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Star Cluster
2005.04.05 15:25

M13-SOAO-20050405

(*.252.254.29) 조회 수 1194 추천 수 114 댓글 12




오늘 새벽 4시경까지 main target 관측하고...
flat 찍기전에 잠시 시간을 내서 M13을 찍어봤습니다...
R에서 100초 이상노출을 주니까 중심부가 saturation  되어서
더이상의 노출을 줄 수 없었습니다. 으흐흐..
.
2005. Apr. 05. 04:10~05:00
SOAO, 24inch, 2KCCD, Johnson UBVRI filter
B:200sx3, V:150sx3, R:100sx3 (2x2 binning)
irfa에서 preprocess, maxim에서 combine
80% resize입니다.
.
맥심에서 첨으로 DDP 해봤는데, 보기 좋은이미지 만들기는 좋더라구요... ^^
  • 조창우 2005.04.05 17:42 (*.191.202.201)
    천문대 망원경으로 찍은 사진을 보여 주시니... 눈이 정말 호강 하는것 같습니다...^^ 멋집니다....
  • 이건호 2005.04.05 20:23 (*.255.90.156)
    2K ccd가 픽셀당 몇 초각이죠?
    별하나하나가 기막히게 잘 분해되었습니다.
  • 박영식 2005.04.05 20:50 (*.252.254.29)
    넹, 원래는 픽셀당 약 0.6 arcsec 인데, 비닝하니까 1.2 arcsec 정도 됩니다.
    DDP 하고, USM 했더니... 그냥 그렇게 보이네요...^^
  • 박영식 2005.04.05 21:17 (*.252.254.29)
    창우님... 별말씀을요... ^^
    소백산 망원경은 측광에 최적화 되어있기 때문에 이미징하기는 조금 애로사항이 많습니다.
    그냥, 관측 마치고 남는 시간에 잠시잠시 찍어보는 정도입니다. ^^
  • 황인준 2005.04.07 01:07 (*.53.139.35)
    보기 좋은 이미지와 학문적으로 가치있는 이미지의 차이는 어떤 점이 있을까요?
    그렇다면 보기는 좋지 않지만 연구를 할수 있는 이미지는 어떻게 처리를 하는 것인지요?
    DDP가 약간 과한 듯이 느껴집니다.
    그러나 역시 대구경...
    부러움의 연속입니다.
  • 박영식 2005.04.07 02:30 (*.252.254.29)
    글쎄요...
    제가 여기서, 구상성단 측광관측해서 CM diagram 올리는 것도 아니고...
    그저 저도, 이쪽 일을 하면서 틈틈히 별사진을 찍어보는 것입니다.
    천체사진찍는 것으로 무엇인가 학술적인 가치를 얻어보려고 한적도 없고, 하지도 않을것입니다.
    일로 하는것과는 다른것이라고 생각하니까요... ^^

    DDP 그냥 자동으로 한번 돌린것인데... 많이 과하지는 않은것 같습니다. 실제로 iraf에서 중심부의 별들도 각각 분해되어있음을 확인했고, 주변부에도 수많은 작은 별들이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그래서, 두군데를 다 나타내보려고, DDP 한번써본것입니다.
    노트북 액정 각도를 약 120도 정도로 기울여 놓고 작업을 했습니다. 제기준으로 그정도에서 과하지않을만큼만 이미지 처리 했습니다. ^^
  • 황인준 2005.04.07 10:18 (*.204.207.188)
    제가 잘못 적었는 모양입니다.
    맥심도 그렇고 스텔라이미지도 그렇고 DDP만 하면 별이 위와 같이 또렷해지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아마도 에지샤픈이 같이 가동된 모양입니다.
  • 황인준 2005.04.07 10:21 (*.204.207.188)
    그리고 분광측광에 대한 부분의 강의는 워크샵에서 재미있게 들은 것 중 하나입니다.
    지인한테 들은 바로는 주로 변관성 특히 맥동변광성관측에 분광측광을 많이 한다고 들었는데 어떤 점을 연구하나요? 궁금해집니다.^^
  • 박영식 2005.04.07 16:54 (*.85.205.212)
    이제 산에서 내려와 청주에 왔습니다.. ^^
    맥심에서 DDP자동으로 한번하고,
    USM 한번 했습니다.
    USM 하기전에도 DDP 하고나니 별이 잘 구분되어지더군요... ^^
    .
    측광하는것만 가지고는 제대로 별이나 천체의 상태에 대하 알기가 힘듭니다.
    그래서 분광을 같이 하게되면, 좀더 자세한 별의 물리량들을 구할 수 있습니다.
    분광관측을 함으로써 시선속도곡선이나, 혹은 별 대기의 화학 조성들을 구할 수 있고, 그것으로 별의 질량과 온도등을 알아낼 수 있습니다.
    측광과 달리 분광은 망원경 구경도 커야하고, 장시간 30분~1시간정도 노출을 해야하기 때문에 참 힘든 관측입니다. 물론 관측후에 자료처리도 만만치 않구요... ^^
  • 박영식 2005.04.07 16:55 (*.85.205.212)
    아~~, 위에 섬네일로 올린 작은것이 DDP 한번 돌린이미지이고,
    아래것이 USM 돌린 이미지 일껍니다. ^^
  • 황인준 2005.04.07 16:59 (*.85.131.118)
    개인적으로 위의 것이 부담없고 보기 좋네요...
  • 박영식 2005.04.07 17:14 (*.85.205.212)
    네... 좀 과한 느낌이 없지않아 있는거 같습니다...
    욕심이겠죠... 중심부와 주변의 희미한 별들까지 다 나타내려면... ^^

  1. M13

    takahashi mt-160 sbig st-2000xm (-30) takahashi em-200 temmar 2 L = 10m x 6 + 5m x 1 RGB = 5m x 2 5m x 3 5m x 2 20060323 Sang-ju, Korea 찍고 똑 찍는 대상중의 하나인 M13...
    Date2006.03.24 CategoryStar Cluster By김승남 Views1153
    Read More
  2. 061112_ngc1893+ic410

    어제 일요일 밤에 대부도에서 테스트 샷을 날려 보았습니다. 요 몇일간 몸도 아프고 날씨도 좋지 않았지만 지난 토요일에 못간 마음에 나서 보았지요. 그동안 정성들여서 광축을 맞춘다고 내심 정성을 들였습니다. 그런데 찍은 영상을 보니 또 광축이 틀어져 ...
    Date2006.11.13 CategoryStar Cluster By최승용 Views1157
    Read More
  3. m103

    2010. 11. 13 양산 하늘공원 C9.25 @f10 GPD-ss2kpc astro 400D / iso1600 / lps-p2 300"×16 영롱한 구상성단을 꼭꼭 찍어보고 싶었는데, 필드에 나가면 항상 다음기회에~ 하며 미루어 왔습니다. 밤새 옅은 구름이 흘러가길래 "오늘이 아니면 언제~"싶어서 선...
    Date2010.11.13 CategoryStar Cluster By조영현 Views1157
    Read More
  4. [reprocessing] 더위를 쫓아내기 위해...

    ||1너무 덥군요...내일이 말복이니 삼계탕 많이 드시고, 남은 더위를 이겨내시길 바랍니다. ^^ 너무 더워서 시원했던 시절의 데이터를 다시 작업해보았습니다. 조만간 새 데이터도 얻어야겠습니다.
    Date2006.08.08 CategoryStar Cluster By박성준 Views1159
    Read More
  5. M52 산개성단

    M52 NGC 7654 Other description: Open cluster dense. Constellation: Cas Dreyer description: Cluster, large, rich in stars, much compressed middle, round, stars of magnitude 9 to 13; = M52. Magnitude: 6.9 RA: 23h 24m 12.0s Dec: +61°35'00" (Ep...
    Date2003.12.30 CategoryStar Cluster By이건호 Views1161
    Read More
  6. M44 프레세페 산개성단

    Beehive Cluster Praesepe M44 NGC 2632 Other description: Open cluster bright scattered. Constellation: Cnc Dreyer description: Praesepe; = M44. Magnitude: 3.1 RA: 08h 40m 17.9s Dec: +19°58'20" RA: 08h 40m 06.0s Dec: +19°59'00" (Epoch 2000) ...
    Date2004.02.06 CategoryStar Cluster By이건호 Views1162
    Read More
  7. M15

    3분 x 10장 MK69, SXV-H9, em200Temma, sxv-guider(비축) 이번에는 시행착오 격지 않을줄 알았는데.... 가이드 망원경에 초점이 맺히질 않더군요. 우짤수 없이 비축가이드로 촬영을 하긴 했는데.... MK69... 손을 좀 봐야 할듯 합니다.
    Date2005.05.16 CategoryStar Cluster By박진홍 Views1164
    Read More
  8. [st-2000xm] M52

    바람이 많이 불었던 날이네요... Canon FD 400/2.8L (5.6) SBIG ST-2000XM (-20도 냉각) Takahashi EM-200 Temmar 2 L = 10m x 5 (1x1) RGB = 각 5m x 3 (2x2) 20051011 충북 보은
    Date2005.10.12 CategoryStar Cluster By김승남 Views1166
    Read More
  9. M26(NGC6694)

    방패자리에 있는 시직경 9분정도의 작은 산개성단으로 M11 남쪽 3도 지점에 있습니다. 황사가 있었지만 하늘은 비교적 맑은 상태에서 촬영. [촬영정보] 망원경: ADT Kastron 320DS(12.5inch, F4.5 Newtonian) 가대: Astro-Physics 1200GTO(German Equatorial)...
    Date2010.01.08 CategoryStar Cluster By신범영 Views1168
    Read More
  10. M13

    경통: TEC MC250/12 with reducer 적도의: Paramount ME 카메라: SBIG ST-4000XCM 일시: 2012년 4월 1일 장소: NADA Observatory 1 노출시간: 10분 5매 이미지 처리: ImagesPlus, Photoshop, 50% 축소 화성과 토성을 찍어 볼 요량으로 나갔다가 자정 넘어서 ...
    Date2012.04.01 CategoryStar Cluster By김상욱 Views1168
    Read More
  11. M13 헤라클레스자리 구상성단

    제목 : M13 헤라클레스자리 구상성단 망원경/렌즈 : OGS 14.5inch F8 카메라 : SBIG STX-16803 마운트 : AP EQ1200GTO 필터 : Astrodon LRGB 노출정보 : L 10분x5장 RGB 10분x2장씩 촬영장소 : 덕초현 천문인마을 원격천문대 촬영일시 : 2014년 3월 7일 촬영후...
    Date2014.06.22 CategoryStar Cluster By이건호 Views1169
    Read More
  12. Omega Centauri, NGC5139

    10인치로 다시찍어보았습니다. 별이 좀더 분해되어 보이기는 한데, 80mm 로 좀더 넓게 찍은 것이 이쁜것 같습니다. 오리온250, 2006.3.11 L: 10분, RGB 각 5분(ST-10) 중앙부 100%
    Date2006.03.12 CategoryStar Cluster By이준화 Views1169
    Read More
  13. M46, NGC2438

    산개성단 M46속에는 작은 행성상성운 NGC2438이 있습니다. 이번에 사진을 촬영해 보니 안시관측중에 중심성으로 보아왔던 별이 중심성이 아니고, 더 작고 어두운 중심성이 바로 옆에 따로 있었습니다. 2004년 12월 14일 덕초현천문인마을 L RGB 10m, 10m, 10m...
    Date2005.01.02 CategoryStar Cluster By이건호 Views1170
    Read More
  14. 플레이아데스 성단

    허접한 사진 계속 올리려니 민망해지는군요.. 그래도 이런 허접한 실력의 소유자도 노력하면 할 수 있다는 걸 보여줘야겠기에... ^^; 부산 동호회 회장님께 카메라용 크로스 필터를 빌려서 찍어봤습니다. 예전에 사두었다가 너무 강렬해서 안 쓰고 팔았는데.....
    Date2005.11.28 CategoryStar Cluster By권기식 Views1173
    Read More
  15. M46 산개성단과 행성상성운 NGC2438

    찾기도 쉽고, 특이한 행성상성운을 같이 볼수 있어, 저의 즐겨찾는 안시대상 목록중 하나입니다. 역시 지나가나 잠깐 찍었는데, 지금보니 영혼없는 사진같아 보이네요. 쩝. 걍 테스트차원이라고 해야 하나요 ㅎㅎ 2013년 11월 28일 덕초현천문인마을 원격천문...
    Date2014.02.08 CategoryStar Cluster By이건호 Views1173
    Read More
  16. M45

    2011년 10월 26일 몽골 존모드 신부님농장 QSI583ws FSQ85 QSY5 L-600 x 9 RGB-400 x 3 (-25도)
    Date2011.11.11 CategoryStar Cluster By조진원 Views1174
    Read More
  17. M37

    M37 NGC 2099 Other description: Open cluster dense. Constellation: Aur Dreyer description: Cluster, rich in stars, westward compressed middle, stars large & small; = M37. Magnitude: 5.6 RA: 05h 52m 24.0s Dec: +32°33'00" (Epoch 2000) Size:24...
    Date2004.01.07 CategoryStar Cluster By이건호 Views1179
    Read More
  18. M10

    지난 3월3일에 찍어본 구상성단입니다. 구상 성단은 비슷비슷하여 구별이 ......그래도 계속 보고 있으니 빨려드는 듯 합니다. 기록으로 처리해봅니다.^^ 2011-03-3일 별마실 R.O EQ1200 GTO + KASTRON 320DS F4.5 (W/3" Coma Corrector) + STL 11K -35도 L:6...
    Date2011.03.26 CategoryStar Cluster By김삼진 Views1179
    Read More
  19. M92

    아주 오랜만의 포스팅입니다. 그 것도 꽤 된 사진으로 말입니다. 슬슬 활동할 시기가 다가오는 것 같습니다만.. 집사람이 계단에서 굴러 깁스를 하는 바람에 다시 다리가 잡혔답니다. 하지만 찬바람 불 그날을 기다립니다. 그리고 조만간 오프 모임 하면 좋을...
    Date2006.08.04 CategoryStar Cluster By황인준 Views1180
    Read More
  20. M37

    역시 덕초현 송년 관측회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FS60c EM200Temma2Jr. ST2000XM(-45도) L : 1min X 20 R : 1min X 3 G : 1min X 3 B : 1min X 3 Stella Image 4 + Photoshop 7.0 노터치 가이드 이미지 처리후 중앙부분 크롭..리사이징 2003. 12. 20(토요일) ...
    Date2003.12.30 CategoryStar Cluster By황인준 Views1182
    Read More
  21. M5 M19 M62 M80 M107

    takahashi mt160 sbig st-2000xm (-30) takahashi em-200 temmar 2 M5 - LRGB = 40m 5m 5m 5m 나머지 - LRGB = 20m 3m 3m 3m 20060328 in Sang-ju, Korea
    Date2006.03.29 CategoryStar Cluster By김승남 Views1182
    Read More
  22. 060921_ngc1893

    역시 지난 9월 21일 밤 안산 일대학에서 촬영한 대상 입니다. 마차부 자리에 있는 산개 성단과 밝은 별 주위에 거대한 성운기가 있는 대상이지만 안산에서 짧은 노출로는 밝은 별 주위의 빨간 부분만 촬영이 되네요. 아무것도 없는 사진이 아닙니다.^^ 산개성...
    Date2006.10.25 CategoryStar Cluster By최승용 Views1183
    Read More
  23. M50

    M50 NGC 2323 Other description: Open cluster rich. Constellation: Mon Dreyer description: Remarkable! Cluster, very large, rich in stars, westward compressed, extended, stars of magnitude 12 to 16; = M50. Magnitude: 5.9 RA: 07h 03m 22.4s De...
    Date2004.02.05 CategoryStar Cluster By이건호 Views1184
    Read More
  24. M13(first digital~)

    저도 첫 디지털 사진 올려봅니다. 보그 125ED 와 300D 조합입니다. 박대영님의 Atlux, 300D 를 빌렸습니다. 노출 98초 1장, 원본 크롭에 커브조정.
    Date2004.06.13 CategoryStar Cluster By최원균 Views1185
    Read More
  25. M38

    M38 NGC 1912 Other description: Open cluster rich. Constellation: Aur Dreyer description: Cluster, bright, very large, very rich in stars, irregular figure, stars large & small; = M38. Magnitude: 6.4 RA: 05h 28m 42.0s Dec: +35°50'00" (Epoch...
    Date2004.01.07 CategoryStar Cluster By이건호 Views1186
    Read More
  26. M13

    전주 화요일에 김영열 교수님께서 피자드시러 온양에 놀러 오셨습니다. 여유있게 피자 먹고 출사를 갔었습니다. 투명도가 떨어져 은하수가 보이지 않는 하늘이었습니다. 그런이유로 천정부근의 대상만을 찍어 보았습니다. 우선 M13입니다. 기대하는 만큼의 질...
    Date2004.06.22 CategoryStar Cluster By황인준 Views1186
    Read More
  27. M56(NGC6779 )in Lyra

    거문고자리에 있는 시직경 9분 크기의 작은 구상성단입니다. RGB와 L이미지를 따로 찍었었는데 L은 별상이 않좋아서 RGB만으로 이미지처리를 하였습니다. [촬영정보] 망원경: ADT Kastron 320DS(12.5inch, F4.5 Newtonian) 가대: Astro-Physics 1200GTO(Germa...
    Date2010.01.13 CategoryStar Cluster By신범영 Views1187
    Read More
  28. M35와 친구

    M35와 친구 NGC 2158 입니다. ISO 800, F2.8, fl=200mm 206초 노출
    Date2003.12.14 CategoryStar Cluster By박성래 Views1194
    Read More
  29. M13-SOAO-20050405

    오늘 새벽 4시경까지 main target 관측하고... flat 찍기전에 잠시 시간을 내서 M13을 찍어봤습니다... R에서 100초 이상노출을 주니까 중심부가 saturation 되어서 더이상의 노출을 줄 수 없었습니다. 으흐흐.. . 2005. Apr. 05. 04:10~05:00 SOAO, 24inch, ...
    Date2005.04.05 CategoryStar Cluster By박영식 Views1194
    Read More
  30. M38 & M41

    역시 APM 80/500 테스트차 찍은 사진입니다. M38: 2011년 3월 3일, L=36min, RGB=each 12min M41: 2011년 3월 4일, L=24min, RGB=each 9min
    Date2011.03.06 CategoryStar Cluster By박대영 Views1195
    Read More
  31. M25(IC4725)

    궁수자리에 있는 시직경 35분의 산개성단입니다. M19와 같이 찍었는데 은하수 한가운데 있어서 배경이 붉은 별밭입니다. [촬영정보] 망원경: ADT Kastron 320DS(12.5inch, F4.5 Newtonian) 가대: Astro-Physics 1200GTO(German Equatorial) 카메라: SBIG STL-...
    Date2010.01.08 CategoryStar Cluster By신범영 Views1202
    Read More
  32. M37

    유니트론 ED 80 굴절망원경으로 찍었습니다. 그런데 가이드도 흐르고.. 색수차도 보이고.. 주변부 별들은 다 길쭉길쭉..-.- 숙제가 생겼군요. 촬영일시 : 2003년 12월 21일 덕초현천문인 마을 E100S +3증감 노출 30분 유니트론 ED 80mm 굴절 (f/6.25) LPS-P1 ...
    Date2003.12.29 CategoryStar Cluster By지승용 Views120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20 Next
/ 20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