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Planetary Nebula
2009.05.05 09:10

M27

(*.144.201.174) 조회 수 1611 추천 수 177 댓글 14




경통: TEC MC250/12 (10",  F12 Maksutov-Cassegrain, CCDT67 x0.75 reducer)
적도의: Takahashi NJP Temma II
카메라: SBIG ST-4000XCM
일시: 2009년 5월 5일 새벽 2시 반 무렵부터...
장소: NADA Observatory 1
노출시간:  10분 12매
이미지 처리: ImagesPlus, Photoshop CS3

달은 3시에 지고, 더구나 어린이날이지만 특별히 윤허를 얻어 천문대 다녀왔습니다.
공유기를 이용한 원격 접속도 손 보고, 경통도 조금 손보았습니다.
달이 서산에 기울 무렵부터 노출을 주기 시작해서 겨우 2시간 찍었습니다.
현재 장비 구성으로 지금까지 찍어 본 중에는 비교적 촛점도 맞았고, 별상도 괜찮은 이미지로 생각됩니다.

윗 사진은 원본을 50%로 줄여서 보기 좋게 4:3 비율로 잘라냈습니다.
아래 사진은 성운만 잘라낸 원본 그대로의 이미지입니다. 별상의 크기를 줄여 보았는데 조금 부자연스럽네요.
  • 황인준 2009.05.05 10:18 (*.105.86.89)
    적은 차패, 좋은 콘트라스트는 사진에 이렇듯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군요.
    성상 잡힌 것 축하드리고 사진 넘 멋집니다.
  • 고창균 2009.05.05 10:47 (*.7.236.118)
    별상이 완벽하게 착해졌습니다. 앞으로 쏟아질 작품들이 기대됩니다.
  • 황형태 2009.05.06 08:25 (*.205.41.144)
    정말 성상이 많이 좋아졌네요. 성상이 좋아진 이유가 궁금합니다. 비슷한 문제를 갖고 있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것 같군요.
  • 김상욱 2009.05.06 08:56 (*.55.40.75)
    인준씨의 지적에 따라 메니스커스를 고정하고 있는 앞쪽 링을 풀어서 느슨하게 해 놓은 것이 전부입니다.
    풀면서 보니 고정 링이 메니스커스에 딱 붙어 있었습니다.
    별상이 좋아진 것은 사실인데 아주 자세히 보면 아직도 빛번짐 현상이 밝은 별 주위에서 관찰이 되기는 합니다.
    제 추정입니다만, 메니스커스를 셀에 고정시킬 때 쓰는 얇은 테이프 같은 것이 안쪽으로 조금 많이 들어와 있었습니다.
    doublet 굴절망원경에서 보면 렌즈 2개를 붙여 놓은 테이프 같은 것에 의해서도 빛번짐 현상이 생기던데, 아마 그런 효과도 분명 있는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 황인준 2009.05.06 09:56 (*.105.86.83)
    주말에 뵙고 더 좋은 성상을 위한 팁 하나 더 알려드릴께요..^^
  • 최승용 2009.05.06 10:23 (*.117.76.123)
    이제 거의 완벽한 사진이 나오네요.
    원샷 칼라 ccd니까 휠터 휠 걱정 없이 무작정 패대기 치시면 어마어마한 작품 나올 것 같습니다.
    축하 합니다.^^
  • 전승표 2009.05.06 13:08 (*.103.83.39)
    부러운 시스템입니다.
    웅장한 자태에 색감도 멋지게 표현되었네요.
  • 김호섭 2009.05.06 14:32 (*.53.169.82)
    간만에 보는 대단한사과 입니다. 리듀서를 사용했어도 사진전용경통에 비해
    느린 F수를 가지고도 이런 작품을 뽑아내시는 내공이 부럽습니다.
  • 신범영 2009.05.07 03:23 (*.109.29.204)
    별상이 정말 몰라보게 좋아졌습니다.
    정촛점답게 수박만한 M27의 위용이 대단하네요.^^
  • 전영준 2009.05.07 08:34 (*.138.203.2)
    예전과는 정말 다르게 별상이 좋아졌네요.
    말씀대로 이제 주구장창 패대기 치시면 대작이 나올거같습니다.
    리듀서는 어떤걸 사용하셨나요?
  • 김상욱 2009.05.07 08:42 (*.55.40.75)
    리듀서는 Astro-Physics 것입니다. CCDT67 이라는 모델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 선숙래 2009.05.07 17:10 (*.120.134.205)
    최적화에 성공하셨네요.
    이제 경지에 오르신 것 같습니다.
    색감도 좋고요!
  • 공준호 2009.05.08 15:51 (*.40.232.3)
    어두운 켱통으로도 이런 멋지고 세밀한 이미지가 나온다는데에 새삼 놀랍기만 합니다. 멋진 이미지입니다. ^.~
  • 이상희 2009.05.10 21:38 (*.96.18.219)
    완벽하게 장비를 손보셨군요
    저번의 별상과 비교하면 아주 놀라울정도의 별상입니다
    큼직하고 먹음직스러운 사과가 일품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이름 아이디 글쓴이
161 Planetary Nebula NGC2736 Pencil Nebula - Supernova Remanant 11 file 2008.10.22 1948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60 Planetary Nebula NGC246 1 file 2003.10.29 1584 이건호 skymate 이건호
159 Planetary Nebula NGC246 14 file 2005.12.26 1127 이건호 skymate 이건호
158 Planetary Nebula NGC2392 에스키모성운 14 file 2004.11.26 1392 이건호 skymate 이건호
157 Planetary Nebula NGC2392 에스키모(1120 재촬영 후 수정) 6 file 2004.11.14 1100 조창우 nunki92 조창우
156 Planetary Nebula NGC2392 에스키모 11 file 2003.10.25 2015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55 Planetary Nebula NGC2392 - Eskimo Nebula 10 file 2006.11.28 1503 김일순 arame 김일순
154 Planetary Nebula ngc2392 , ngc3242, ngc6543 1 file 2013.03.11 962 조영현 hyuncat 조영현
153 Planetary Nebula NGC2392 file 2003.04.19 2117 이건호 skymate 이건호
152 Planetary Nebula NGC2392 15 file 2005.11.15 1636 박영식 astrohunter 박영식
151 Planetary Nebula NGC2392 2 file 2011.02.26 1530 김삼진 jinalji 김삼진
150 Planetary Nebula NGC1514 11 file 2005.10.19 1071 이건호 skymate 이건호
149 Planetary Nebula NGC1360 화로자리 행성상성운 5 file 2005.01.06 2010 이건호 skymate 이건호
148 Planetary Nebula NGC 7293 (Helix Nebula) 5 file 2015.09.19 185 박성준 einpark 박성준
147 Planetary Nebula NGC 7293 1 file 2015.10.20 136 최훈옥 oioigs 최훈옥
146 Planetary Nebula NGC 3587 올빼미 성운 2 file 2016.02.27 161 김상욱 quark 김상욱
145 Planetary Nebula Neat Image 셈플 입니다. 1 file 2003.07.21 1731 박성래 starlit22 박성래
144 Planetary Nebula medusa nebula (pk205+14.1) 6 file 2008.04.26 1667 신범영 shintong 신범영
143 Planetary Nebula M97_12"_f7.5 Test 8 file 2006.01.12 1083 조창우 nunki92 조창우
142 Planetary Nebula M97_108 입니다. 2 file 2004.01.03 1287 조창우 nunki92 조창우
141 Planetary Nebula M97, 올빼미 성운 8 file 2008.12.26 1619 김상욱 quark 김상욱
140 Planetary Nebula M97(올빼미)&M108_천문인마을 7 file 2003.11.30 1547 김형석 halpon 김형석
139 Planetary Nebula M97&108 9 file 2016.03.05 184 장승혁 offaxis 장승혁
138 Planetary Nebula M97 올빼미성운 13 file 2004.12.14 1246 이건호 skymate 이건호
137 Planetary Nebula M97 올빼미성운 7 file 2008.03.05 1765 신범영 shintong 신범영
136 Planetary Nebula M97 M98 8 file 2005.02.14 1159 박현권 alexken 박현권
135 Planetary Nebula M97 M108 10 file 2004.02.11 1430 이건호 skymate 이건호
134 Planetary Nebula M97 - Owl Nebula 9 file 2007.01.10 1171 김일순 arame 김일순
133 Planetary Nebula m97 (with moon) 9 file 2007.01.16 1320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132 Planetary Nebula M97 file 2004.12.18 1186 신병석 starzan 신병석
131 Planetary Nebula M76 Little Dumbell 11 file 2004.11.11 1303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30 Planetary Nebula M76 Little Dumbbell Nebula 8 file 2015.09.19 129 박성준 einpark 박성준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