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Planetary Nebula
2006.09.04 19:55

R14로 촬영한 M27

(*.112.119.18) 조회 수 1407 추천 수 131 댓글 25




장초점 클로즈업사진을 동경하다 일을 저질렀습니다.
정석대로라면 정통 RC로 가야하나 이번에는 약간 삐딱선을
타고 미드의 새로운 경통 LX200R 14인치를 선택했습니다.
초점길이가 3550미리로 셀레스트론의 C14경통에 맞서 R14라고 이름지었습니다. ^^
전에 SCT는 초점면이 심하게 구부러져 있어(상면만곡)
촬영에는 반드시 플래트너를 사용해야 하였으나,
이번에 나온 LX200R 광학계는 초점면이 상당히 평탄하였습니다.
EQ1200에 올린 첫 사진은 달이 있는 가운데 찍은 아령성운으로
10분짜리 1장만 찍을 수 있었습니다. 다크 프레임도 찍지 못해
핫픽셀은 맥심에서 적당히 지웠고 컬러는
전에 12인치로 얻은 정보를 이용하여 마무리 했습니다.
10분 노출에도 상당히 찍히는 것을 보면 가능성이 충분히 있어 보입니다.

첫사진 중앙부 실사이즈 크롭
두번째 사진 풀프레임 50% 축소

2006년 9월 2일 덕초현 천문인마을
R14, EQ1200GTO, STL-11K
L: 10m 1장
No Dark, No Flat

한두장 찍고 다시 경통을 떼어 왔습니다.
광학계는 일단 쓸만하단 생각이어서 경통을 카본으로 변경하고
몇 군데 고쳐서 쓰려고 합니다. 그런데 경통 분해가 쉽지 않네요. 휴..
  • 김삼진 2006.09.04 19:58 (*.33.87.81)
    제눈에는 어마어마한 사진인데....한장이라....
  • 박성준 2006.09.04 19:59 (*.248.11.89)
    엄청난 클로즈업이네요....먹다남은 수박인줄 알았습니다....이 정도의 대구경사진에 회절상이 없으니까 독특한 느낌입니다...^^ 대구경굴절같은 느낌...
  • 이상헌 2006.09.04 20:04 (*.76.81.246)
    ... 점점 커지는군요... 피자만한 아령을... 휴...
    중심부의 별상도 훌륭하지만 35mm 구석구석도 상당히 좋은데요.
    앞으로 딥스카이의 척도가 달라지겠습니다. 전부 클로즈업~~~ 아놔~~
  • 육호준 2006.09.04 20:50 (*.139.87.107)
    R14인치를 구하셨군요. 초점길이가 긴 대구경의 딮스카이도 보기가 매우 좋군요.
    축하드립니다. 좋은 사진 많이 부탁드려요.
  • 최훈옥 2006.09.04 20:51 (*.107.58.168)
    흐흐.....끝내줍니다..
  • 조창우 2006.09.04 21:18 (*.170.112.19)
    수박 입니다... 천문인 마을 갔다 깜짝 놀랐습니다.... 거대한게 얹혀 있어서...
  • 이윤 2006.09.04 21:19 (*.179.143.29)
    역시 기대했던 대로 훌륭하네요. 또 다른 선택의 가능성을 봅니다. ^ ^
  • 전영준 2006.09.04 21:49 (*.140.167.121)
    드뎌 비취빛을 쬐게 해줬군요...
    기대고대 많이했습니다. 따로 한 번 연락드리겠습니다...아주 멋지네요...^^
  • 도영재 2006.09.04 21:54 (*.121.236.159)
    우와...점점 굉장한사진들이 올라오는군요.^^
    rc는 리듀서 없이도 작업가능한가요?
    한장의 이미지가 정말 대단합니다.
  • 박정용 2006.09.04 22:19 (*.44.26.44)
    흐미~ 호빵인줄 알았습니다.
    끝내주는 엄청큰 사과로군요.
  • 선숙래 2006.09.04 23:23 (*.39.184.157)
    경통을 카본으로 바꾸시는군요.
    다음에 한번 들어볼 기회를 주시겠죠.
    다음 사진이 무척 기대됩니다.
  • 신병석 2006.09.04 23:33 (*.229.253.144)
    엄청나군요......
    저에겐 꿈의 망원경입니다...ㅎㅎ
  • 권기식 2006.09.05 00:11 (*.28.198.165)
    엄청나군요~ @.@
  • 신범영 2006.09.05 01:06 (*.145.127.75)
    L10분 한장에 No Flat, No dark 인데...
    대구경, 장초점 망원경의 진면목을 보는 것 같습니다.
    바로 R14뽐뿌 들어오네요.^^
  • 강문기 2006.09.05 07:30 (*.132.58.21)
    11000화각 전체가 왜곡없이 잘 잡히는군요. 좋은 경통인것 같읍니다.
  • 이건호 2006.09.05 08:34 (*.101.107.100)
    초점길이가 3.5미터라서 그런지 가이드도 잘 안되고 F10 이라서 무지 어둡습니다.
    잘 조정해서 쓰면 간혹? 맘에드는 사진이 얻어질거 같습니다.
  • 김영렬 2006.09.05 09:32 (*.232.128.96)
    이제 가을이 되가니 사진이 많아지는군요.
    새 망원경을 구입한 모양이군요.
    R14가 11000 화각을 맞출수 있는 모양이네요. 엄청 크고 세밀한 M27입니다.
  • 지승용 2006.09.05 09:48 (*.219.119.104)
    허걱 사진 입니다.
    게다가 10분에 1장씩이면 진정한 대량생산 체제를 갖추게 되시는군요.
  • 박현권 2006.09.05 09:56 (*.253.242.56)
    앞으로는 모든 대상을 뻥뛰기해서 찍으시겠네요.
    천문인 마을 옥상 무너집니다.
  • 유종선 2006.09.05 10:15 (*.78.38.145)
    F10에 3.5미터... 그래도 이리 가이드가 잘되다니 1200의 성능에 새삼 다시 놀라게 됩니다.
    별상도 생각보다 상당히 좋군요.
    기대되는 기기입니다.
  • 최승용 2006.09.05 10:16 (*.78.47.32)
    갈수록 뽐뿌들이 강해지는군요.
    어쩌다 한번 사진 한장 찍으면 바로 쥐구멍을 찾아야 하니 이거야 원...^^
    정말 대단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별상도 정말 마음에 듭니다. 인공 스파이크 하나 달면 금상첨화가 될 듯....
    현재로써도 좋지만요...^^
  • 김영혜 2006.09.05 15:03 (*.64.143.244)
    우잉~ 크기가...
  • 박대영 2006.09.05 16:08 (*.143.28.95)
    역쉬 뽐뿌대마왕의 위력은 강력하군요..앞으론 RC에 라지포맷 CCD가 대세가 될 듯 합니다..계속 마루타 되어 주시고..길 잘 닦아 놓으세요~
  • 이준화 2006.09.05 18:33 (*.167.65.5)
    정말 커다랗게 잘 찍혔습니다.
  • 김일순 2006.09.06 22:42 (*.160.109.75)
    꺼~~어~~~~~억.

  1. M97_108 입니다.

    역시 지난 12월 19일 찍은 사진이고, 맥심 합성시 Sum 옵션 사용 후 포샵에서 레벨 및 커브 처리 하였습니다.
    Date2004.01.03 CategoryPlanetary Nebula By조창우 Views1287
    Read More
  2. M27_Test shot

    냉각 CCD Setting 기념, Test shot 입니다... RGB 색상 맞추기가 장난이 아닌것 같습니다... 처음 이라서 그런지 이미지 처리가 DSLR과 비교해서 2배나 걸리는데... 마음에 들지 않는 진짜 지져분한 먹다 버린 사과가 되고 만것 같습니다... RGB를 Binning없...
    Date2005.05.12 CategoryPlanetary Nebula By조창우 Views1297
    Read More
  3. M27 L, Ha+R, G,B 재처리

    해 보았습니다. Ha를 R이미지와 합성하여 R이미지로 하고 L이미지는 그대로 사용 하였습니다. 예전보다 색감이 많이 좋아 진것 같습니다. 2005.05.09, 덕초현 중앙천문대 12" F4, FL1200mm + Coma Corrector + LPSP2 NJP Temma PC, ST-10XE, CFW8a- Astrodn L...
    Date2005.05.22 CategoryPlanetary Nebula By조창우 Views1297
    Read More
  4. 많이흐른 m27

    저번 천문인 마을에서 찍은 27 입니다. 너무 많이 흘러서 찍다가 가이드를 포기해버린 대상인데. 화이트 밸런스 테스트용입니다. 붉은색이 ir제거후에 많이 나와서 그냥 일반적인 방법 낮에 흰종이를 찍어서 화이트 밸런스를 설정한겁니다. 흐르지 않으면 계...
    Date2003.12.04 CategoryPlanetary Nebula By정민경 Views1299
    Read More
  5. EOS 7D + M 27

    오랜만에 별 빛 쬐러 나갔더랍니다. EOS 7D 테스트도 해볼 겸 그냥 막샷 몇장 찍어 봤습니다. 하도 오랜만에 촬영해 보는 것이라 오토가이더도 문제를 자꾸 일으키고...아주 난리였네요~ EOS 7로 처음 찍어본 M27입니다. 노출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주경 :...
    Date2010.05.16 CategoryPlanetary Nebula By박성래 Views1302
    Read More
  6. M76 Little Dumbell

    역시 덕초현 스타파티에서 둘째날에 찍은 사진입니다. 300초 짜리 다크를 찍지 못해 스텔라 이미지에서 핫 쿨픽셀 제거만을 하고 합성 처리 했습니다. 해서 디테일은 약간 못합니다만 나중에 다크처리를 제대로 해서 다시 처리해볼 생각입니다. TSC225 w/ Mea...
    Date2004.11.11 CategoryPlanetary Nebula By황인준 Views1303
    Read More
  7. m27

    이미지 처리하다 보면 잔별들이 붉은 색으로 변해버립니다. 요즘엔 성운보다는 별색에 더 신경이 쓰입니다. 잔별이 많아서 정신없네요. 중미산 4월 14일 10D Orion 8"(@F8.8,) em tm fc 76 반자동가이드 5분 6장
    Date2004.05.03 CategoryPlanetary Nebula By김형석 Views1313
    Read More
  8. M57_ST-7 테스트

    첫 사진입니다. 오토 가이더 케이블을 만들어봤는데 실패였습니다. 가대의 오작동을 유발하더군요. ㅠ.ㅜ 결국 박병우님께 신세를 지기로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박병우님 손수 천문인 마을까지 가셔서... ) 그래서 1분이라는 짧은 노출을 주었습니다. 많이 ...
    Date2004.07.24 CategoryPlanetary Nebula By김형석 Views1313
    Read More
  9. M27_Big Dumbell(G,B 채널수정)

    입니다. 올해는 찍을 기회가 없을 것 같기에 한번 찍어 보았습니다. 4분 30초 노출시 G,B 채널은 노출 과다 인것 같습니다.... 완전히 타버리는 느낌 입니다. 청색과 녹색 감도는 어느 정도 나오는것 같은데, 적색 감도가 역시나 꽝 이었습니다... 고도가 낮...
    Date2004.11.12 CategoryPlanetary Nebula By조창우 Views1314
    Read More
  10. M1 Crab Nebula

    예전에 노출을 부족하게 찍었던 것이 걸려 다시 찍어 보았습니다. 여러 개조의 결관느 긍정적인 것 같습니다. 이날은 시상이 썩 좋지는 않았습니다. 이 사진 찍고 나서 쫗아졌던 기억입니다. M1은 광학계가 바뀌거나 시스템이 바뀌면 테스트 삼아 늘 찍...
    Date2006.10.02 CategoryPlanetary Nebula By황인준 Views1316
    Read More
  11. m97 (with moon)

    지난 1월 13일, 토요일 화천 수피령에서 찍은 이미지입니다. 달이 떠오르면서 찍기 시작해 많은 노출을 줄 수 없었습니다. 더군다나 바람때문에 별상도 퉁퉁 붓고, 뭉개지고 성운의 디테일도 많이 죽었습니다. 요즘은 어찌하면 이 바람을 극복할 수 있을까? ...
    Date2007.01.16 CategoryPlanetary Nebula By고창균 Views1320
    Read More
  12. M57막샷~

    촬영 데이터는 잘 모르겠어요~
    Date2010.05.16 CategoryPlanetary Nebula By박성래 Views1322
    Read More
  13. M27_040909_분당

    지난 주 분당에서 이건호씨와 함께 찍은 M27입니다. 스텔라이미지를 이용해 모두 12장 합성한 후 포토샵에서 재이미지 처리했습니다. IDAS LPS P2 필터를 이용해서 촬영했는데 시직경이 작은 대상일 경우 도심에서도 어느 정도 유효할 것으로 판단이 됩니다만...
    Date2004.09.14 CategoryPlanetary Nebula By박대영 Views1325
    Read More
  14. M1

    어제 수피령을 다녀왔습니다. 신범영선생님과 최훈옥군, 별만세의 김철선생님이 함께 했습니다. 지난 번 이 곳에 왔을 때, 바람때문에 반사경통 내리고 굴절로 뒤늦게 바꿔 올린 기억이 있어서 걱정을 많이했는데, 다행히 바람은 전혀 없었습니다. 모처럼 가...
    Date2006.12.26 CategoryPlanetary Nebula By고창균 Views1328
    Read More
  15. M27 Dumbel nebula

    이틀에 걸쳐 찍은 사진이지만 많은 노출을 주지는 못했습니다. 이미지 처리를 달리 했는데 Ha가 어두운 별이 잘 안 찍히는 관계로 L 이미지를 2장 찍어 Ha와 합성을 했습니다. 단순히 Ha만 찍는 것 보다는 좋아 보입니다. 한여름이 되면 오랜시간 찍어 보고 ...
    Date2005.03.21 CategoryPlanetary Nebula By황인준 Views1330
    Read More
  16. M57

    장소 : 덕초현 중앙천문대 일자 : 2007.06.10 장비 : P20 + SX260 + ST10XME (-10c) 합성 : LRGB - 100'*2(L1x1), 100'*1(R2x2), 100'*1(G2x2), 100'*1(B2x2) 기타 : 100% 이미지 (중앙부 크롭) 광축과 초점 문제로 좀 엉성합니다. AnyGoto 부착한 후로 가이...
    Date2007.06.12 CategoryPlanetary Nebula By박진홍 Views1336
    Read More
  17. M27 아령성운

    지난주 금요일에 덕초현에서 촬영한 사과입니다. 날은 간만에 맑아 졌지만 시상이 겁나게 나빠져서 은하수 속의 별들이 춤을 추던 그런 날이었습니다. 이번 촬영장비는 이전과 동일하지만 다음날 여명때 스카이 플랫을 찍어 보정하였습니다. 첫사진 중앙부만 ...
    Date2006.06.05 CategoryPlanetary Nebula By이건호 Views1348
    Read More
  18. M57 고리성운

    2005년 5월 4일 덕초현RO LRGB 40m, 15m, 15m, 15m GSO12inch, EQ1200GTO, ST10XME 고리 외곽부로 흩어져나간 행성상 성운과 주변은하등을 같이 표현해 보려고 했습니다만... 아직 뭔가 많이 부족합니다. 나중에 Ha 덧 붙여 주어야 겠습니다. 옆의 나선은하는...
    Date2005.06.02 CategoryPlanetary Nebula By이건호 Views1358
    Read More
  19. M27(LX200 8인치경통)

    앞의 m57과 마찬가지로 LX200_8인치(OTA)를 이용해서 찍어보았습니다. 장초점이어서 큰이미지를 얻을수 있는데 비하여 별상은 여러 가지로 부족하네요. 중심부만 1:1 크롭했습니다. 촬영정보 Meade LX200 8인치경통(f10)+EM200+STL11000 L : 10분X5, RGB : 각...
    Date2006.06.01 CategoryPlanetary Nebula By신범영 Views1367
    Read More
  20. 110905_m27_gso10rc-firstlight

    2011년 9월 5일 밤부터 촬영을 시도한 m27 입니다. 지난 몽골 관측 이후 이렇다할 관측 실적이 없는 동안 또 장비 업글병이 도져서 대만의 GSO에서 나온 10인치 RC 스틸 경통을 영입하게 되었씁니다. 현재 가지고 있는 장비도 초점거리가 1000mm인데 이번것은...
    Date2011.09.06 CategoryPlanetary Nebula By최승용 Views1370
    Read More
  21. 서울시내 M57

    서울 시내에서도 고리성운이 잘 찍히더군요. 아직 희망을 잃지 말아야 겠습니다. ^^; 2005년 8월 4일 낙성대 서울과학전시관 망원경 50cm 카세그레인, STL-1001 1분짜리 한장, Auto Dark 감산, http://astrophoto.co.kr/zeroboard/zboard.php?id=equipment&no...
    Date2005.08.19 CategoryPlanetary Nebula By이건호 Views1378
    Read More
  22. M57

    지나는 길에 잠깐 찍은 대상입니다. 시직경이 작은데다 크기까지 작으니 삐리리 하네요. 노출시간도 부족하군요. . HO-BYM 292FN AP EQ1200 ST-10XE w/ CFW-8a(-30) L : 20min(1X1) RGB : 5min ea(2X2) LRGB합성 나다 제1 천문대 덕초현 천문인 마을 2005. 3....
    Date2005.03.16 CategoryPlanetary Nebula By황인준 Views1382
    Read More
  23. NGC2392 에스키모성운

    쌍둥이자리 행성상성운 NGC2392 에스키모성운 2004년 11월 21일 덕초현천문인마을 RGB 1min X 5 GSO 12", EQ1200GTO, ST10XME 지난 주말 사진으로 시상이 FWHM 4초각이상인 그런 날이 었지만 그런대로 묘사가 되었습니다. 바로우 확대촬영을 해볼생각이었는데...
    Date2004.11.26 CategoryPlanetary Nebula By이건호 Views1392
    Read More
  24. Ring Nebula _ 10D

    정말 오랫만에 중미산으로 관측을 나갔습니다. 캐논 2배 컨버터를 끼고 몇장 찍었답니다. 초점거리가 880이니 컨버터를 끼면 1760입니다. (당연히 가이드는 실패했습니다. ㅠ.ㅜ) 찍은데 의의를 두고 올립니다. 이미지처리를 좀 많이 했는데 넓은 아량으로 이...
    Date2004.04.15 CategoryPlanetary Nebula By김형석 Views1395
    Read More
  25. M27_Ha_재처리

    CS Halpha필터를 광명시 옥상에서 시험해 보았습니다. RGB는 광해때문에 쓸 수 없을 정도라서 전에 10D로 찍었던 것을 RGB로 대신 사용하였습니다. 10D 사진이 많이 흘렀습니다. ^^;; 테스트 결과는 아무리 광해가 심해도 HA필터는 끄떡 없었습니다. 앞으로 O...
    Date2004.09.02 CategoryPlanetary Nebula By김형석 Views1399
    Read More
  26. M27 아령

    요즘은 봄날 같지 않고 맑고 투명한데 월령이 좋지를 않아 아쉽습니다. 이번 월령은 어떨지... 지난 월령때 촬영했던 이미지를 이제야 처리했습니다. 올리려고 보니 색이 좀 과한거 같습니다. 2005년 4월 08일 13일 덕초현 천문인마을RO LRGB = 60m, 15m, 15m...
    Date2005.04.27 CategoryPlanetary Nebula By이건호 Views1401
    Read More
  27. 아래 올렸던 M1

    8bit로 계속 작업을 했었는데 맥심에서 합성이 16bit로 가능하고 이준화교수님 권유로 합성은 맥심, 이미지 처리는 포토샾에서 16bit로 재처리 했습니다. 레벨강도 커브조정을 많이 해도 이미지 손상이 덜 한것 같고 훨씬 좋다는 느낌입니다. 아래가 다...
    Date2003.12.27 CategoryPlanetary Nebula By정민경 Views1403
    Read More
  28. R14로 촬영한 M27

    장초점 클로즈업사진을 동경하다 일을 저질렀습니다. 정석대로라면 정통 RC로 가야하나 이번에는 약간 삐딱선을 타고 미드의 새로운 경통 LX200R 14인치를 선택했습니다. 초점길이가 3550미리로 셀레스트론의 C14경통에 맞서 R14라고 이름지었습니다. ^^ 전에...
    Date2006.09.04 CategoryPlanetary Nebula By이건호 Views1407
    Read More
  29. M27 아령성운(20040326_재처리)

    입니다. 10D, 역시 적색대비 청색이 너무 강합니다.... 무려 한시간 동안 초점을 맞추었는데도 칼초점은 아닌것 같습니다... 제 눈이 초점이 나가 있는 거 같습니다.... 별상은 완전히 엉망으로 나왔습니다... 그래도 가이드는 약간 된것 같습니다.(다른 R200...
    Date2004.03.30 CategoryPlanetary Nebula By조창우 Views1408
    Read More
  30. 잘익은 게한마리...

    아래 M33에 이어서 지난 크리스마스에 철원수피령에서 찍은 게성운(M1)입니다. STL11000의 적색감도를 높이기 위하여 R대신 Ha를 썼더니 붉그스레 잘 익은 게가 잡혔는데 별들의 색이 각양각색이네요.^^ 하늘이 좋았던 만큼 좋은 이미지를 기대했는데 뭔가가 ...
    Date2006.12.28 CategoryPlanetary Nebula By신범영 Views1419
    Read More
  31. M97 M108

    AP130EDF x 0.75, EQ1200GTO, ST-10XME L: 5m x 5 RGB: 3m x 3 2004년 1월 24일 덕초현 천문인마을 행성상 성운인 M97(올빼미성운)과 은하M108 사진입니다. 천체사진가들이 즐겨찾는 화각이기도 합니다. 올빼미성운 보단 돼지코성운이라 부르고 싶습니다. ^^
    Date2004.02.11 CategoryPlanetary Nebula By이건호 Views1430
    Read More
  32. 어제(10.3) 유명산 휴양림 근처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계획없이 부랴부랴 밤 11시쯤 망원경 챙겨가지고 양평쪽으로 추선생님,김준호씨와 함께 떠났습니다. 이제는 중미산 근처에서는 볼만한 장소가 없더군요. 그래서 유명산 휴양림 근처 폔션근처에 장비를 설치하고 관측을 하였습니다. 이슬이 얼마나 많이 ...
    Date2006.10.03 CategoryPlanetary Nebula By육호준 Views143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