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Planetary Nebula
2008.07.10 18:03

080709_m27

(*.78.47.6) 조회 수 2421 추천 수 240 댓글 13




근래에 보기 드문 날이 이틀 연짱 계속 되는 8일과 9일 밤 때문에 잠이 부족 하군요.^^

달이 있어서 느즈막히 안산 일대학으로 출동 하여 아주 느긋하게 장비를 설치하고 냉각을 시킵니다.
불어 오는 바람은 반팔의 옷차림에 아주 좋았습니다.
집에 있었으면 조금 덥다 느꼈을 때겠지요..

출동 목적은 날씨도 날씨였지만 코마코렉터 테스트였습니다.
지금까지 써 오던 MPCC와 파라코어의 비교를 해 보고자 였는데
결과적으로는 비슷하지만 파라코어가 조금 더 성능이 좋은 듯 합니다.
어쩌면 적정 거리를 가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좀 더 좋은 성능을 보여 주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결정적으로 광축이 정확하지 않아서 쪼물딱 거리다가 새벽 2시가 넘어가고 있어서 출동 증거 사진이나
하나 찍어 보고자 해서 찍은 M27 입니다.

광축이 맞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FWHM은 1.4까지도 떨어지더군요.
그런데 장노출을 주면 별이 길죽하게 찍혀 버립니다.
날씨를 받쳐 주지 않는 광축이 야속하기도 하고...^^

안산의 도시속에서 찍을 수 있는 대상은 거의 한정적 입니다.
비교적 밝고 큰 대상은 이것 밖에 없어서 저의 주 대상 입니다.^^

촬영시간 : 2008년 7월 10일 새벽
촬영장소 : 안산 일대학
망원경 : ADT 10inch F4 카본
적도의 : 다카하시  NJP TEMMA 2
카메라 : SBIG 2000XM(-10c) + STL용 파라코어
가이드 망원경 : 펜탁스 75SDHF
가이드 카메라 : QHY5

L : 5min x 5ea(1x1)
R : 5min x 5ea(1x1)
RB : 5min x 3ea(1x1)
Ha : 10min x 3ea(1x1)

No flat.

(이미지는 원본 크롭 입니다.)
  • 고창균 2008.07.10 18:15 (*.7.236.216)
    오랜만에 아주 쨍한 작품들고 나오셨습니다. 언제 보아도 도심에서 찍은 이미지라곤 믿질 못하겠습니다.
  • 김일순 2008.07.10 20:38 (*.125.233.212)
    사진에 폭빠져서 감상하다가.... 안산 이라는 거 알고 깜딱 놀랬습니다.
  • 최훈옥 2008.07.10 22:09 (*.171.185.146)
    아아 밑에사진 올린게 쪽팔리네요 ㅎ
    저도 반사망원경 쓰는데, 가이드망경으로 가이드하면 가이드 에러가 안남에도 별이 길어지거든요.
    같은 문제인것 같은데, 아마 미러 쉬프트 때문이겟지요?
    밑에 C-14로찍은건 RMS가 2가 넘음에도 불구하고 별이 점상인데...역시 셀프가이드겠어요 ^^
  • 전영준 2008.07.10 22:53 (*.232.25.61)
    흐걱...
    이건 먹다버린 사과가 아니라 쪼글쪼글 껍질채 말라버린 사과네요..내부 성운의 주름모습이 인상적입니다.
  • 김호섭 2008.07.11 04:06 (*.53.169.82)
    Dumbbell 성운이 며칠사이에 세개나 올라왔네요. 대구경으로 속살을 분해해 버린 환상적인 사진입니다.
    언젠가 S&T지에서 읽은 기억이 나는데 이 성운안에 14등급짜리 변광성이 하나있다는데 세개의
    사진을 비교해보니 훈옥이 찍은 사진에 빨간별하나가 보이네요. 나머지 두사진은 노란색...이름이
    Goldilocks Variable이라고 하던데...훈옥과 승용님 사진엔 10시반방향, 영준샘사진엔 4시반 방향에 있네요.
  • 신범영 2008.07.11 17:42 (*.241.50.130)
    오랜만에 멋진 사과사진을 들고 오셨네요.^^
    훈옥군 얘기대로 반사망원경을 가이드경으로 가이드할 때, 가이드가 잘되는데 별상이 길어지면 미러쉬프트가 원인일 수 있습니다. 비축가이더를 쓰거나 셀프가이드를 하는 것이 대안인데 그 경우에도 또 다른 고민거리는 생기는 것 같습니다.
    반사경통 참 어려운 것 같습니다...
  • 권기식 2008.07.11 23:08 (*.254.205.190)
    입체적인 사과네요~
    출동 증거 사진이 아주 멋지네요~
  • 김삼진 2008.07.12 08:52 (*.131.71.38)
    큼지막하니 먹음직 스럽습니다.안산 일대학에서 대단합니다.^^
  • 김형석 2008.07.12 18:12 (*.120.76.25)
    건강하시죠? ^^ 정말 보기 좋은 안산표 사과네요.
  • 선숙래 2008.07.12 21:01 (*.127.240.17)
    성운의 색감도 좋고 주변의 성운기도 아주 잘 보이네요.
    미러쉬프트 골차 아프지요.미러를 본드로 꽝 붙여버렸으면 좋겠어요.
    실리콘으로 붙인 것을 테스트하고 있다고 하니 기대해 보고 있습니다.
  • 박영식 2008.07.13 21:55 (*.26.42.56)
    저는 언제 이렇게 크게 찍어보나요... ^^
    멋집니다.
  • 박정용 2008.07.14 12:31 (*.134.62.49)
    내부 주름이 압권이군요.
    누가 안산에서 찍었다고 하겠습니까?
    대단합니다.
  • 이건호 2008.07.14 23:40 (*.111.240.33)
    멋들어진 사과 끝내주게 좋은데요!!!
    이제 광축을 어느정도 잡으셨나봐요!

  1. 030927 M27

    역시 노목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C8EX + 6.3Reducer EM200 Temma2 Jr. ST2000XM (-14도) L= 67장 X 40초 (1X1) R= 15장 X 40초 (2X2) G= 20장 X 40초 (2X2) B= 25장 X 40초 (2X2) 노터치 가이드 충북 제천 노목 탐사관 Stella Image4 + Photoshop 사진이 조금...
    Date2003.09.28 CategoryPlanetary Nebula By황인준 Views4679
    Read More
  2. m57

    Object: m57 Date: 2010.04.25 Telescope: TMB130SS/WO RF4/F5.6/FL=약728mm Mount: EM200 Temma2 Camera: QSI583WS Exposure: HaRGB=1200초x3장:RGB=300초x3장 Guiding: 66mm ED/DSI(main relay) Location: 화성시 궁평항 부근 오랜만에 날이 좋을 듯 해서 ...
    Date2010.04.26 CategoryPlanetary Nebula By전영준 Views3715
    Read More
  3. 030925 M1

    어제는 번개 공지를 천천히 올려서 그런지 조촐한 번개가 되었습니다. 옵져버로 참여하신 선숙래님과 김영렬님 제가 참여한 번개 출사였습니다. 어제도 역시 시상은 좋지 않아서 좋은 화성사진 건지기는 힘이 들었지만 어렵사리 찾아온 CCD 사용 기회를 빨리 ...
    Date2003.09.25 CategoryPlanetary Nebula By황인준 Views3706
    Read More
  4. 030926 M1

    노목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금요일 부터 이틀도안 있었지요.. 첫날은 이준회님과 함께 두번째 날은 김상욱님과 문병화님 그리고 조강욱님이 함께 했었습니다. 역시 불행히도 구름과의 싸움으로 인해 RGB 각 채널의 이미지를 충분히 얻는데는 실패를 했습니다...
    Date2003.09.28 CategoryPlanetary Nebula By황인준 Views3080
    Read More
  5. 061013-M1

    촬영일: 2006년10월 14일 새벽 촬영지: 대부도 대남초교 망원경: SMC 12"(300mm Newtonian, f4) 적도의: EQ 1200 GTO 카메라:SBIG 2000XM(-20도) RGB : 각6min x 4, x3, x3(2x2) L : 6min x 7(1x1) 낮에 하늘이 하도 좋아서 퇴근 후 망원경을 싣고 대부도로 ...
    Date2006.10.25 CategoryPlanetary Nebula By박정용 Views2590
    Read More
  6. 030601 M57

    TEC 6, XL14, EM-200 T2PC Jr. CP5000 3분 노출을 준 1장짜리 이미지입니다. 중앙 부분만 잘라내서 레벨 조정만 하였습니다.
    Date2003.06.01 CategoryPlanetary Nebula By김상욱 Views2461
    Read More
  7. 080709_m27

    근래에 보기 드문 날이 이틀 연짱 계속 되는 8일과 9일 밤 때문에 잠이 부족 하군요.^^ 달이 있어서 느즈막히 안산 일대학으로 출동 하여 아주 느긋하게 장비를 설치하고 냉각을 시킵니다. 불어 오는 바람은 반팔의 옷차림에 아주 좋았습니다. 집에 있었으면 ...
    Date2008.07.10 CategoryPlanetary Nebula By최승용 Views2421
    Read More
  8. M27

    Object: M27 The Dumbell Nebula -planetary nebula- in Vulpecula Exposure: Composite of one 315seconds and one 188seconds, ISO1600 Exposure Processing: Enhanced in Adobe Photoshop 7.0 Telescope system: Tak. FS152 152mm F/8 APO refractor and F...
    Date2003.04.08 CategoryPlanetary Nebula By박병우 Views2231
    Read More
  9. M1, 2002년 11월, 청태산

    2002년 11월, 청태산, FS102 (D102mm, f820mm, F6 Reducer) EM200, Nikon D100, ISO 1600, 5min 참조: http://astrogallery.pe.kr
    Date2003.04.08 CategoryPlanetary Nebula By김영렬 Views2191
    Read More
  10. M57, 2003년 3월, 설매재

    2003년 3월, 양평 설매재 SCT 9 1/4 EX (D 235mm, f 2350mm, F 10, Reducer F 6.3) EM200, Nikon D100 ISO 1600 에서 223 초 ISO 1600 에서 142 초 2매 합성 1/2로 resize 후 1/2 crop 한 것입니다.(길이) 참조: http://astrogallery.pe.kr
    Date2003.04.08 CategoryPlanetary Nebula By김영렬 Views2183
    Read More
  11. M57 고리성운

    별만세 관측지 하늘 테스트용으로 6월9일에 찍었는데 고정관측지에 장비가 적응안되었는지 가이드에러가 자꾸나서 찍은 사진 중 몇장밖에 사용하지 못했습니다. 시상이 오락가락 해서 그런지 별상도 크고 디테일도 맘에 안드네요. Optics: ADT Kastron 320DS(...
    Date2007.07.01 CategoryPlanetary Nebula By신범영 Views2183
    Read More
  12. M57 (RGB)

    이준화님의 LRGB 합성의 문제점 지적 글에 참고 이미지로 RGB만 합성한 사진을 올려 봅니다. 저 아래 LRGB와 비교해 보세요. 2x2 Binning 했기에 사이즈가 반입니다.
    Date2003.04.11 CategoryPlanetary Nebula By이건호 Views2178
    Read More
  13. M57, 2002년 9월 8일, 태기산

    2002년 9월 8일, 태기산 FS102 (D102mm, f820mm) EM200, Nikon D100, ISO 1000, 5min 참조: http://astrogallery.pe.kr 디지탈 카메라 D100을 사고 처음 찍은 사진입니다.
    Date2003.04.08 CategoryPlanetary Nebula By김영렬 Views2156
    Read More
  14. M57

    C8ex, EM10, ST-10XME L: 5min x 4, 1x1Binning RGB: 각각 1min x 4, 2x2Binning 2003년 4월 5일 양평 설매재 인근야산 actual size crop
    Date2003.04.09 CategoryPlanetary Nebula By이건호 Views2150
    Read More
  15. NGC2392

    일명 에스키모 성운 AP130, ST10xme, 노출1분, 크롭 2003년 3월 29일 덕초현 천문인마을 메시에 마라톤 중에 지나가다가 촬영했습니다. 장초점으로 다시 촬영해 보고 싶은 대상입니다. (요즘 달과 날이 안좋아 사진이 없길래 찾아보았습니다.)
    Date2003.04.19 CategoryPlanetary Nebula By이건호 Views2117
    Read More
  16. PK164+31.1 - 살쾡이자리 행성상성운

    ||1-NADA 제1천문대 -ADT Kastron 380DS w/ Astrooptics 3" Wynne Corrector -AP EQ1200 GTO -ST-10XME w/CFW-8A(-40) -L : 300초X18장(1X1) -R : 600초X4장(1X1) -RGB : 각 300초X4장씩(2X2) -2007. 12. 15 살쾡이자리에 있는 14등급 정도 되는 행성상성운으...
    Date2007.12.22 CategoryPlanetary Nebula By김일순 Views2105
    Read More
  17. 060530-M27

    촬영일: 2006년 05월 31일 새벽 촬영지: 경기도 안산 일대학 망원경: SMC 12"(300mm Newtonian, f4) 적도의: GEMINI 40 카메라 : SBIG 2000XM(-5도) RGB : 각2min x 5, x5, x5(2x2) L : 2min x 10(1x1) 지난 30일 관측에서 얻은 이미지 입니다. 뿌연 하늘이 ...
    Date2006.06.05 CategoryPlanetary Nebula By박정용 Views2094
    Read More
  18. 070824-ngc7293

    촬영일: 2007년 07월 18, 25일, 새벽 촬영지: 대부도 대남초교 망원경: SMC 12"(300mm Newtonian, f4) 적도의: EQ 1200 GTO 카메라:SBIG 2000XM(-10도) R : 50m (1x1) G : 20m(2x2) B : 20m(2X2) L : 60m(1x1) 박무와 구름으로 밤새도록 촬영할 수가 없어 이...
    Date2007.08.27 CategoryPlanetary Nebula By박정용 Views2087
    Read More
  19. M27 Dumbel Nebula

    행성용 장초점 뉴튼을 올 카본으로 제작하고는 첫사진입니다. F5.6에 차폐가 10% 내외로 적은 값을 하는지 아주 좋지 않은 시상에서 좋은 성능을 보여주었습니다. 노출이 부족 S/N비는 약간 떨어지지만 시상 좋을떄는 어떨까 기대하게 합니다.. 지척에 ...
    Date2007.05.02 CategoryPlanetary Nebula By황인준 Views2057
    Read More
  20. NGC2392 에스키모

    역시 분당 번개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시직경이 워낙 작아서(42초 정도) 장촛점이 아니면 디테일을 잡아내기 힘든 대상인데 워낙 밝아서 CCD라면 재미있는 대상일듯 싶습니다. 중앙 부분만 약간 크롭하였습니다. - TSC225 (Fl :2700, F12) - Em200Tm2Jr. - SB...
    Date2003.10.25 CategoryPlanetary Nebula By황인준 Views2015
    Read More
  21. NGC1360 화로자리 행성상성운

    남천의 화로자리에 있는 특이한 모양의 행성상 성운입니다. 2004년 12월 14일 덕초현천문인마을 LRGB 5min x 3 (2x2 binning) GSO12", EQ1200GTO, ST10xme, No touch guide 고도가 아주 낮아서 적당한 가이드별이 안 보여서 노터치가이드를 하였는데, 약1800...
    Date2005.01.06 CategoryPlanetary Nebula By이건호 Views2010
    Read More
  22. M27 아령성운

    130EDF, ST-10XME, EQ1200 2003/05/05 L: 5min x 4 (1x1) RGB: 100sec x 3 (2x2) 지난 덕초현 관측때 찍은 아령성운입니다. 이제야 처리를 해보았는데... 이미지처리에 시간이 많이 소비했지만, 결과는 썩 맘에 들지 않습니다. 요즘 이미지처리를 주욱~ 하다...
    Date2003.05.20 CategoryPlanetary Nebula By이건호 Views1983
    Read More
  23. m57(적상산에서 지난주말에..)

    가락지성운을 NGC 이덕수님의 빅센 New바이삭에 얹어서 찍었습니다. 위사진은 감도800에 2분노출 1매, 아래사진은 감도400에 1분노출 9매, 빅센 뉴바이삭 직초점 적도의 EM-1s 노터치가이드 캐논 10D카메라
    Date2003.06.03 CategoryPlanetary Nebula By이윤 Views1956
    Read More
  24. M27, 아직도 먹을 게 많이 남은 사과

    8월 29-30일 밤에 찍은 M27입니다. 경통은 이번에 마련한 TEC MC250/12에 AP x0.75 CCDT67 리듀서를 사용했습니다. ST-4000XCM 10분 9매입니다. 리듀서와 CCD까지의 최적의 거리를 아직 잡지 못한데다 가이드도 조금씩 흘렀습니다. 원본은 흐리멍덩하지만 축...
    Date2008.08.30 CategoryPlanetary Nebula By김상욱 Views1955
    Read More
  25. M27, 2003년 4월, 설매재

    M27, 2003년 4월, 설매재 FS102 (D102mm, f820mm, F6 Reducer) EM200, Nikon D100, ISO 1600, 5min crop 후 resize 참조: http://astrogallery.pe.kr
    Date2003.04.08 CategoryPlanetary Nebula By김영렬 Views1953
    Read More
  26. NGC2736 Pencil Nebula - Supernova Remanant

    한참만에야 처리를 해서 올리는 사진입니다. 벌써 2년이 되어갑니다. 처리 못하고 쌓여가는 이미지는 슬럼프의 원인이 됨을 알았습니다. 부지런히 뒤져서 처리하고 올려야 겠습니다. 그러나 호주 여행중 찍었던 사진은 오래는 되었지만 처리하거나 올릴때마다...
    Date2008.10.22 CategoryPlanetary Nebula By황인준 Views1948
    Read More
  27. [re] M27, 2003년 4월, 설매재

    같은날 E100s 필름 7분 노출로 촬영한 사진입니다. 망원경은 같고, 3 stop push(즉, 감도 800) 으로 현상한 것입니다. 2400 dpi로 필름스캔해서 crop 만 한 것입니다. 성운은 붉은색밖에 나오지 않습니다. 어느색이 정말 성운의 색일지 의문입니다. 김영렬
    Date2003.04.09 CategoryPlanetary Nebula By김영렬 Views1933
    Read More
  28. 반지에여^^

    어제 별이 너무 좋아서 CCD를 들고 나섰습니다. 다카하시 152와 ST-8E를 이용했습니다. 처음 찍어본 CCD 사진인데 일단 구상성단 반지성운 M81, 82를 어제 모두 찍어보았습니다. 감을 익히기 위해서 그냥 찍어보았는데 색합성하는 것과 어느정도시간에 몇장 ...
    Date2003.05.27 CategoryPlanetary Nebula By김영혜 Views1929
    Read More
  29. 다시 작업했습니다.^^

    제가 이제 CCD를 조금 이해한 것 같습니다. 많은 격려 부탁합니다. Takahashi 152 SBIG ST-8E, CFW8a, Self guide. L : 1min (1x1binning) RGB: 20s (1x1binning) 즐컴되세요...^^
    Date2003.07.03 CategoryPlanetary Nebula By김영혜 Views1925
    Read More
  30. 정회원 가입기념 ^^

    - 촬영일시 : 2008년 05월03일 - 촬영장소 : 경남 의령 한우산정상 - 마 운 트 : EQ6 SynScan - 망 원 경 : SH 200 (Sky watcher 8") - 보정렌즈: SH코마코렉터 - 카 메 라 : Canon 450D - 가 이 드 : 이쁜이 62mm + QHY 5 - 노출정보 : ISO800 300초 X 17장 ...
    Date2008.05.16 CategoryPlanetary Nebula By이상희 Views1925
    Read More
  31. M27(아령성운)

    날만 좋으면 열심히 달려보고 있지만 하면 할수록 미궁입니다. 자주 달리다 보면 피곤하여 원격하시는 분들이 매우 부럽습니다.^^ 별상이 좀 큰 기분도 들고 시상 문제인지 쨍하지 못하지만 올립니다.^^ 2008-04-03일 별마실관측소 EM400 Temm2 + TEC140 + ST...
    Date2008.04.13 CategoryPlanetary Nebula By김삼진 Views1921
    Read More
  32. M57

    중앙천문대에서 찍은M57 입니다. 아주 작게 나오는군요 3분 노출 주었습니다. 다크 프레임도 3분 노출 XQ200s EM200USD2 NikonD100 ISO 1600
    Date2003.05.01 CategoryPlanetary Nebula By박성래 Views190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