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Planetary Nebula
2005.09.22 19:26

M1 Crab Nebula

(*.150.204.128) 조회 수 1616 추천 수 128 댓글 10




이번에 3번에 걸친 출사는 안개와 구름으로 중간 중간 실패가 많았습니다.
따라서 대부분 절대 노출이 부족한 사진이 되어 처리에 애를 먹었습니다.
이 사진 역시 같은 이유로 S/N비가 떨어짐을 알 수 있습니다.
성과는 MPCC (바더사 범용 뉴튼용 코마 커랙터)를 테스트 했으나 CCD면과의 거리가 맞지 않는 관계로 주변이 많이 날랐습니다. 사진은 보정 안된 부분을 잘라내고 리사이징 80%정도 한 이미지입니다.
어뎁터를 다시 제작해 테스트를 더 해 보아야 하지만 파라코어 보다는 성상이 훨씬 샤프하게 맺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어뎁터는 실패를 고려하여 몇가지 제작 중입니다.
다음 출사때는 좋은 하늘아래 마음 놓고 찍어 보았으면 좋겠습니다.
.
HO-BYM 292FN
AP EQ1200
ST-10XE w/ CFW-10(-15)
L : 5min(1X1) X 2 2005/9/10
RGB : 5min ea(1X1) 2005/9/12
나다 제 1 천문대
덕초현 천문인 마을
  • 박성준 2005.09.22 20:21 (*.248.16.55)
    너무 큼직한 킹크랩이네요...처음 봅니다...이렇게 크고 상세한 크랩은요...^^
  • 김상욱 2005.09.22 20:25 (*.253.87.130)
    역시 끝~내주는 사진입니다.
    사진 감상과는 별도로 드는 한 가지 궁금증...
    다른 게성운 사진에서도 그렇지만 이 사진에서도 성운 덩어리
    오른쪽 위편에 보면 동그랗게 빈 부분, 성운기가 적어 보이는 부분이 보이는데 왜 그 자리만 그럴까요?
    박영식님! 좀 가르쳐 주세요.^^
  • 신범영 2005.09.23 08:29 (*.178.133.254)
    어두운 녀석인데 멋지게 잘 찍으셨습니다.
    디테일이 참 좋습니다.^^
  • 최승용 2005.09.23 09:46 (*.255.146.12)
    MPCC가 보정이 잘 된다니 반갑군요.
    그런데 사진 상의 별들이 좀 이상하게 보이는 것은 무슨 이유일까요?
    별들이 약간 흩어져 보이는데.....
    둥그렇게 보이지 않고 사방으로 펴저 보이는 듯한 인상이....
    미리 사용해 본 사람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앞으로 참고 하게...^^
    참! 이미지는 끝내 줍니다.^^
  • 김영렬 2005.09.23 10:09 (*.200.55.169)
    역시 좋은 사진이군요. 날씨가 좋은 날이 거의 없었던 것 같은데, 기회를 그냥 지나치지 않는 모양이네요.
    성운의 모습이 아주 자세히 보이는 군요.
  • 박영식 2005.09.23 11:20 (*.219.33.78)
    이제서야 봤습니다...
    김상욱님... 제가 어찌 그런것을 다 알겠습니까... ^^

    생각해보건데... 초신성폭발이 일어나면서 주변으로 물질이 흩어지게 되는데...
    말씀하신 그부분에 있는 질량이 큰 별이 있어서, 초신성 폭발로 확산되는 별의 잔해들이 그대로 흩어지지 못하고
    그 별 주위에서는 퍼져 나가지 못하는 그런 상황인듯 합니다.
    물론, 정설이 아니고... 그냥 제 생각입니다... ^^
    말로 설명하려니힘드네요... ㅡㅡ;
  • 박영식 2005.09.23 11:41 (*.219.33.78)
    아래 링크에 있는 그림 참고해보세요...
    인준님 설명을 위해 이미지를 잠깐 빌렸습니다. ^^

    http://www.kasi.re.kr/~parkys/astrophoto/nada/m1_illust.jpg

    그림을 확대한 우측 상단의 그림을 다시 보시면...
    중심부에 빨간 별이 있고... 그 별이 주변의 물질들을 밀어내는 복사압을 표시한 것이 파란 화살표이고...
    복사압이 미치는 공간을 표시한 것이 별주변의 작은 원입니다.
    그런데, 그 위로 필라멘트 구조등이 지나가는 것은
    3차원적으로 우리 시선방향 위쪽에 필라멘트 구조가 있어서 그런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게 아니면 어쩌지요? ^^
  • 김상욱 2005.09.23 12:38 (*.253.87.130)
    박영식님, 친절한 해설 너무 감사합니다.^^
  • 황인준 2005.09.23 21:14 (*.204.206.66)
    칭찬들 감사드리구요..^^
    승룡형에게..
    MPCC의 보정 정도는 아직 테스트가 끝나지 않은 상태라 단언할수는 없습니다만 결과는 긍정적입니다.
    별이 예전 사진들과 비교해서 약간 퍼져 보이는 이유는 동시에 RGB를 찍지 않아서 일수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촬영매수가 부족한 관계로 이미지 처리를 마음 놓고 할 수 없을 정도로 S/N비가 떨어져서 인 것이 주된 이유입니다.
    사실 이미지 처리를 다양하게 시도 할 수는 없었습니다.
    커브와 레벨 DDP정도 한것이 고작이랄 수 있지요.
    어두운 지역의 성운기를 보면 많이 거친 것을 알수 있습니다.
    11월 부터는 15인치가 가동에 들어갈 예정이므로 촛점거리도 이 대상을 찍기에 적당하니 한 두어시간 찍어 볼 생각입니다.
  • 박대영 2005.09.24 08:51 (*.118.4.16)
    어제 저녁 집에 와보니 꽃게를 삶아 놨더군요..오늘 아침에는 멋진 게성운을 볼 수 있었고..^^ 훌륭한 사진에 매번 경의를 표합니다..

  1. M27 (아령성운)

    여름이면 한 번쯤은 찍어보게 되는 M27 아령성운입니다. 4월18일 새벽2시 월령12일의 달이 광덕산으로 기울무렵 Ha 필터를 열기 시작하여 4시30분 박명무렵까지 R,G,B필터를 찍었습니다. 입체감은 좋아 보이는데 달빛의 영향인지 아니면 Ha필터의 특성때문이...
    Date2008.05.01 CategoryPlanetary Nebula By신범영 Views1848
    Read More
  2. M27 (reprocessing)

    작년에 촬영한 이미지를 재처리 해보았습니다. - Project: PN Project - Object: M27 Dumbbell Nebula (PN) - Date: 2015. 05. 21. (Hα), 2015. 07. 16. ([O III], Hα) - Location: 대전 갑천변 - Telescope: Mewlon-210 (F/9.3) + Mewlon FL/RD (x0.8) (Foca...
    Date2016.04.08 CategoryPlanetary Nebula By박성준 Views212
    Read More
  3. M27 (NGC6853)

    제목 : M27 (NGC6853) 망원경/렌즈 : Vixen R200SS (fl 800mm.  f/4) Newtonian Reflector 카메라 : CentralDS Astro60D @ISO800 마운트 : Takahashi EM-200 Temma2 Jr. 필터 :  IDAS LPS-P2 노출정보 : 240초 X 13장 (Dark 20장) 촬영장소 : NADA1천문대 촬...
    Date2018.06.18 CategoryPlanetary Nebula By지승용 Views170
    Read More
  4. M27 (Narrow band)

    내로우밴드로 찍어본 M27입니다. 내로우밴드 필터별 특성을 파악하려고 찍어보았는데 기대만큼 잘 처리되지 않네요... 아무래도 내로밴드 특유의 색상을 자연스럽게 표현하려면 노출시간이 충분해야 할 것 같습니다. 망원경: ADT Kastron 320DS(12.5inch, F4....
    Date2009.05.07 CategoryPlanetary Nebula By신범영 Views1768
    Read More
  5. M27 (Dumbbell Nebula)

    요즘 워낙 멋진 사진이 많이 올라오는지라 오랜만에 사진을 올리려니 좀 부담스럽네요... 지난 6월16일 입소식을 한 별만세 관측소에서 공식적으로 찍은 첫작품입니다. 작년에 LX2008인치로 찍은 것의 별상이 맘에 안들어 ADT 12.5인치로 다시 찍어보았는데 ...
    Date2007.06.19 CategoryPlanetary Nebula By신범영 Views1486
    Read More
  6. M27

    Object: M27 The Dumbell Nebula -planetary nebula- in Vulpecula Exposure: Composite of one 315seconds and one 188seconds, ISO1600 Exposure Processing: Enhanced in Adobe Photoshop 7.0 Telescope system: Tak. FS152 152mm F/8 APO refractor and F...
    Date2003.04.08 CategoryPlanetary Nebula By박병우 Views2231
    Read More
  7. M27

    화성 확대촬영전에 찍은 M27 입니다. 분당 300cc 주차장, MT200(F6),EM100, 가이드 없음, 직초점, 노출 15초x64 장
    Date2003.07.30 CategoryPlanetary Nebula By이준화 Views1788
    Read More
  8. M27

    어제 시간이 있어서 양평 중미산쪽에 다녀왔습니다. 삐리리한 사진만 건져 왔고......삐리리중에 하나 입니다. 무게를 넘겨서 촬영을 하다보니 항상 스트레스를 받는것 같습니다. 오리온250, 10D, EM200, 가이드 별통 60mm굴절(st-4)
    Date2004.04.15 CategoryPlanetary Nebula By정민경 Views1220
    Read More
  9. m27

    이미지 처리하다 보면 잔별들이 붉은 색으로 변해버립니다. 요즘엔 성운보다는 별색에 더 신경이 쓰입니다. 잔별이 많아서 정신없네요. 중미산 4월 14일 10D Orion 8"(@F8.8,) em tm fc 76 반자동가이드 5분 6장
    Date2004.05.03 CategoryPlanetary Nebula By김형석 Views1313
    Read More
  10. M27

    드디어 300d를 장만했습니다. 어제 적상산에서 첫 촬영을 했고요. 여러 컷 촬영했는데, 아직 합성하는걸 모릅니다. ^^ 그래서 우선 한장 가지고 포샵하고 니트이미지에서만 처리해서 올려봅니다.~ Borg 125ED, GPD, 300D ISO 1600, 3min 1장
    Date2004.07.24 CategoryPlanetary Nebula By최원균 Views1081
    Read More
  11. M27

    TAKAHASHI MT-160 SBIG ST-2000XM (-15) IDAS LPS P-2 R=20m (1X1) L=3m + 5m + 10mx4 = 48m (1x1) RGB = 10m each (2x2) L(L+R)RGB 오랜만에 사진을 찍었네요. 투명도가 그리 좋지 않았지만... 플랫은 또 찍지 못하였습니다...ㅠㅗ ㅠ 황인준님께서 귀뜸해주...
    Date2005.06.01 CategoryPlanetary Nebula By김승남 Views1181
    Read More
  12. M27

    장소 : 덕초현 중앙천문대 일자 : 2007.06.09 장비 : P20 + SX260 + ST10XME (-10c) 합성 : LRGB - 200'*1(L1x1), 200'*1(R2x2), 200'*1(G2x2), 200'*1(B2x2) 기타 : 50% 축소 이미지 (중앙부 크롭) 광축과 초점문제로 좀 엉성합니다. 관측후기 : http://www....
    Date2007.06.12 CategoryPlanetary Nebula By박진홍 Views1271
    Read More
  13. M27

    지난주에 이어 광축을 맞춘 후 다시 촬영해 봤습니다. 초점을 맞춘다고 맞췄는데도 별이 호빵이네요.... 아~~~ 괴롭습니다. 장소 : 덕초현 중앙천문대 일자 : 2007.06.16 장비 : P20 + SX260 + ST10XME (-10c) 합성 : LRGB - 200'*5(L1x1), 200'*2(R2x2), 200...
    Date2007.06.19 CategoryPlanetary Nebula By박진홍 Views1219
    Read More
  14. M27

    오랜만에 사진 올리네요. 세팅 끝내고 촬영대상이 올라올때까지 자투리 시간에 찍어본, 철 지난 사과입니다. 1일, 2일 모두 초저녁대(9시-11시경)에 찍은 것들을 모아 보았습니다. 내부 디테일이 좀 아쉽네요. 이처럼 작은 대상에 한해선, 11k가 별로 좋은 게...
    Date2008.10.03 CategoryPlanetary Nebula By고창균 Views1900
    Read More
  15. M27

    경통: TEC MC250/12 (10",  F12 Maksutov-Cassegrain, CCDT67 x0.75 reducer) 적도의: Takahashi NJP Temma II 카메라: SBIG ST-4000XCM 일시: 2009년 5월 5일 새벽 2시 반 무렵부터... 장소: NADA Observatory 1 노출시간:  10분 12매 이미지 처리: ImagesPl...
    Date2009.05.05 CategoryPlanetary Nebula By김상욱 Views1611
    Read More
  16. M27

    ADT Kastron 400NCFA F3.0 ADT MC700GE Proto typeI QHY10 Vixen FL70 + SBIG ST402ME Total Exposure : 100min HOBYM Observatory in KOREA 2014. 10. 27 20:10PM~  16인치 프라임 포커서 망원경 첫 사진입니다. 양산 체제 구축을 위해서는 약 두세가지 개선...
    Date2014.10.28 CategoryPlanetary Nebula By황인준 Views804
    Read More
  17. M27

    어제 관측에서 M13에 이어서 촬영한 대상입니다. 어두운 광학계라서 더 많은 노출을 줘야했지만, 새벽 4시가 지나서 박명이 시작되어서 촬영을 접어야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채널별로 애매한 노출시간이 되어서 많이 노이즈합니다.  여름철 대상들은 장마철과 ...
    Date2015.05.22 CategoryPlanetary Nebula By박성준 Views158
    Read More
  18. M27

    역시나 미러리스+10인치반사 로 찍은 총 20분짜리 사진 입니다. (with 노터치가이드) 걍 Clear 하게 처리 했습니다. 원본을 뒤집어서 강조해보니 m27 부근의 성운기도 좀 나왔던데, 노출량을 2배 정도로 늘려주면 잘 나올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날 양평 밤하...
    Date2015.09.18 CategoryPlanetary Nebula By김광욱 Views140
    Read More
  19. M27

    제목 : M27 망원경/렌즈 :TEC140 (FS60C ASI224MC Guiding) 카메라 : STX 16803-30  마운트 : AP EQ1200 GTO  노출정보 : L:600(1*1)5장  RGB:300(2*2)각3장  촬영장소 : 별마실관측소 촬영일시 : 2020-03-23일 촬영후기 :새벽에 잠시 해뜨기 직전까지 찍다보...
    Date2020.04.06 CategoryPlanetary Nebula By김삼진 Views70
    Read More
  20. M1-1장 (xq12+eq6)

    장소 : 덕초현 중앙천문대 일자 : 2006.12.22 장비 : XQ12/파라코어 + EQ6pro + ST10XME (-30c ~ -35c) 합성 : L - 300'*1(L1x1) 컬러이미지 : 상기 이미지 1장과 지난번 MK69로 촬영한 LRGB이미지 지난 금요일 밤.... 덕초현에 9시에 도착해서 부랴부랴 지붕...
    Date2007.01.14 CategoryPlanetary Nebula By박진홍 Views1126
    Read More
  21. M1, 2002년 11월, 청태산

    2002년 11월, 청태산, FS102 (D102mm, f820mm, F6 Reducer) EM200, Nikon D100, ISO 1600, 5min 참조: http://astrogallery.pe.kr
    Date2003.04.08 CategoryPlanetary Nebula By김영렬 Views2191
    Read More
  22. M1 게성운 재처리

    자꾸 도배해서 죄송합니다. ^^ 처리를 한번에 정성 드려서 했어야하는데 말이죠... 색감을 좀 바꿔 봤습니다. 식성에 따라 골라 드세요 ^__^V
    Date2004.11.09 CategoryPlanetary Nebula By김형석 Views1177
    Read More
  23. M1 게성운 -- 나다 스타파티

    나다 스타파티 때 찍은 사진입니다. 정다운 시간들이었고, 이런저런 팁을 가르쳐주신 선배 동호회 분들께 너무 감사드립니다. 특히 여러 동호회분들의 노래를 들을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 C9.25가 처음으로 강원도 별빛을 받았습니다. 참 맘에 드는 경통입...
    Date2004.11.07 CategoryPlanetary Nebula By김형석 Views1610
    Read More
  24. M1 게성운

    2012. 10. 20 의령 한우산 OK목장 VC200L(@f 6.4) EM200-ss2kpc astro400D LPS-P2 iso1600 600"×9 예전엔 양념게장을 많이 좋아했는데 요즘엔 간장게장이 좀 더 좋아지려합니다.
    Date2012.10.20 CategoryPlanetary Nebula By조영현 Views912
    Read More
  25. M1 Crab Nebula - Ha

    Ha만 처리를 따로 해 보았습니다.. 정말 징그럽네요.. 배경노이즈도 있고.. 별색도 음침합니다. 한장이 어떤이유에서인지 가이드가 튀어 별상이 이상하지만 다 사용을 했습니다. 사진관측 차원에서 올립니다. ADT Kastron 380DS w/ Astrooptics 3" Wynne Corr...
    Date2006.10.04 CategoryPlanetary Nebula By황인준 Views1538
    Read More
  26. M1 Crab Nebula

    이번에 3번에 걸친 출사는 안개와 구름으로 중간 중간 실패가 많았습니다. 따라서 대부분 절대 노출이 부족한 사진이 되어 처리에 애를 먹었습니다. 이 사진 역시 같은 이유로 S/N비가 떨어짐을 알 수 있습니다. 성과는 MPCC (바더사 범용 뉴튼용 코마 커랙터...
    Date2005.09.22 CategoryPlanetary Nebula By황인준 Views1616
    Read More
  27. M1 Crab Nebula

    15인치의 첫 사진입니다. 일단 써본 느낌은 역시 집광력의 차이로 인해 장당 S/N비가 아주 좋다는 것입니다. 한장의 이미지가 12인치 5장 이미지 합친 정도입니다. 물론 이론적인 수치인 분해능에서도 압도함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제대로 된 사진을 올리고 ...
    Date2005.11.11 CategoryPlanetary Nebula By황인준 Views1471
    Read More
  28. M1 Crab Nebula

    예전에 노출을 부족하게 찍었던 것이 걸려 다시 찍어 보았습니다. 여러 개조의 결관느 긍정적인 것 같습니다. 이날은 시상이 썩 좋지는 않았습니다. 이 사진 찍고 나서 쫗아졌던 기억입니다. M1은 광학계가 바뀌거나 시스템이 바뀌면 테스트 삼아 늘 찍...
    Date2006.10.02 CategoryPlanetary Nebula By황인준 Views1316
    Read More
  29. M1 Crab Nebula

    GSO의 12인치 RC망원경을 들여 놓고는 접안부의 부실함으로 사진용 망원경으로는 부족함이 있었습니다.  접안부를 다카하시 범용 접안부로 바꾸고는 역시 쓸만한 망원경으로 변모했습니다.  미러셀의 강성부족이 광축조절시 미러 스트레스 유발을 하지만  역시...
    Date2016.01.04 CategoryPlanetary Nebula By황인준 Views277
    Read More
  30. M1 Crab nebula

    망원경/렌즈 : Planewave CDK14 (D:356mm, fl:2563mm) 카메라 : SBIG STX-16803  마운트 : RainbowAstro RST-400  필터 : Astrodon true-balance gen2 50mm square LRGB 비축가이더 : Astrodon MOAG 가이드CCD : ZWO ASI174MM 노출정보 : L 600s x 23(1x1bin)...
    Date2017.03.03 CategoryPlanetary Nebula By정병준 Views110
    Read More
  31. M1 - Crab Nebula

    -NADA 제1천문대 -292FN w/R200SS 코마코렉터 -NJP Temma2 -ST-10XME w/ CFW-8A(-25) -L : 300sec(1X1) X 12 -Hα : 1200sec(1X1) X 3 -RGB : 300sec ea(2X2) X 4 -2006. 10. 29 세월이 많이 흘러 커지면 영덕 대게가 되는 건가요? 늘 게 속살이 보이도록 찍어...
    Date2006.11.11 CategoryPlanetary Nebula By김일순 Views1187
    Read More
  32. M1 - Crab Nebula

    -NADA 제1천문대 -ADT Kastron 380DS w/ Astrooptics 3" Wynne Corrector -AP EQ1200 GTO -ST-10XME w/CFW-8A(-25) -Hα : 1200초X2장(1X1) -L : 300초X12장(1X1) -RGB : 각 300초X3장씩(2X2) -2007. 10. 14 황소자리에 있는... 1054년에 폭발했다는 초신성의 ...
    Date2007.10.23 CategoryPlanetary Nebula By김일순 Views176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