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Planetary Nebula
2005.09.22 19:26

M1 Crab Nebula

(*.150.204.128) 조회 수 1616 추천 수 128 댓글 10




이번에 3번에 걸친 출사는 안개와 구름으로 중간 중간 실패가 많았습니다.
따라서 대부분 절대 노출이 부족한 사진이 되어 처리에 애를 먹었습니다.
이 사진 역시 같은 이유로 S/N비가 떨어짐을 알 수 있습니다.
성과는 MPCC (바더사 범용 뉴튼용 코마 커랙터)를 테스트 했으나 CCD면과의 거리가 맞지 않는 관계로 주변이 많이 날랐습니다. 사진은 보정 안된 부분을 잘라내고 리사이징 80%정도 한 이미지입니다.
어뎁터를 다시 제작해 테스트를 더 해 보아야 하지만 파라코어 보다는 성상이 훨씬 샤프하게 맺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어뎁터는 실패를 고려하여 몇가지 제작 중입니다.
다음 출사때는 좋은 하늘아래 마음 놓고 찍어 보았으면 좋겠습니다.
.
HO-BYM 292FN
AP EQ1200
ST-10XE w/ CFW-10(-15)
L : 5min(1X1) X 2 2005/9/10
RGB : 5min ea(1X1) 2005/9/12
나다 제 1 천문대
덕초현 천문인 마을
  • 박성준 2005.09.22 20:21 (*.248.16.55)
    너무 큼직한 킹크랩이네요...처음 봅니다...이렇게 크고 상세한 크랩은요...^^
  • 김상욱 2005.09.22 20:25 (*.253.87.130)
    역시 끝~내주는 사진입니다.
    사진 감상과는 별도로 드는 한 가지 궁금증...
    다른 게성운 사진에서도 그렇지만 이 사진에서도 성운 덩어리
    오른쪽 위편에 보면 동그랗게 빈 부분, 성운기가 적어 보이는 부분이 보이는데 왜 그 자리만 그럴까요?
    박영식님! 좀 가르쳐 주세요.^^
  • 신범영 2005.09.23 08:29 (*.178.133.254)
    어두운 녀석인데 멋지게 잘 찍으셨습니다.
    디테일이 참 좋습니다.^^
  • 최승용 2005.09.23 09:46 (*.255.146.12)
    MPCC가 보정이 잘 된다니 반갑군요.
    그런데 사진 상의 별들이 좀 이상하게 보이는 것은 무슨 이유일까요?
    별들이 약간 흩어져 보이는데.....
    둥그렇게 보이지 않고 사방으로 펴저 보이는 듯한 인상이....
    미리 사용해 본 사람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앞으로 참고 하게...^^
    참! 이미지는 끝내 줍니다.^^
  • 김영렬 2005.09.23 10:09 (*.200.55.169)
    역시 좋은 사진이군요. 날씨가 좋은 날이 거의 없었던 것 같은데, 기회를 그냥 지나치지 않는 모양이네요.
    성운의 모습이 아주 자세히 보이는 군요.
  • 박영식 2005.09.23 11:20 (*.219.33.78)
    이제서야 봤습니다...
    김상욱님... 제가 어찌 그런것을 다 알겠습니까... ^^

    생각해보건데... 초신성폭발이 일어나면서 주변으로 물질이 흩어지게 되는데...
    말씀하신 그부분에 있는 질량이 큰 별이 있어서, 초신성 폭발로 확산되는 별의 잔해들이 그대로 흩어지지 못하고
    그 별 주위에서는 퍼져 나가지 못하는 그런 상황인듯 합니다.
    물론, 정설이 아니고... 그냥 제 생각입니다... ^^
    말로 설명하려니힘드네요... ㅡㅡ;
  • 박영식 2005.09.23 11:41 (*.219.33.78)
    아래 링크에 있는 그림 참고해보세요...
    인준님 설명을 위해 이미지를 잠깐 빌렸습니다. ^^

    http://www.kasi.re.kr/~parkys/astrophoto/nada/m1_illust.jpg

    그림을 확대한 우측 상단의 그림을 다시 보시면...
    중심부에 빨간 별이 있고... 그 별이 주변의 물질들을 밀어내는 복사압을 표시한 것이 파란 화살표이고...
    복사압이 미치는 공간을 표시한 것이 별주변의 작은 원입니다.
    그런데, 그 위로 필라멘트 구조등이 지나가는 것은
    3차원적으로 우리 시선방향 위쪽에 필라멘트 구조가 있어서 그런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게 아니면 어쩌지요? ^^
  • 김상욱 2005.09.23 12:38 (*.253.87.130)
    박영식님, 친절한 해설 너무 감사합니다.^^
  • 황인준 2005.09.23 21:14 (*.204.206.66)
    칭찬들 감사드리구요..^^
    승룡형에게..
    MPCC의 보정 정도는 아직 테스트가 끝나지 않은 상태라 단언할수는 없습니다만 결과는 긍정적입니다.
    별이 예전 사진들과 비교해서 약간 퍼져 보이는 이유는 동시에 RGB를 찍지 않아서 일수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촬영매수가 부족한 관계로 이미지 처리를 마음 놓고 할 수 없을 정도로 S/N비가 떨어져서 인 것이 주된 이유입니다.
    사실 이미지 처리를 다양하게 시도 할 수는 없었습니다.
    커브와 레벨 DDP정도 한것이 고작이랄 수 있지요.
    어두운 지역의 성운기를 보면 많이 거친 것을 알수 있습니다.
    11월 부터는 15인치가 가동에 들어갈 예정이므로 촛점거리도 이 대상을 찍기에 적당하니 한 두어시간 찍어 볼 생각입니다.
  • 박대영 2005.09.24 08:51 (*.118.4.16)
    어제 저녁 집에 와보니 꽃게를 삶아 놨더군요..오늘 아침에는 멋진 게성운을 볼 수 있었고..^^ 훌륭한 사진에 매번 경의를 표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이름 아이디 글쓴이
65 Planetary Nebula PK164+31.1 - 살쾡이자리 행성상성운 14 file 2007.12.22 2105 김일순 arame 김일순
64 Planetary Nebula M97 올빼미성운 7 file 2008.03.05 1765 신범영 shintong 신범영
63 Planetary Nebula M57(NGC6720)고리성운 3 file 2008.04.10 1869 김삼진 jinalji 김삼진
62 Planetary Nebula M27(아령성운) 6 file 2008.04.13 1922 김삼진 jinalji 김삼진
61 Planetary Nebula medusa nebula (pk205+14.1) 6 file 2008.04.26 1668 신범영 shintong 신범영
60 Planetary Nebula M27 (아령성운) 7 file 2008.05.01 1848 신범영 shintong 신범영
59 Planetary Nebula 둥둥 떠있는 딥스카이 씨리즈 2 : M57 2 file 2008.05.04 1583 박성래 starlit22 박성래
58 Planetary Nebula 정회원 가입기념 ^^ 11 file 2008.05.16 1926 이상희 mysky71 이상희
57 Planetary Nebula 080709_m27 13 file 2008.07.10 2422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56 Planetary Nebula M27, 아직도 먹을 게 많이 남은 사과 15 file 2008.08.30 1955 김상욱 quark 김상욱
55 Planetary Nebula M76 10 file 2008.09.30 1738 김상욱 quark 김상욱
54 Planetary Nebula M27 10 file 2008.10.03 1901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53 Planetary Nebula NGC2736 Pencil Nebula - Supernova Remanant 11 file 2008.10.22 1949 황인준 sanfran 황인준
52 Planetary Nebula Ha 영역 추가한 Helix nebula 7 file 2008.11.21 1625 조용현 zztop 조용현
51 Planetary Nebula 081207_PLN205+14.1 13 file 2008.12.08 1513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50 Planetary Nebula M97, 올빼미 성운 8 file 2008.12.26 1619 김상욱 quark 김상욱
49 Planetary Nebula M27 아령성운 7 file 2009.04.26 1549 전승표 josdak 전승표
48 Planetary Nebula M27 14 file 2009.05.05 1611 김상욱 quark 김상욱
47 Planetary Nebula M27 (Narrow band) 11 file 2009.05.07 1769 신범영 shintong 신범영
46 Planetary Nebula 090601_m27 6 file 2009.06.02 1565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45 Planetary Nebula 090821_m27 10 file 2009.08.22 1641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44 Planetary Nebula 090823_m27_Ha 7 file 2009.08.26 1528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43 Planetary Nebula 목성의 유령(Ghost of Jupiter) 7 file 2010.02.06 1440 김상욱 quark 김상욱
42 Planetary Nebula M57 (The Ring Nebular) 2 file 2010.03.15 1742 김광욱 applewo 김광욱
41 Planetary Nebula 100313_ngc2392_eskimo 6 file 2010.03.17 1820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40 Planetary Nebula m57 7 file 2010.04.26 3715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39 Planetary Nebula EOS 7D + M 27 3 file 2010.05.16 1302 박성래 starlit22 박성래
38 Planetary Nebula M57막샷~ 1 file 2010.05.16 1324 박성래 starlit22 박성래
37 Planetary Nebula 100928_m27 4 file 2010.09.30 1615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36 Planetary Nebula M27, 아령 성운 6 file 2010.10.12 1684 공준호 lightclad 공준호
35 Planetary Nebula 101009_ngc6781 9 file 2010.10.12 1619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34 Planetary Nebula 101203_PLN205+14.1 5 file 2010.12.20 1503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