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기기정보
2004.03.09 12:11

합성초점거리를 구하는 엑셀파일

(*.101.108.100) 조회 수 6056 댓글 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CCD나 투유캠이나 디카 등으로 확대촬영을 할때 과연 합성초점거리가 얼마나 되는지 알 수 없어 고민하시는 것을 보고 엑셀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몇가지 정보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합성초점거리를 구해 줍니다. 아주 정확하지는 않지만 아이피스~CCD면 등 어림짐작하는 것보단 꽤 정확합니다.


아래 내용과 사진은 위 엑셀파일에 포함된 예제입니다.
==============================================
기록된 이미지를 보고 합성 초점거리를 구하는 표                                
skymate9@hanmail.net                                노란색 부분만 입력하시면 됩니다.
http://astrophoto.co.kr                                
                                
X좌표        Y좌표                        
304        150        한점의 좌표 (맥심 등에서 확인)                
329        423        다른 한점의 좌표 (맥심 등에서 확인)                
274.1422988                두 좌표사이의 차이                
5.6        um/px(화소사이즈  투유캠 :5.6   ST-10: 6.8  10D: 약7.38)                        
1535.196873        um                        
1.535196873        mm (실제기록된 크기)                        
41.2        arcsec (두점 사이의 실제 각거리, jupiter polar diameter TheSKY등에서 확인)                        

FL = w / (2 tan(d/2))          (d가 라디안일때)                                
     = 약 206265 x (w/d)     (d를 초각으로 표시할 때)                                
                                
FL =          7,686         합성초점거리 mm                
f=          30.7         합성초점비                
M=        5.1         확대율                
                                
fl=         1,500         망원경의 초점거리 mm                
D=        250.0         구경(mm)                
F=        6        초점비                원망원경


** Ths Sky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두 지점의 각거리 알기                                
1. 한 별을 마우스로 찍습니다.                                
2. 다른 별을 마우스로 찍습니다.                                
3. Object Information 창이 뜨는데 맨 아래에 보면 처음 찍은 별에서                                 
  현재 별까지의 각거리를 표시해 줍니다.                                
  • 박현권 2004.03.09 14:19 (*.126.9.12)
    정말 유용한 자료입니다.
    평상시 행성사진찍을 때, 초점거리가 얼마나 되는지, 남들은 어떻게 계산하였는지 궁금하긴 하였는데, 감사히 쓰도록 하겠습니다.
  • 최승용 2004.03.09 18:10 (*.187.167.129)
    저는 쓰고 싶어도 맥심이 없어서 사용할 수가 없겠군요.^^
    저도 알고 싶어요^^.
  • 박현권 2004.03.09 18:33 (*.126.9.12)
    꼭 맥심이 아니더라도,
    그냥 그림판 띄우시고 마우스 포인터 가져가 보시면
    해당 픽셀의 좌표값이 밑에 상태표줄에 나타납니다.^^
  • 박병우 2004.03.09 19:17 (*.99.83.55)
    예 행성의 경우도 이렇게 하면 아주 쉽게 계산이 될 수 있군요.

    그런데 승용씨 포토숍(=뽀샵)에도 픽셀수가 자동으로 나오더군요. 그기 화면 오른쪽 그림판있지 않습니까. 두번 째 그림판인가를 보면 마우스를 움직이면 숫자가 짜르르~ 바뀌길래 이게 뭐신가 보았더니 마우스가 위치한 현재 좌표였습니다.

    또 두 별의 초각 거리도 스텔라나비게이트에서도 나오는 것같았습니다. 즉 노트북에서 앉아서 할 수 있다는 야그입니다.

    투유캠 화면으로 별이 흐르는 시간 측정은 더 쉬운 방법인데, 문제는 화면에 별이 잘 보이지가 않는다는거지요. 이건 오토가이드해보니까 알겠더군요. 하늘에 수많은 별들이 어디에 갔는지, 오토가이드 할려면 별이 없습니다. 지가 오죽 답답했으면 지난번 냉각CCD가 고장 났을 때, 가이드칩을 교환라려 했겠습니까.
  • 박병우 2004.03.09 19:19 (*.99.83.55)

    드디어 포토숍(=뽀샵)에서 용이 행님보다 더 아는 것 하나 생겼습니다. 아싸!! 가오리~~탱금아!!(연날릴 때 아싸 가오리의 경상도 식 표현)
  • 최승용 2004.03.10 11:00 (*.187.167.129)
    ㅎㅎㅎ
    잘 알았습니다.
    한번 해보지요^^.
  • 문병화 2004.03.11 13:16 (*.205.158.45)
    잘쓰겠읍니다.
    항상 수고해 주시니 정말 고맙읍니다.
    가끔씩 유용한 프로그램을 만들어 주시니.. 정말로...
  • 이건호 2004.03.11 15:50 (*.101.108.100)
    네, 써 보시고... 쓸모있는 것이라 생각이 드시면, 국수한사발 쏴주세요. ^^
    기능제한이 없는 쉐어웨어라고 할까요? ^^;;

천문장비 개조.자작.뉴스.사용기.팁

천문장비 정보들의 모임(카메라제외)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3 기기정보 Celestron Rowe-Ackermann Schmidt Astrograph 1 file 박영식 2015.06.19 570
122 기기정보 Coronado BF 대용품? 13 file 김승남 2015.06.12 628
121 기기정보 Takahashi P2 적도의 file 박영식 2019.06.17 630
120 기기정보 Daystar Quark 관련... 1 file 어진선 2015.11.07 639
119 기기정보 빅센 코마코렉터 신형출시 예정 4 김광욱 2015.06.26 658
118 기기정보 3인치, 텔레뷰 Big Paracorr type-2 5 file 김상욱 2015.03.19 785
117 기기정보 Takahashi e-160 별상 file 박영식 2018.08.07 806
116 기기정보 a5000 dark image 1 file 이준화 2015.02.13 816
115 기기정보 코로나도 태양필터 분해 4 file 김종호 2015.05.19 1023
114 기기정보 압력 조절 에탈론 1 file 김종호 2015.03.03 1037
113 기기정보 천체사진용 카메라 ? 이준화 2015.02.06 1078
112 기기정보 샤오미 액션캠 4 이준화 2015.03.04 1148
111 기기정보 스파이더 형태에 따른 회절상 최신버전 6 file 김태환 2015.03.31 1180
110 기기정보 니콘 천체사진용 카메라 D810A 2 이준화 2015.02.10 1236
109 기기정보 rms 1/16 람다 미러와 pv 1/6 람다 미러의 비교 2 이준화 2015.04.28 1459
108 기기정보 Daystar Quark 메뉴얼 1 file 김종호 2014.05.21 1969
107 기기정보 광해필터 사용전후 비교사진 1 file 이건호 2015.11.08 1976
106 기기정보 3인치 파라코어 4 이건호 2014.07.14 2028
105 기기정보 천문인을 위한 카메라 ? 1 이준화 2014.09.03 2367
104 기기정보 태양망원경의 싱글스택과 더블스택 6 file 김종호 2014.03.13 297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