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 M76 Little Dumbbell Nebula

    - Object: M76 Little Dumbbell Nebula (PN) - Date: 2015/09/17 ~ 18 - Site: 장수 무령고개 - Telescope: Takahashi Mewlon-210 + Mewlon FL/RD (x0.8) (fl=1,932mm) - Mount: Takahashi EM200 Temma2M - Sensor: QSI583wsg (-20C) - Guiding: Lodestar X2 ...
    Date2015.09.19 CategoryPlanetary Nebula By박성준 Views129
    Read More
  2. M76 Little Dumbbell Nebula

    - M76 Little Dumbbell Nebula - 2015/09/18 (장수 무령고개, 1.7 hr 노출)   2015/10/16 (대전 갑천, 5.6 hr 노출) - Takahashi Mewlon-210 + Mewlon FL/RD (x0.8) (fl=1,932mm) - Takahashi EM200 Temma2M - QSI583wsg (-20C) with Lodestar X2 Guiding - A...
    Date2015.10.17 CategoryPlanetary Nebula By박성준 Views96
    Read More
  3. M76 Little Dumbell

    역시 덕초현 스타파티에서 둘째날에 찍은 사진입니다. 300초 짜리 다크를 찍지 못해 스텔라 이미지에서 핫 쿨픽셀 제거만을 하고 합성 처리 했습니다. 해서 디테일은 약간 못합니다만 나중에 다크처리를 제대로 해서 다시 처리해볼 생각입니다. TSC225 w/ Mea...
    Date2004.11.11 CategoryPlanetary Nebula By황인준 Views1303
    Read More
  4. M97

    올빼미?? 돼지코 ?? 도 지나가는 김에 찍어보았습니다.. ㅎㅎ 300D는 붉은색은 정말 찍히지 않는가 봅니다. 푸른색쪽이 강하구요.. 색감은 제 맘대로 조절하였습니다. SCT 9.25 F10 300D ISO 3200 4min x 7
    Date2004.12.18 CategoryPlanetary Nebula By신병석 Views1186
    Read More
  5. m97 (with moon)

    지난 1월 13일, 토요일 화천 수피령에서 찍은 이미지입니다. 달이 떠오르면서 찍기 시작해 많은 노출을 줄 수 없었습니다. 더군다나 바람때문에 별상도 퉁퉁 붓고, 뭉개지고 성운의 디테일도 많이 죽었습니다. 요즘은 어찌하면 이 바람을 극복할 수 있을까? ...
    Date2007.01.16 CategoryPlanetary Nebula By고창균 Views1320
    Read More
  6. M97 - Owl Nebula

    -NADA 제1천문대 -292FN w/R200SS 코마코렉터 -NJP Temma2 -ST-10XME w/ CFW-8A(-30) -L : 300초X8장(1X1) -RGB : 각 300초X2장씩(2X2) -2006. 11. 12. 다른 대상을 기다리며 막간을 이용하여...... 올빼미보다는 돼지코가 연상됩니다.
    Date2007.01.10 CategoryPlanetary Nebula By김일순 Views1171
    Read More
  7. M97 M108

    AP130EDF x 0.75, EQ1200GTO, ST-10XME L: 5m x 5 RGB: 3m x 3 2004년 1월 24일 덕초현 천문인마을 행성상 성운인 M97(올빼미성운)과 은하M108 사진입니다. 천체사진가들이 즐겨찾는 화각이기도 합니다. 올빼미성운 보단 돼지코성운이라 부르고 싶습니다. ^^
    Date2004.02.11 CategoryPlanetary Nebula By이건호 Views1430
    Read More
  8. M97 M98

    막간을 이용해 찍어본 안흥 순대입니다. 2005 2.13 LRGB=30:10:10:10 total 60m -50C 160mm Newtonian F3.3+ ST2000XM with Kai 2020 + Em200 Tm Jr. 1:1 original size. P.S. 예전보다 이미지처리에 시간이 무지 오래 걸리네요. 노출시간의 3배 이상 걸리는...
    Date2005.02.14 CategoryPlanetary Nebula By박현권 Views1159
    Read More
  9. M97 올빼미성운

    올빼미 성운입니다. 전에 소형굴절로 찍어본 대상이지만 다시 12인치 뉴튼으로 촬영해 보았습니다. 12"GSO, EQ1200, ST10xme L RGB, 35m 10m 10m 10m 2/3 리사이즈/크롭 2004.12.06 천문인마을 이전 사진은 http://astrophoto.co.kr/zeroboard/view.php?id=pi...
    Date2004.12.14 CategoryPlanetary Nebula By이건호 Views1246
    Read More
  10. M97 올빼미성운

    큰곰자리에 있는 행성상 성운으로 생긴 모양대로 올빼미성운입니다. 앞에 올린 M108과 마주하고 있으며 크기는 2.8X2.8분으로 작습니다. M108을 찍었는데 찍고 나서 별도로 찍었는데 한 화각에 찍어도 가능한 대상입니다. 워낙 작은 대상이라 제대로 찍으려면...
    Date2008.03.05 CategoryPlanetary Nebula By신범영 Views1765
    Read More
  11. M97&108

    대상 (Object) : M97, M108 촬영일 (Date) : 2016.2.10 촬영장소 (Location): 강원도 철원 수피령 (Supiryeong, Cheorwon, Gangwon-Do, South Korea) 망원경 (Telescope) : FDK150 (D=150mm, f=750mm, Flat-field Dall Kerkham, Made by Joon-Kyu Yu) 적도의 ...
    Date2016.03.05 CategoryPlanetary Nebula By장승혁 Views184
    Read More
  12. M97(올빼미)&M108_천문인마을

    처음 사진은 더 공들이고 나름대로 멋있게 찍은걸 올리려고 했는데, 그러자니 언제쯤 올릴까 까마득한 생각이 들어 미숙한 사진을 올립니다. 특히 이미지 처리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답니다. 도움주시면 너무 감사하겠고, 콤마수차때문에 주변부가 많이 늘어났...
    Date2003.11.30 CategoryPlanetary Nebula By김형석 Views1547
    Read More
  13. M97, 올빼미 성운

    경통: TEC MC250/12 (10",  F12 Maksutov-Cassegrain) 적도의: Takahashi NJP Temma II 카메라: SBIG ST-4000XCM 일시: 2008년 12월 25일 장소: NADA Observatory 1 노출시간:  10분 6매 이미지 처리: ImagesPlus, Photoshop CS3 자투라...
    Date2008.12.26 CategoryPlanetary Nebula By김상욱 Views1619
    Read More
  14. M97_108 입니다.

    역시 지난 12월 19일 찍은 사진이고, 맥심 합성시 Sum 옵션 사용 후 포샵에서 레벨 및 커브 처리 하였습니다.
    Date2004.01.03 CategoryPlanetary Nebula By조창우 Views1287
    Read More
  15. M97_12"_f7.5 Test

    지난 금요일 15"조립 하려다 차만 고생 시키고(차를 밤새 산중턱에 새워 놓고) 힘빠진 상태에서 12"개조 성능 확인차 Test 해 본 사진 입니다. 12" f4에 빅센 익스텐더 f7.5(초점 거리 2250mm)로 촬영 해 보았습니다. 좀더 노출 시간을 길게 해 주어야 할 듯 ...
    Date2006.01.12 CategoryPlanetary Nebula By조창우 Views1083
    Read More
  16. medusa nebula (pk205+14.1)

    쌍동이 자리에 있는 시직경 10분정도의 행성상성운으로 푸른색의 중심성이 인상적입니다. 2월27일에 찍었는데 처음 찍고 상태가 않좋은 B채널만 3월27일에 추가로 찍었습니다. 망원경: ADT Kastron 320DS(12.5inch, F4.5 Newtonian) 가대: Astro-Physics 1200...
    Date2008.04.26 CategoryPlanetary Nebula By신범영 Views1667
    Read More
  17. Neat Image 셈플 입니다.

    회사에서 요즘 할일이 없다 보니 시간이 많습니다. 그래서... 박병우 선생님의 작품중 하나를 Neat Image를 이용하여 처리를 해 보았습니다. (박선생님 죄송합니다. 허락없이 사진 써서요~~ 원하신다면 지우겠습니다. 워낙 통이 큰 박씨 가문이시니 봐주시리...
    Date2003.07.21 CategoryPlanetary Nebula By박성래 Views1731
    Read More
  18. NGC 3587 올빼미 성운

    제목 : NGC 3587 망원경/렌즈 : Kastron 320DS, 12.5" F/4.5 Newton 카메라 : ST-4000XCM 마운트 : Paramount ME 필터 : None 노출정보 : 15분 8매, 2시간 촬영장소 : 강원도 횡성 나다천문대 촬영일시 : 2015년 12월 20일 촬영후기 :  이제나 저제나 분명  ...
    Date2016.02.27 CategoryPlanetary Nebula By김상욱 Views161
    Read More
  19. NGC 7293

    제목 : NGC 7293 쌍가락지 성운 망원경/렌즈 : AT-10RC 카메라 : ST-8300 마운트 : RST-400 필터 : H/L/R/G/B  노출정보 : 300 SEC X 3 촬영장소 : 경남 산청 지리산 촬영일시 : 10.17 촬영후기 : 남쪽에 산이 높아서 오래 찍을수가 없는게 아쉽습니다.. 노출...
    Date2015.10.20 CategoryPlanetary Nebula By최훈옥 Views136
    Read More
  20. NGC 7293 (Helix Nebula)

    - Object: NGC 7293 (Helix Nebula) - Date: 2015/09/17 ~ 18 - Site: 장수 무령고개 - Telescope: Takahashi Mewlon-210 + Mewlon FL/RD (x0.8) (fl=1,932mm) - Mount: Takahashi EM200 Temma2M - Sensor: QSI583wsg (-20C) - Guiding: Lodestar X2 (no Dith...
    Date2015.09.19 CategoryPlanetary Nebula By박성준 Views186
    Read More
  21. NGC1360 화로자리 행성상성운

    남천의 화로자리에 있는 특이한 모양의 행성상 성운입니다. 2004년 12월 14일 덕초현천문인마을 LRGB 5min x 3 (2x2 binning) GSO12", EQ1200GTO, ST10xme, No touch guide 고도가 아주 낮아서 적당한 가이드별이 안 보여서 노터치가이드를 하였는데, 약1800...
    Date2005.01.06 CategoryPlanetary Nebula By이건호 Views2010
    Read More
  22. NGC1514

    황소자리에 있는 작고 특이한 모양의 행성상 성운입니다. 지난 양평관측회에서 안시로 흥미있게 본 대상이라 촬영해 보았습니다. 15인치에서 필터 없이는 중심성이 일반 별과 같이 보일뿐 성운의 흔적이 잘 보이지 않지만... OIII필터를 끼우면 주위의 성운기...
    Date2005.10.19 CategoryPlanetary Nebula By이건호 Views1071
    Read More
  23. NGC2392

    일명 에스키모 성운 AP130, ST10xme, 노출1분, 크롭 2003년 3월 29일 덕초현 천문인마을 메시에 마라톤 중에 지나가다가 촬영했습니다. 장초점으로 다시 촬영해 보고 싶은 대상입니다. (요즘 달과 날이 안좋아 사진이 없길래 찾아보았습니다.)
    Date2003.04.19 CategoryPlanetary Nebula By이건호 Views2117
    Read More
  24. NGC2392

    소백산에 올라가서 이틀 밤새고... 토요일 새벽에 메인 타겟 관측 끝나고... 서너장만 찍어본 것입니다. 짧은 노출에도 saturation돼서... 찍다가 놀랐습니다. ^^ 생각보다 꽤밝은 행성상 성운이더라구요... HST로 찍은... 그 모습은 머리속에서 일단 지우시...
    Date2005.11.15 CategoryPlanetary Nebula By박영식 Views1636
    Read More
  25. NGC2392

    장노출이라 에스키모 얼굴은 보이지도 않습니다.^^ 장초점 대형 망원경으로 단노출 여러장으로 해야 얼굴이 보일듯 합니다.^^ 2011-01-30일 별마실 R.O EQ1200 GTO + KASTRON 320DS F4.5 (W/3" Coma Corrector) + STL 11K -35도 L:1200s*7장 RGB:600s*각4장
    Date2011.02.26 CategoryPlanetary Nebula By김삼진 Views1530
    Read More
  26. ngc2392 , ngc3242, ngc6543

    2013. 3. 9 의령 한우산 OK목장 Vixen VMC260L(w/reducer) EM200-ss2kpc Canon 500D iso1600 ngc2392 : 20s×16 ngc3242 : 15s×12 ngc6543 : 15s×5 단노출로 승부를 볼 수 있는 행성상성운들을 찍어봤습니다.
    Date2013.03.11 CategoryPlanetary Nebula By조영현 Views962
    Read More
  27. NGC2392 - Eskimo Nebula

    -NADA 제1천문대 -292FN w/Paracorr -NJP Temma2 -ST-10XME w/ CFW-8A(-30) -L : 60sec(1X1) X 12 -RGB : 60sec ea(2X2) X 4 -2006. 11. 20 워낙 작은 대상이라 시원시원한 맛이 없습니다. 기회가 되면 장초점으로 크게 찍어보고 싶습니다.
    Date2006.11.28 CategoryPlanetary Nebula By김일순 Views1503
    Read More
  28. NGC2392 에스키모

    역시 분당 번개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시직경이 워낙 작아서(42초 정도) 장촛점이 아니면 디테일을 잡아내기 힘든 대상인데 워낙 밝아서 CCD라면 재미있는 대상일듯 싶습니다. 중앙 부분만 약간 크롭하였습니다. - TSC225 (Fl :2700, F12) - Em200Tm2Jr. - SB...
    Date2003.10.25 CategoryPlanetary Nebula By황인준 Views2015
    Read More
  29. NGC2392 에스키모(1120 재촬영 후 수정)

    정말 작은 대상 입니다... 장초점 대구경에 냉각 CCD 정도는 되어야 어울릴 대상 인것 같습니다. 지난주 스타 파티때 중앙 천문대에서, 한번 어떻게 나올지 궁금하여, 1분 30초만 노출 주고 찍어 보았습니다. 12인치 F4, Coma Corrector, LPSP2, NJP TEMMA PC...
    Date2004.11.14 CategoryPlanetary Nebula By조창우 Views1100
    Read More
  30. NGC2392 에스키모성운

    쌍둥이자리 행성상성운 NGC2392 에스키모성운 2004년 11월 21일 덕초현천문인마을 RGB 1min X 5 GSO 12", EQ1200GTO, ST10XME 지난 주말 사진으로 시상이 FWHM 4초각이상인 그런 날이 었지만 그런대로 묘사가 되었습니다. 바로우 확대촬영을 해볼생각이었는데...
    Date2004.11.26 CategoryPlanetary Nebula By이건호 Views1392
    Read More
  31. NGC246

    행성상성운입니다. 남쪽을 훑고 있는데, 최형주님이 콕 찍어 주셔서 잠시 머물러 보았습니다. NGC246 고래자리 Magnitude: 8.0 RA: 00h 47m 00.9s Dec: -11°52'38" (Epoch 2000) Size: 3.8' AP130EDF, ST10xme, EQ1200GTO RGB: 3min x 1 (2x2) 노터치
    Date2003.10.29 CategoryPlanetary Nebula By이건호 Views1584
    Read More
  32. NGC246

    남쪽하늘에 있는 고래자리의 행성상 성운 NGC246입니다. Magnitude: 10.9 RA: 00h 47m 00.9s Dec: -11°52'38" (Epoch 2000) Size: 4.1 x 4.1 2005년 11월 30일 덕초현천문인마을 GS12inch, EQ1200GTO, ST10XME LRGB: 60m, 15m, 15m, 15m
    Date2005.12.26 CategoryPlanetary Nebula By이건호 Views112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