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기기정보
2003.07.03 01:48

필름 Vs S2Pro Vs 냉각CCD from Matsumoto

(*.215.120.73) 조회 수 586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우선 맨 왼쪽의 두장은 코닥 E200 필름을 사용했습니다. NTK310에 1.4배 익스텐더를 사용 2104mm 로 시상이 좋을 때 장시간 노출로 찍은 것입니다. 장시간 노출의 영향으로 성상이 날카롭지 못하며 필름의 특성이 그대로 반영된 작품입니다.

두번째는 S2Pro를 이용 시상과 투명도가 보통일 때 집에서 간단히 찍어서 스텔라 이미지4로 가산 합성을 한 것입니다. 1512mm F5로 찍은 것인데 결과적으로는 2104로 찍은 필름보다 훨씬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S2Pro는 근 적외영역의 붉은 색을 띄는 천체에는 결과가 좋지 못하지만 푸른색 성향이 많은 은하나 M45 은하수등은 아주 훌륭하게 찍히는 것 같습니다.

맨 오른쪽 윗 사진은 이또씨가 BRC250과 BJ-31L로 찍은 사진이며 밑에 있는 M51은 시상이 좋을 때 제가 찍은 것입니다. L화상은 많이 찍어 가산합성을 했기 때문에 부드러우면서도 날카로운 냉각 CCD의 특성이 살아 있는 것 같습니다.    

                마쯔모토 히로히사    - 황 인준 역-


* 소포로 스텔라 이미지와 같이 보내온 사진을 메일로도 보내 오셨습니다.
소포꾸러미 안에 있는 편지에서 사진에 대한 설명을 번역한 관계로 오리지날 문서는 첨부하지 못했습니다.

사진은 클릭해서 보시기 바랍니다 - 황 인준
  • 이건호 2003.07.03 10:29 (*.101.108.100)
    좋은 비교입니다. 테스트한 대상 워낙 밝고 커서 그렇지 어둡고 작은 대상으로 갈 수록 그 차이는 더 벌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 박병우 2003.07.03 12:21 (*.100.197.215)
    그렇지요. s2pro로 이렇게 찍을 수 있는 대상은 요위의 51하고 42하고 밝은 몇 대상 정도이더군요.

    역시 ccd 사진이 보기가 좋군요.
  • 황인준 2003.07.04 13:09 (*.117.17.2)
    요거 보면 딮스카이 찍는다 치면 역시 냉각 CCD로 가야 할 것 같군요..

천문장비 개조.자작.뉴스.사용기.팁

천문장비 정보들의 모임(카메라제외)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3 기기정보 망원경의 실시야각 측정하기 황형태 2009.05.19 6675
102 기기정보 dslr 초점 조절과 인터벌 촬영 프로그램 1 최승용 2004.03.09 6540
101 기기정보 [망원경정보] 하이텔 별사랑의 글 3 file 이건호 2004.08.24 6520
100 기기정보 하늘상태에 따라 달라지는 영상의 비교 2 file 이준화 2004.12.09 6353
99 기기정보 재미있는 분해능, 유효배율, 천체 사진 촬영 이야기 박병우 2004.02.07 6294
98 기기정보 Temma PC 와 Temma 2 의 비교 1 file 이준희 2008.06.13 6181
97 기기정보 쌍안경의 분해능 3 황형태 2009.03.19 6090
96 기기정보 고정밀도 광학계를 써야 하는 이유 1 이준희 2009.01.09 6080
95 기기정보 합성초점거리를 구하는 엑셀파일 8 file 이건호 2004.03.09 6056
94 기기정보 MPCC coma corrector 18 이준화 2005.02.18 6031
93 기기정보 신천체? 발견시... 박영식 2005.07.01 6015
92 기기정보 Astro-Optik 의 뉴토니언 리듀서 이준희 2005.05.17 5995
» 기기정보 필름 Vs S2Pro Vs 냉각CCD from Matsumoto 3 file 황인준 2003.07.03 5860
90 기기정보 [re] [망원경정보] 하이텔 별사랑의 글 4 file 박현권 2004.09.01 5803
89 기기정보 뉴튼식 반사망원경의 옵셋 공식 1 황형태 2009.04.21 5702
88 기기정보 MATLAB 을 사용한 영상 더하기 프로그램 이준화 2003.04.06 5564
87 기기정보 아이피스 시야링의 직경 1 황형태 2009.05.31 5486
86 기기정보 LX-200 에뮬레이터 1 이준화 2003.09.09 5469
85 기기정보 Coma 수차 4 file 이건호 2003.11.17 5241
84 기기정보 반사망원경의 초점면 100% 조명범위 2 황형태 2009.04.17 519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