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 m103

    2010. 11. 13 양산 하늘공원 C9.25 @f10 GPD-ss2kpc astro 400D / iso1600 / lps-p2 300"×16 영롱한 구상성단을 꼭꼭 찍어보고 싶었는데, 필드에 나가면 항상 다음기회에~ 하며 미루어 왔습니다. 밤새 옅은 구름이 흘러가길래 "오늘이 아니면 언제~"싶어서 선...
    Date2010.11.13 CategoryStar Cluster By조영현 Views1157
    Read More
  2. M103 카시오페아자리 산개성단

    사정상 멀리 가지는 못했습니다. 광해가 심하지만 가까운 거리에 있는 마티재에서 화려한 대상은 아니지만, 산개성단이나 구상성단등은 촬영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을 늘 했었습니다만, 1년전에 비해 광해가 무척 심해졌더군요. 만만한 대상이 없는거 같습니다.
    Date2006.09.22 CategoryStar Cluster By박성준 Views1220
    Read More
  3. M107 (NGC 6171) 03/29/2003

    Object: Globular Cluster in Ophiuchus Exposure: 207seconds, ISO800 Exposure Processing: Enhanced in Adobe Photoshop 7.0 Telescope system: Tak. FS152 152mm F/8 APO refractor, Fujifilm FinePixS2Pro digital camera Mount: Tak. NJP Guiding: None...
    Date2003.05.12 CategoryStar Cluster By박병우 Views1814
    Read More
  4. M107 뱀주인자리 구상성단

    11.5인치 F5.2 뉴톤 경통 (GS-Optic 12인치 돕소니언) 텔레뷰 파라코어 ST-10XME, EQ1200 LRGB: 10min, 3min, 3min, 3min 2005년 3월 18일 덕초현 천문인마을
    Date2005.03.31 CategoryStar Cluster By이건호 Views1072
    Read More
  5. M107, 2003년 5월 2일

    M107, 2003년 5월 2일, 용문산 SCT 9 1/4 (D235 mm, fl 2350 mm, F6.3 Reducer) EM200, Nikon D100, ISO 1600, 5min 1/2 resize 후 crop http://astrogallery.pe.kr
    Date2003.05.11 CategoryStar Cluster By김영렬 Views1917
    Read More
  6. m11

    - 촬영일시 : 2010년 05월21일 - 촬영장소 : 경남 의령 한우산 ok목장 - 마 운 트 : EM-200B - 망 원 경 : SkyWatcher ED 120 F@ 7.5 - 카 메 라 : QHY8 (One Shot Color CCD) - 보정렌즈 : SkyWatcher ED 120 전용리듀서/플레트너 F@ 6.3 - 가 이 드 : Willi...
    Date2010.05.24 CategoryStar Cluster By이상희 Views1470
    Read More
  7. M11 (Wild Duck Cluster in Scutum)

    방패자리에 있는 시직경 약 11분 크기의 산개성단으로 밀집도가 높아서 느슨한 구상성단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날아가는 야생오리떼를 닮았다고하는데 제눈에는 야생오리알들이 모여 있는 것 같습니다. 위의 사진은 M11을 중심으로 크롭한 것이고 아래사진은 ...
    Date2008.10.12 CategoryStar Cluster By신범영 Views1686
    Read More
  8. M11 야생오리성단

    2004년 5월 21 GSO12, EQ1200, ST10XME 1분석장
    Date2004.06.23 CategoryStar Cluster By이건호 Views1147
    Read More
  9. M12

    메시에 목록을 일찍 끝내고자 전갈 궁수의 구상을 주욱 찍는다는 생각으로 찍었습니다.. 그런데 구상도 노출을 많이 주는 것이 좋겠군요. 미드 10인치 F4 뉴트니안 EM200 Tm 2 Jr. SBIG ST-7E ( -20) 노출 40초 X 8장 Seeing : 5/10 Trans : 4/5 Stella Image...
    Date2004.05.02 CategoryStar Cluster By황인준 Views1223
    Read More
  10. M12

    M10을 찍고 나서 찍은 사진입니다. 8시 방향에 은하가 두개가 보이는군요. 이로서 18일 밤에서 19일 새벽에 찍은 사진 7장을 다 올렸네요. 그러고 보니 다시 월령이 좋아졌습니다. HO-BYM 292FN AP EQ1200 ST-10XE w/ CFW-8a(-30) L : 10min(1X1) RGB : 5min ...
    Date2005.03.31 CategoryStar Cluster By황인준 Views1256
    Read More
  11. M12 2003/05/05

    130EDF, ST-10XME, EQ1200 2003년 5월 5일 덕초현 천문인마을 L: 5min x 3 (1x1binning) RGB: 1min x 3 (2x2binning) 맥심에서 캘리브레이션-> DDP-> 합성(L, RGB) 포토샵에서 LRGB합성. 언샵마스크 상단사진 실사이즈 크롭 하단사진 크롭후 리사이즈 (클릭해...
    Date2003.05.19 CategoryStar Cluster By이건호 Views1779
    Read More
  12. M13

    중앙천문대에서 찍은 M13 입니다. 3분 노출 주었습니다. 다크 프레임도 3분 노출 XQ200s EM200USD2 NikonD100 ISO 1600
    Date2003.05.01 CategoryStar Cluster By박성래 Views1937
    Read More
  13. M13

    NADA 신고사진 입니다~ 5일새벽이고요~ S2PR0 5"직초,4분 입니다. 원본화일에 사이즈만 줄였습니다~ 이제 조금씩 시작합니다~~^^!
    Date2003.05.06 CategoryStar Cluster By심용택 Views1965
    Read More
  14. M13

    130edf, st-10xme,eq1200 L: 5min x 1장 RGB: 1min x 1장씩 중앙부터 주변까지 다 나오게 하기가 어렵네요. 2번째 사진은 클릭해서 보세요.
    Date2003.05.10 CategoryStar Cluster By이건호 Views1893
    Read More
  15. M13

    좀 이른감이 없지 않지만 찍어보았습니다.. 뭐 찍을 대상이 없었다는 것이 맞습니다.. 써보면 볼수록 느끼는 것이지만 단촛점 고성능 아포굴절과 고성능 CCD의 만남은 아주 즐거운 구석이 많습니다.. 하지만 구상성단 찍기에는 촛점거리가 아쉽습니다.. 참고 ...
    Date2003.12.11 CategoryStar Cluster By황인준 Views1332
    Read More
  16. M13

    Object: M13 Exposure: L: 80sec x 3(1x1bining), RGB: 80sec x 1 each((1x1bining) Processing: Enhanced in Stellar image 4 Telescope system: Tak. FS152 152mm F/8 APO refractor and 2000XM cooled CCD camera Mount: Tak. NJP Guiding: Auto guide Loc...
    Date2004.04.12 CategoryStar Cluster By박병우 Views1273
    Read More
  17. M13

    작년 3월 24일에 s2pro로 노출 244초로 주고 찍은 M13입니다. 참고로 올립니다.
    Date2004.04.19 CategoryStar Cluster By박병우 Views989
    Read More
  18. M13

    여러날 찍은 M13을 이용해 만든 이미지 입니다. 누적 노출이 높아져서 인지 조금더 낳아져서 올립니다. 가이드도 가이드지만, 최원균님한테 사사받은 보그 특유의 칼 광축을 맞추고 다시 찍어봐야겠습니다. 800mm 0.8x 크기에서 중앙 크룹핑.(아침에 다시 보...
    Date2004.04.20 CategoryStar Cluster By박현권 Views1117
    Read More
  19. M13

    SN10구입후 최초로 찍은 사진 입니다. 1분 노출 2매 합성했구요 300D로 ISO800에서 촬영 했습니다. 스텔라 이미지2에서 DDP 후포토샾에서 리사이즈 했습니다. 몇일 전에 www.lxd55.com에 올린 사진과 동일한 원본을 가지고 최고는 아니지만..최선의 사...
    Date2004.04.23 CategoryStar Cluster By박성래 Views1309
    Read More
  20. M13

    2004년 6월 12일, 경기도 중원산 중원계곡 다카하시 FS102 (D=102mm, f=820mm, F:8) 다카하시 EM200, SBIG ST-2000 XCM, 300 sec x 3 1/2 crop 의도한 것은 아닌데, 어제 찍은게 저도 M13 이라 나란히 올라가네요. http://astrogallery.pe.kr
    Date2004.06.13 CategoryStar Cluster By김영렬 Views1053
    Read More
  21. M13

    지난 토요일 밤은 정말 봄 날씨라고는 믿어지지 않을 정도의 아주 좋은 밤이었습니다. 아쉽게도 싱은 좋지 않아서 오후 5시부터 안산 일대학에서 장비설치하고 목성을 기다렸는데 이미지가 좋지 못했습니다. 포기했지요. 대신 일전에 배철균씨로부터 아주 저...
    Date2004.06.15 CategoryStar Cluster By최승용 Views1072
    Read More
  22. M13

    전주 화요일에 김영열 교수님께서 피자드시러 온양에 놀러 오셨습니다. 여유있게 피자 먹고 출사를 갔었습니다. 투명도가 떨어져 은하수가 보이지 않는 하늘이었습니다. 그런이유로 천정부근의 대상만을 찍어 보았습니다. 우선 M13입니다. 기대하는 만큼의 질...
    Date2004.06.22 CategoryStar Cluster By황인준 Views1186
    Read More
  23. M13

    2004년 6월 27일 01시 47분(Central USA) 2004년 6월 27일 15시 47분(KST) Celestron Advanced C10-NGT Celestron 10" Newtonian Reflector (D=254mm, f=1200mm, F:4.7) Celectron CG-5 GT EQ mount ST-2000XCM, 90초 x 10 매, 실사이즈에서 1/2 crop 경통의 ...
    Date2004.06.30 CategoryStar Cluster By김영렬 Views1342
    Read More
  24. M13

    역시 초점거리 500mm로는 구상성단이나 행성상성운, 작은 은하들을 찍기에 부적합하겠지만, 찍어보니 나름대로 귀여운것 같습니다. 그냥 귀엽게 바주시길 바랍니다. ^^ 적도의가 단축모터라서 표류이탈후에 촬영에 들어갔습니다. 관측지인 양평의 기온이 영하...
    Date2005.01.10 CategoryStar Cluster By박성준 Views898
    Read More
  25. M13

    동이 터오기 시작할 무렵 아쉬운 마음에 찍은 사진입니다. 때문에 M3보다는 노출이 부족 s/n비가 떨어지는군요. 세월이 빠르다는 생각을 또 하게 됩니다. 헤라클레스가 동 터올 무렵에는 높게 떠오르니 말입니다. HO-BYM 292FN AP EQ1200 ST-10XE w/ CFW-8a(-...
    Date2005.01.19 CategoryStar Cluster By황인준 Views1100
    Read More
  26. M13

    ㅡㅡ;;; .. 빈약하기 짝이 없는... M13입니다. 다른 회원님들의 사진 사이에 있기가 좀 많이 민망한 사진인줄 압니다만... 제 "첫 모습"이 이랬다는 기록으로 남겨 두기로하고... 용기를 냈습니다. 정말 부끄럽고 민망하지만... 또 보시기에 짜증스러운 사진...
    Date2005.03.16 CategoryStar Cluster By유종선 Views946
    Read More
  27. m13

    BRC250.20D.EQ900.6분x10장ASA800 모처럼의 출사? 겨울의 경우와 봄의 온도차를 실감할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추운겨울의 촛점과 봄의 경통촛점이 많은 변화가 있다는 것을..
    Date2005.04.06 CategoryStar Cluster By김시태 Views984
    Read More
  28. M13

    지금까지 몇번 찍은 적이 있는 대상이지만 제대로 찍고 싶은 욕심에 또 그 시간대에 투명도가 좋지 않아 달리 찍을 대상이 없었기에 한번 찍어 보았습니다. 노출을 좀 더 주면 좀더 많은 별들을 잡아낼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합니다. 위성 하나가 지나갔...
    Date2005.06.21 CategoryStar Cluster By황인준 Views1956
    Read More
  29. M13

    강원도에 가서 별마실 천문대에 15" 설치 하려 하였으나 눈때문에중앙 천문대에 접근 하는 길이 막혀 포기 하고, 몸살로 집에서 정신없이 누워 있다 정신 차리고 처리 해 보았습니다. 블루밍 때문에 가운데 부분이 많이 어색 합니다. 20060205 덕초현 중앙천...
    Date2006.02.12 CategoryStar Cluster By조창우 Views1218
    Read More
  30. M13

    takahashi mt-160 sbig st-2000xm (-30) takahashi em-200 temmar 2 L = 10m x 6 + 5m x 1 RGB = 5m x 2 5m x 3 5m x 2 20060323 Sang-ju, Korea 찍고 똑 찍는 대상중의 하나인 M13...
    Date2006.03.24 CategoryStar Cluster By김승남 Views1153
    Read More
  31. m13

    L이미지 4장 입니다. FSQ106 11k 일부분 크롭 1:1
    Date2006.03.31 CategoryStar Cluster By남명도 Views934
    Read More
  32. M13

    -NADA 제1천문대 -292FN X 1.4 텔레컨버터 -NJP TEMMA2 -350D (w/o LPF) + LPS-P2 -2006.02.03 좀 크게 짱짱하게 찍어볼라켔는데 노출부족으로 성단이 빈약하기 짝이 없습니다.
    Date2006.04.14 CategoryStar Cluster By김일순 Views127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0 Next
/ 20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