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Planetary Nebula
2005.06.02 01:26

M57 고리성운

(*.165.20.213) 조회 수 1358 추천 수 93 댓글 11




2005년 5월 4일 덕초현RO
LRGB 40m, 15m, 15m, 15m
GSO12inch, EQ1200GTO, ST10XME

고리 외곽부로 흩어져나간 행성상 성운과 주변은하등을 같이 표현해 보려고 했습니다만... 아직 뭔가 많이 부족합니다. 나중에 Ha 덧 붙여 주어야 겠습니다.
옆의 나선은하는 IC1296으로 14.8등급대이고, 고리성운과 밝기차이가 많이 나서 여러가지 Non-Linear Stretch를 한 이미지 입니다.
  • 이윤 2005.06.02 07:50 (*.111.41.236)
    나선은하까지 잡아낸 고리성운사진은 사진은 처음 봅니다.
    정말 대~단 합니다.
  • 박정용 2005.06.02 08:44 (*.121.98.245)
    고리성운 주위도 성운기가 보이는군요.
    그러게요..나선은하도 보이고...
    멋집니다.
  • 박영식 2005.06.02 09:06 (*.219.33.111)
    고리 주변에...뿌옇게 보입니다... ^^
  • 박성준 2005.06.02 09:29 (*.248.183.29)
    나선은하에 먼저 눈길이 갔습니다. 놀라운 사진이군요! ^^
  • 이경화 2005.06.02 09:57 (*.88.36.132)
    오랜만에 성도를 폈는데, 모두 없군요. skyview에 겨우..
    놀랍습니다. 저도 처음 보는데다가 저 밝은별들 사이에서 나선팔까지 보이다니..
    또 다른 선구적 시도이군요. 멋집니다.
  • 이준화 2005.06.02 10:57 (*.249.97.69)
    놀라운 사진을 찍으셨군요~ 축하드립니다.
  • 최승용 2005.06.02 11:07 (*.255.216.142)
    그냥 그런 사진인 줄 알았는데 자세히 보니 대단한 사진이군요.
    12인치로 못하는 것이 없으니....
    요즘에는 행성이나 딥에서 모두 구경의 거센 뽐뿌가 몰려 옵니다.^^
  • 신범영 2005.06.02 12:04 (*.178.133.254)
    아는 것 만큼 보인다고 했는데 고리주변에 나선은하가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멋진사진 감사합니다.^^
  • 유종선 2005.06.02 13:20 (*.155.239.190)
    아하... 그렇군요. 고리성운 밖으로도 옅은 성운기가 있었군요! 첨 보았습니다. ^^;;; 옆에 있는 나선은하도 역시 첨 본것 같군요..
  • 김영렬 2005.06.02 13:27 (*.232.128.96)
    고리 성운과 주변의 또 다른 모습... 대단하군요.
    링크에 있는 사진과 비교해 보니 잘 알수 있군요.
  • 이건호 2005.06.02 13:27 (*.101.107.100)
    토니 핼러스(astrophoto.com)의 기막힌 사진과는 한참 비교됩니다. Ha 더하고 RGB도 더해서 언제 비슷하게라도 해 보고 싶습니다.

  1. M76 Little Dumbbell Nebula

    - M76 Little Dumbbell Nebula - 2015/09/18 (장수 무령고개, 1.7 hr 노출)   2015/10/16 (대전 갑천, 5.6 hr 노출) - Takahashi Mewlon-210 + Mewlon FL/RD (x0.8) (fl=1,932mm) - Takahashi EM200 Temma2M - QSI583wsg (-20C) with Lodestar X2 Guiding - A...
    Date2015.10.17 CategoryPlanetary Nebula By박성준 Views96
    Read More
  2. M76 Little Dumbbell

    작은아령성운으로 불리는 행성상성운 입니다. 약 3천광년 떨어져 있다는 군요. M76 (NGC 650) Constellation: Per Dreyer description: Very bright, westward of double nebula; = M76. Magnitude: 12.0 RA: 01h 42m 32.9s Dec: +51°35'11" RA: 01h 42m 18.0...
    Date2003.12.18 CategoryPlanetary Nebula By이건호 Views1619
    Read More
  3. M76 Little Dumbbel

    Imaging Date: September 22th, 2006 Imaging Site: Astrovillage,Korea Telescope: SK15 with paracorr Mount: AP EQ1200GTO Guiding: Selfguide Imaging Camera: SBIG ST-10XME w/CFW-8A (-20) Exposure: L 300sec X 10 (1X1), RGB 300sec X 3 (2X2) LRGB c...
    Date2006.11.05 CategoryPlanetary Nebula By선숙래 Views1168
    Read More
  4. M76 - Little Dumbell

    -NADA 제1천문대 -ADT Kastron 380DS w/ Astrooptics 3" Wynne Corrector -AP EQ1200 GTO -ST-10XME w/CFW-8A(-25) -Hα : 1200초X2장(1X1) -L : 300초X12장(1X1) -RGB : 각 300초X3장씩(2X2) -2007. 10. 14 장초점(16인치 or 20인치 RC 등) 으로 쫘~악 땡겨서...
    Date2007.11.14 CategoryPlanetary Nebula By김일순 Views1741
    Read More
  5. M76 (너무 작지만...)

    너무 작은 대상이라 400mm로는 실감나지 않는 대상이지만, 그냥 귀엽게 봐주시길 바랍니다. ^^;;
    Date2006.09.22 CategoryPlanetary Nebula By박성준 Views1135
    Read More
  6. M76

    2008년 9월 29일, TEC MC250/12, AP CCDT67 reducer, ST-4000XCM, 10min x 6 2048x2048 이미지에서 1024x1024로 중앙부 크롭, 640x640 크기로 축소한 이미지 1시간 밖에 노출을 줄 수 없어서 화질이 거칩니다. 지난 번 찍어봤던 사진에서 별들이 길쭉해진 것...
    Date2008.09.30 CategoryPlanetary Nebula By김상욱 Views1737
    Read More
  7. M76

    페르세우스 자리의 행성상 성운입니다. 생긴 모양이 M27과 비슷하다 하여 작은 아령으로 불리웁니다. 지구로부터 2500광년의 거리에 있습니다. 초속 42km로 퍼지고 있으며 중심의 백색왜성은 겉보기 등급 16등성입니다. 칠레 다녀온 후로 맑은 날이 별로 없네...
    Date2016.11.18 CategoryPlanetary Nebula By황인준 Views97
    Read More
  8. M57막샷~

    촬영 데이터는 잘 모르겠어요~
    Date2010.05.16 CategoryPlanetary Nebula By박성래 Views1322
    Read More
  9. M57_ST-7 테스트

    첫 사진입니다. 오토 가이더 케이블을 만들어봤는데 실패였습니다. 가대의 오작동을 유발하더군요. ㅠ.ㅜ 결국 박병우님께 신세를 지기로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박병우님 손수 천문인 마을까지 가셔서... ) 그래서 1분이라는 짧은 노출을 주었습니다. 많이 ...
    Date2004.07.24 CategoryPlanetary Nebula By김형석 Views1313
    Read More
  10. M57_060525_탄상현

    LX200_8인치 시스템에서 경통만 떼어내어 EM200에 올렸습니다. 2000mm가 넘는 장초첨을 활용하기 위하여 작은 대상인 M57을 연습촬영해보았는데 앞의 이건호님의 사진과는 많이 비교됩니다. self_guide를 하기 때문에 미러 시프트문제는 없어 보이지만 주변부...
    Date2006.05.26 CategoryPlanetary Nebula By신범영 Views1645
    Read More
  11. M57_0214

    입니다. 2004년 2월 14일 AM02:30 덕초현 중앙천문대 장비 : R200SS, 10D, EM200TPC - 4min*5 Non dark frame - Raw 모드 촬영 포샵 16bit Tif 파일 변환 후, - Maxim 합성 후 포샵 레벨,커브,언샵처리 - 역시 ST-5C로 자동 가이드 해도 별이 왔다갔다 하며 ...
    Date2004.03.05 CategoryPlanetary Nebula By조창우 Views1625
    Read More
  12. M57-SOAO-2005Apr05

    M13찍고났더니 하늘이 많이 않좋아졌습니다. 고층운이 엷게끼어있었습니다. 그래서인지 별상이 부었네요...팅팅... Flat 찍을 시간이돼서... 노출시간을 100초로 줄여서 좀 어둡네요... ^^ 2005. Apr. 05. 05:00~05:20 SOAO, 24inch, 2KCCD, Johnson UBVRI fi...
    Date2005.04.05 CategoryPlanetary Nebula By박영식 Views1170
    Read More
  13. M57, 2003년 3월, 설매재

    2003년 3월, 양평 설매재 SCT 9 1/4 EX (D 235mm, f 2350mm, F 10, Reducer F 6.3) EM200, Nikon D100 ISO 1600 에서 223 초 ISO 1600 에서 142 초 2매 합성 1/2로 resize 후 1/2 crop 한 것입니다.(길이) 참조: http://astrogallery.pe.kr
    Date2003.04.08 CategoryPlanetary Nebula By김영렬 Views2183
    Read More
  14. M57, 2002년 9월 8일, 태기산

    2002년 9월 8일, 태기산 FS102 (D102mm, f820mm) EM200, Nikon D100, ISO 1000, 5min 참조: http://astrogallery.pe.kr 디지탈 카메라 D100을 사고 처음 찍은 사진입니다.
    Date2003.04.08 CategoryPlanetary Nebula By김영렬 Views2156
    Read More
  15. m57(적상산에서 지난주말에..)

    가락지성운을 NGC 이덕수님의 빅센 New바이삭에 얹어서 찍었습니다. 위사진은 감도800에 2분노출 1매, 아래사진은 감도400에 1분노출 9매, 빅센 뉴바이삭 직초점 적도의 EM-1s 노터치가이드 캐논 10D카메라
    Date2003.06.03 CategoryPlanetary Nebula By이윤 Views1956
    Read More
  16. M57(NGC6720)고리성운

    거문고자리 행성 성운 1779년 메시에와 안토니오다퀴에르가 처음발견함. 성운자체의 크기는 1/2광년 성운까지의 거리는 2000광년 정도이고 밝기는 9.7등급 크기는 70초 정도임 중심성은 14.8등급(밤하늘에보석중에서..) 2008-03-30일 별마실관측소 L:20분*2장...
    Date2008.04.10 CategoryPlanetary Nebula By김삼진 Views1867
    Read More
  17. M57 고리성운 심층 관측 2

    <== 크롭 후 200% 확대 <중앙부중심으로 크롭> - 촬영 일시 : - 촬영 장소 : - 망원경(경통) : GSO 12인치 돕소니언 + x2 ED 바로우 - 가대(삼각대) : - 카메라(CCD) : 필터개조 소니 Nex7 - 촬영 노출 : iso 1600 | 30sec x 9매 (No dark, No flat) 돕으로 ...
    Date2015.05.26 CategoryPlanetary Nebula By김태환 Views497
    Read More
  18. M57 고리성운

    2005년 5월 4일 덕초현RO LRGB 40m, 15m, 15m, 15m GSO12inch, EQ1200GTO, ST10XME 고리 외곽부로 흩어져나간 행성상 성운과 주변은하등을 같이 표현해 보려고 했습니다만... 아직 뭔가 많이 부족합니다. 나중에 Ha 덧 붙여 주어야 겠습니다. 옆의 나선은하는...
    Date2005.06.02 CategoryPlanetary Nebula By이건호 Views1358
    Read More
  19. M57 고리성운

    별만세 관측지 하늘 테스트용으로 6월9일에 찍었는데 고정관측지에 장비가 적응안되었는지 가이드에러가 자꾸나서 찍은 사진 중 몇장밖에 사용하지 못했습니다. 시상이 오락가락 해서 그런지 별상도 크고 디테일도 맘에 안드네요. Optics: ADT Kastron 320DS(...
    Date2007.07.01 CategoryPlanetary Nebula By신범영 Views2183
    Read More
  20. m57 고리성운

    2012. 8. 26 경남 밀양 명품농원 VMC260L (@f11.5) EM200-ss2kpc astro400D LPS-P2 iso1600 120"×9 날이 생각외로 좋아져서 물놀이 갔다오자마자 짐 챙겨서 밀양의 명품농원이란 곳으로 달렸습니다. 처음 가본 곳인데, 장소는 넓직하이 좋았는데 흙바닥 군데...
    Date2012.08.26 CategoryPlanetary Nebula By조영현 Views1192
    Read More
  21. M57 Ring Nebula

    Ring Nebula in Lyra M57 (NGC 6720) Other description: Planetary nebula ring with central star. Constellation: Lyr Dreyer description: A magnificent (or otherwise interesting) object!, ring, bright, pretty large, considerably extended (in Ly...
    Date2004.03.09 CategoryPlanetary Nebula By이건호 Views1649
    Read More
  22. M57 Ring Nebula

    이번주 월, 화가 여름날씨 답지 않게 참 맑았습니다. 아주 청명하진 않았지만, 구름없이 밤새 맑더군요.  월령이 좋지 않았지만, 그냥 무시하고 찍었습니다.  멀리 나가지는 못하는 여건이라서 늦게나마 집앞에서 장비를 펼쳤습니다. 역시 narrowband도 하늘...
    Date2015.08.07 CategoryPlanetary Nebula By박성준 Views218
    Read More
  23. M57 - 양평

    양평에서의 이미지입니다. Bort125 + EM200 + 10D 2분2장(ISO800) crop only 25%resize
    Date2004.05.24 CategoryPlanetary Nebula By박현권 Views1097
    Read More
  24. M57 (The Ring Nebular)

    아마 2010년 첫 촬영인 듯 합니다....^^;; 토요일밤 관측이 지나....새벽 3시 넘어가면서 옅은 구름이 끼면서 시상이 많이 안좋아지더군요. 그래서 한번 기념샷 한번 찍기위해 잡아봤습니다. RGB-HA 를 시도 했는데,  HA 찍을때 구름이 집중적으로 ...
    Date2010.03.15 CategoryPlanetary Nebula By김광욱 Views1740
    Read More
  25. M57 (RGB)

    이준화님의 LRGB 합성의 문제점 지적 글에 참고 이미지로 RGB만 합성한 사진을 올려 봅니다. 저 아래 LRGB와 비교해 보세요. 2x2 Binning 했기에 사이즈가 반입니다.
    Date2003.04.11 CategoryPlanetary Nebula By이건호 Views2178
    Read More
  26. M57

    C8ex, EM10, ST-10XME L: 5min x 4, 1x1Binning RGB: 각각 1min x 4, 2x2Binning 2003년 4월 5일 양평 설매재 인근야산 actual size crop
    Date2003.04.09 CategoryPlanetary Nebula By이건호 Views2150
    Read More
  27. M57

    중앙천문대에서 찍은M57 입니다. 아주 작게 나오는군요 3분 노출 주었습니다. 다크 프레임도 3분 노출 XQ200s EM200USD2 NikonD100 ISO 1600
    Date2003.05.01 CategoryPlanetary Nebula By박성래 Views1909
    Read More
  28. M57

    Object: M57 Exposure: L: 2min X 5 Processing: Enhanced in Adobe Photoshop 6.0 and Maxim/DL Telescope system: Tak. MT-160(FL:776mm), CCD Camera(-9) Mount: Tak. EM-100 Guiding: None Location: NoMok Date: 06/01/2003, 02:00~ KST 아래사진은 이건...
    Date2003.06.02 CategoryPlanetary Nebula By이준화 Views1761
    Read More
  29. M57

    떠나보내기가 아쉬워서 촛점거리가 짧은데도 불구하고 담아 봤습니다. 역시 찍은 곳은 덕초현 천문인 마을입니다. - FS152 +Em200Tm2Jr. - SBIG ST-2000XM + CFW8 - L=30초 X 50장(1X1) R=30초X 20장, G=30초X 20장, B=30초X 20장 (2X2) 노터치 가이드 - CCDS...
    Date2003.10.22 CategoryPlanetary Nebula By황인준 Views1723
    Read More
  30. M57

    지나는 길에 잠깐 찍은 대상입니다. 시직경이 작은데다 크기까지 작으니 삐리리 하네요. 노출시간도 부족하군요. . HO-BYM 292FN AP EQ1200 ST-10XE w/ CFW-8a(-30) L : 20min(1X1) RGB : 5min ea(2X2) LRGB합성 나다 제1 천문대 덕초현 천문인 마을 2005. 3....
    Date2005.03.16 CategoryPlanetary Nebula By황인준 Views1382
    Read More
  31. M57

    지난주 6월5일 찍어본 사진 입니다. Dark를 찍지 못해 어제 관측을 가서 별은 못보고 Dark만 찍어 왔습니다... 간신히 -20도 까지 떨어져서.... 이제서야 처리 해 보았는데... 결과는 영~ G,B 채널로 찍을때 가이드에 문제가 생겨 별들이 두개로 찍혔더군요.....
    Date2005.06.13 CategoryPlanetary Nebula By조창우 Views1236
    Read More
  32. M57

    장소 : 덕초현 중앙천문대 일자 : 2007.06.10 장비 : P20 + SX260 + ST10XME (-10c) 합성 : LRGB - 100'*2(L1x1), 100'*1(R2x2), 100'*1(G2x2), 100'*1(B2x2) 기타 : 100% 이미지 (중앙부 크롭) 광축과 초점 문제로 좀 엉성합니다. AnyGoto 부착한 후로 가이...
    Date2007.06.12 CategoryPlanetary Nebula By박진홍 Views133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