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기기정보
2003.05.06 11:18

Interferometric Test

(*.101.108.100) 조회 수 3715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http://www.opticalmechanics.com/interferometric_testing.htm제작사의 미러 정밀도 표시 방법은 가지 각색이어서 표현되 말을 어뜻 보기만 해서는 어느 것이 양질의 것이지를 쉽게 판별할 수가 없습니다.

다음의 말들은 p-v 1/4 wavelength의 정도를 제작사 마다 다르게 표현하는 말합니다. (Star Testing Astronomical Test 인용)  바보처럼 속지 않게 주의해야 합니다. ^^

*   1/8-wavelength surface (이 아래 박병우님이 말한 값이죠. 미러의 경우2배를 해야 합니다.)
*   +-1/16 wave surface  (플러스 마이너스 1/16 이니까 1/8 wave surface란 말이고 결국 1/4 wavelength가 됩니다.)
* 1/27 wave RMS on the surface
* 1/31 wave RMS He-Ne raser light surface

그러나 이 보다 더 주의 깊게 보아야 할 것은 어떻게 해서 위의 값을 증명하느냐는 것입니다.

후코테스트, 널테스트, 존테스트 등의 테스트 방법이 널리 쓰여 왔습니다만, 그 정확도는 테스트 기기나 테스트 하는 사람의 능력, 검사 포인트 수 에 따라서 많은 오차가 나올 수 있습니다.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근래에는  레이저와 CCD등의 최신식 기기들을 이용하여 미러의 수백 포인트에 데해서 오차를 검출하여 객관적으로 에러를 표시합니다. Interferometric Test 가 그것입니다.
아래는 미국의 유명한 미러 제작사 OMI (구 토러스)의 웹 내용으로서 Interferometric Test 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값의 뜻은 무었인지 등을 잘 설명해 놓았습니다.

http://www.opticalmechanics.com/interferometric_testing.htm

그리고 아래 쪽에 내려가시면 표면의 거칠기에 대해서도 설명이 있습니다.

연구용 망원경의 입찰/평가시에 Interferometric Test Report 는 필수로서 아무리 자기네 망원경이 뛰어나다고 해도 객관적으로 증명하지 못하면 명함도 못 내밀게 됩니다. 1/4람다라고 다 같지 않다는 것이죠.

박병우님이 전부터 궁금해 했던 부분으로 전화로 알려드린다 했었는데, 좀 늦었습니다.

이건호

  • 박병우 2003.05.06 12:46 (*.100.197.215)
    예 캄샤합니다. 한번 읽어보겠습니다.

천문장비 개조.자작.뉴스.사용기.팁

천문장비 정보들의 모임(카메라제외)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3 기기정보 디지털카메라의 CCD 선택 5 file 이건호 2003.06.20 3714
» 기기정보 Interferometric Test 1 file 이건호 2003.05.06 3715
81 기기정보 [re] 이혁기님의 글 보조설명/ 건호님과 의견 수렴 내용, 향후 과제 황형태 2003.05.08 3725
80 기기정보 [re] icx205al file 이준화 2003.04.10 3739
79 기기정보 해상도에 대해 이렇게 말할 수밖에 없었던 사연(이준화님에 대한 답변) 9 박병우 2003.05.01 3749
78 기기정보 정밀도 관련 참고 예제 그림 file 이건호 2003.05.07 3767
77 기기정보 [re] 박병우님의 해상력 정의에 대하여 박병우 2003.04.30 3770
76 기기정보 [re] st10-xme +15도 5분 file 이건호 2003.04.12 3784
75 기기정보 Virtual Atlas of the Moon (free software) 1 황인준 2003.04.18 3792
74 기기정보 [re] 경면정밀도, 분해능, 해상도, 콘트라스트 관련 글의 전문가의 견해입니다. 박병우 2003.05.06 3798
73 기기정보 [re] CP995 2 file 최승용 2003.04.10 3802
72 기기정보 [re] D100 - 5분(23도) (NR on) file 김영렬 2003.04.11 3819
71 기기정보 분해능 / 해상력 / 콘트라스트 및 광학계의 선택 1 file 이건호 2003.05.01 3830
70 기기정보 경면 정도와 분해능 2 5 박병우 2003.04.26 3842
69 기기정보 화성 사진 2 이건호 2003.05.20 3897
68 기기정보 최저조도 0 룩스라고 하는 캐논의 새로운 캠코더 문병화 2003.04.29 3904
67 기기정보 전체 해상도 보조 설명 6 file 박병우 2003.05.01 3911
66 기기정보 [re] 경면정밀도, 분해능, 해상도, 콘트라스트 관련 글의 전문가의 견해입니다. 4 file 황인준 2003.05.06 3925
65 기기정보 temma 기능 중... 4 file 최승용 2003.04.14 3926
64 기기정보 [re] 여러가지 이견이 생기는 배경에 관하여 1 박병우 2003.05.02 393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