779
24 기기정보 쌍안경의 최단거리, 안폭, 광축, 주변상 간의 관계 1 황형태 2009.09.19 724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