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Piggyback/Wide-field
2013.08.23 09:20

돌고래자리 신성, 2013-08-22

조회 수 1131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돌고래자리 신성 (Nova Del 2013).

보름달이 떠 있고 구름이 엷게 낀 상태였지만 기록 차원에서 촬영을 시도해 보았습니다. 촬영 당시 신성의 밝기는 대략 5.5등급이었습니다.

신성이 맨눈으로 볼 수 있는 밝기가 되는 경우는 보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렇게 밝은 신성은 2007년의 전갈 자리 신성(극대:3.8등급)이후 6년 만입니다. 그러나 이때는 2월의 추운 날의 새벽이라 관측한 사람들이 많지 않을 것입니다. 이번에 발견된 신성은 여름 밤하늘에 거의 밤새 볼 수 있고, 또한 1.7등급까지 밝았던 1975년의 백조자리 신성 이후 38년 만의 최고의 관측 조건을 보여줍니다.

이번 주에 쌍안경이나 디지털 카메라로 관측 및 촬영을 시도해 보세요.

cf. 별자리 선들은 IAU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http://www.iau.org/public/constellations/ )에서 정한 기준을 사용하였습니다.

Exposure Data
Object : Nova Del 2013
Date : 2013. 08. 22. 22:00 (KST)
Location : Gapyeong-gun,  Gyeonggi Province
Telescope (or Lens) : Zenit 300mm (F4.5)
Mount (or Tripod) : SkyTracker mount
Camera : modified Canon EOS 5D Mark III digital camera
Photographer : Bum-Suk Yeom ( http://cometsky.tistory.com/242 )


cf. 돌고래자리(Delphinus)의 밝은 신성(Nova Del 2013)이 2013년 8월 15일 새벽 3시(한국시간)에 일본의 아마추어 천문가인 코이치 이타가키(Koichi Itagaki)에 의해 발견되었다. 발견자는 자신의 180mm 반사 망원경과 CCD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사진에서 이 신성을 발견하였고 발견 당시의 밝기는 6.3등급이었다. 발견되기 전 이 별의 밝기는 약 13등급 (cf. 맨눈으로 볼 수 있는 별의 한계 등급은 약 6등급)이었으나 현재 이 신성의 밝기는 약 4.5등급으로서 어두운 밤하늘에서 맨눈으로 관측이 가능하며, 쌍안경으로 관측한다면 더욱 쉽게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미국 변광성 관측자 협회(American Association of Variable Star Observers, AAVSO, http://www.aavso.org/ )는 이 신성이 현재 최대 밝기를 지나고 있는 것으로 예상한다. 신성이 맨눈으로 볼 수 있는 밝기가 되는 경우는 보기가 쉽지 않다. 이렇게 밝은 신성은 2007년의 전갈 자리 신성(극대:3.8등급)이후 6년 만이다. 그러나 이때는 2월의 추운 날의 새벽이라 관측한 사람들이 많지 않을 것이다. 이번에 발견된 신성은 여름 밤하늘에 거의 밤새 볼 수 있고, 또한 1.7등급까지 밝았던 1975년의 백조자리 신성 이후 38년 만의 최고의 관측 조건을 보여준다.

cf. 신성(Nova): "새 것(New)"을 의미하는 라틴어이다. 신성은 전에 보이지 않던 별이 갑자기 하늘에 나타나기 시작한 별을 말한다. 신성은 일반적으로 폭발하기 전에는 너무 어두워서 볼 수가 없다. 신성은 신성 전의 단계에서  최대 광도 단계까지 그 밝기가 약 10등급 정도로 증가한다. 최대 밝기로 향하는 증가는 매우 빠르다. 초기의 밝기 증가에서는 2~3일 안에 최대 밝기보다 2등급 정도 어두운 데까지 밝아지는 반면에 마지막으로 증가하는 단계에서는 빠른 신성의 경우 하루, 아주 느린 신성의 경우는 수 주일이 걸린다. 신성의 최대 밝기로부터의 감소는 훨씬 서서히 일어난다. 최대 밝기에 머무는 기간은 일반적으로 며칠 밖에 되지 않으며 몇 주 후에는 예전과 같은 상태로 되돌아간다.
신성은 적색 거성 (Red giant star), 또는 적색 거성의 단계로 팽창하는 별과 백색 왜성(White dwarf)으로 이루어진 쌍성계를 이루는 별에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적색 거성이 팽창함에 따라 그 대기의 가스 물질이 백색 왜성으로 유입된다. 이러한 가스들(대부분 수소와 헬륨)은 백색 왜성의 높은 중력으로 인해 압축되고 가열되어 백색 왜성에서 핵융합 반응을 일으킨다. 이러한 핵융합 과정에서 발생하는 엄청난 에너지는 백색 왜성의 표면으로부터 기체를 날려보내며, 별을 극도로 밝게 빛나게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글쓴이
334 Piggyback/Wide-field 겨울하면... 오리온 1 file 2013.12.20 1078 이재림
333 Piggyback/Wide-field m42 1 file 2013.01.15 1087 조영현
332 Piggyback/Wide-field 간만에 찍은 천체사진이니 만큼 올려봅니다. file 2012.03.28 1091 박현권
331 Piggyback/Wide-field 겨울철 은하수 5 file 2014.01.16 1096 이재림
330 Piggyback/Wide-field 전천(全天) 은하수 file 2013.09.17 1103 이재림
329 Piggyback/Wide-field M31과 카시오페이아 2 file 2013.09.18 1106 염범석
328 Piggyback/Wide-field 출항 1 file 2012.01.16 1110 조진원
327 Piggyback/Wide-field 여름철 은하수 3 file 2013.05.17 1113 임재식
326 Piggyback/Wide-field 여름철 대삼각형 (Summer Triangle) 4 file 2013.05.16 1125 염범석
325 Piggyback/Wide-field 인제가면... 2 file 2011.09.27 1127 조진원
» Piggyback/Wide-field 돌고래자리 신성, 2013-08-22 file 2013.08.23 1131 염범석
323 Piggyback/Wide-field 은하수 중심부 file 2012.08.05 1134 이재림
322 Piggyback/Wide-field 은하수와 안타레스 1 file 2012.08.28 1134 이재림
321 Piggyback/Wide-field 밤하늘 여행 3 file 2012.01.17 1138 조진원
320 Piggyback/Wide-field 여름철 은하수 2 file 2013.06.19 1144 염범석
319 Piggyback/Wide-field 광해속으로 저무는 백조 6 file 2013.10.22 1145 조영현
318 Piggyback/Wide-field Pinnacles Desert 2 file 2012.05.08 1149 황인준
317 Piggyback/Wide-field 지리산 정령치 file 2011.09.23 1157 임재식
316 Piggyback/Wide-field 오리온자리와 큰개자리... 2 file 2012.11.21 1165 염범석
315 Piggyback/Wide-field 대삼각형 3 file 2011.11.05 1169 조진원
314 Piggyback/Wide-field 오리온자리(Orion) file 2012.11.08 1170 염범석
313 Piggyback/Wide-field 겨울철 은하수와 황도광 2 file 2013.03.04 1170 임재식
312 Piggyback/Wide-field 은하수 망아지 한마리.- Prancing horse nebula 1 file 2013.06.03 1173 신병석
311 Piggyback/Wide-field 겨울 밤하늘 1 file 2013.01.24 1197 박대영
310 Piggyback/Wide-field 은하수 1 file 2013.06.03 1202 임재식
309 Piggyback/Wide-field 한계령 은하수 2 file 2013.06.03 1216 선숙래
308 Piggyback/Wide-field 섹소폰 궤적과 오리온 1 file 2012.02.17 1218 조진원
307 Piggyback/Wide-field 역시 같은 장소입니다. 1 file 2004.01.03 1223 문재곤
306 Piggyback/Wide-field 촐라체 계곡 위의 은하수 2 file 2012.02.17 1242 이재림
305 Piggyback/Wide-field 오리온자리 5 file 2014.01.01 1246 김일순
304 Piggyback/Wide-field 덕초현 은하수 5 file 2013.05.06 1253 선숙래
303 Piggyback/Wide-field 은하수 중심쪽으로... 3 file 2013.04.15 1268 이재림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6 Next
/ 16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