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Star Cluster
2005.04.05 15:25

M13-SOAO-20050405

(*.252.254.29) 조회 수 1194 추천 수 114 댓글 12




오늘 새벽 4시경까지 main target 관측하고...
flat 찍기전에 잠시 시간을 내서 M13을 찍어봤습니다...
R에서 100초 이상노출을 주니까 중심부가 saturation  되어서
더이상의 노출을 줄 수 없었습니다. 으흐흐..
.
2005. Apr. 05. 04:10~05:00
SOAO, 24inch, 2KCCD, Johnson UBVRI filter
B:200sx3, V:150sx3, R:100sx3 (2x2 binning)
irfa에서 preprocess, maxim에서 combine
80% resize입니다.
.
맥심에서 첨으로 DDP 해봤는데, 보기 좋은이미지 만들기는 좋더라구요... ^^
  • 조창우 2005.04.05 17:42 (*.191.202.201)
    천문대 망원경으로 찍은 사진을 보여 주시니... 눈이 정말 호강 하는것 같습니다...^^ 멋집니다....
  • 이건호 2005.04.05 20:23 (*.255.90.156)
    2K ccd가 픽셀당 몇 초각이죠?
    별하나하나가 기막히게 잘 분해되었습니다.
  • 박영식 2005.04.05 20:50 (*.252.254.29)
    넹, 원래는 픽셀당 약 0.6 arcsec 인데, 비닝하니까 1.2 arcsec 정도 됩니다.
    DDP 하고, USM 했더니... 그냥 그렇게 보이네요...^^
  • 박영식 2005.04.05 21:17 (*.252.254.29)
    창우님... 별말씀을요... ^^
    소백산 망원경은 측광에 최적화 되어있기 때문에 이미징하기는 조금 애로사항이 많습니다.
    그냥, 관측 마치고 남는 시간에 잠시잠시 찍어보는 정도입니다. ^^
  • 황인준 2005.04.07 01:07 (*.53.139.35)
    보기 좋은 이미지와 학문적으로 가치있는 이미지의 차이는 어떤 점이 있을까요?
    그렇다면 보기는 좋지 않지만 연구를 할수 있는 이미지는 어떻게 처리를 하는 것인지요?
    DDP가 약간 과한 듯이 느껴집니다.
    그러나 역시 대구경...
    부러움의 연속입니다.
  • 박영식 2005.04.07 02:30 (*.252.254.29)
    글쎄요...
    제가 여기서, 구상성단 측광관측해서 CM diagram 올리는 것도 아니고...
    그저 저도, 이쪽 일을 하면서 틈틈히 별사진을 찍어보는 것입니다.
    천체사진찍는 것으로 무엇인가 학술적인 가치를 얻어보려고 한적도 없고, 하지도 않을것입니다.
    일로 하는것과는 다른것이라고 생각하니까요... ^^

    DDP 그냥 자동으로 한번 돌린것인데... 많이 과하지는 않은것 같습니다. 실제로 iraf에서 중심부의 별들도 각각 분해되어있음을 확인했고, 주변부에도 수많은 작은 별들이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그래서, 두군데를 다 나타내보려고, DDP 한번써본것입니다.
    노트북 액정 각도를 약 120도 정도로 기울여 놓고 작업을 했습니다. 제기준으로 그정도에서 과하지않을만큼만 이미지 처리 했습니다. ^^
  • 황인준 2005.04.07 10:18 (*.204.207.188)
    제가 잘못 적었는 모양입니다.
    맥심도 그렇고 스텔라이미지도 그렇고 DDP만 하면 별이 위와 같이 또렷해지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아마도 에지샤픈이 같이 가동된 모양입니다.
  • 황인준 2005.04.07 10:21 (*.204.207.188)
    그리고 분광측광에 대한 부분의 강의는 워크샵에서 재미있게 들은 것 중 하나입니다.
    지인한테 들은 바로는 주로 변관성 특히 맥동변광성관측에 분광측광을 많이 한다고 들었는데 어떤 점을 연구하나요? 궁금해집니다.^^
  • 박영식 2005.04.07 16:54 (*.85.205.212)
    이제 산에서 내려와 청주에 왔습니다.. ^^
    맥심에서 DDP자동으로 한번하고,
    USM 한번 했습니다.
    USM 하기전에도 DDP 하고나니 별이 잘 구분되어지더군요... ^^
    .
    측광하는것만 가지고는 제대로 별이나 천체의 상태에 대하 알기가 힘듭니다.
    그래서 분광을 같이 하게되면, 좀더 자세한 별의 물리량들을 구할 수 있습니다.
    분광관측을 함으로써 시선속도곡선이나, 혹은 별 대기의 화학 조성들을 구할 수 있고, 그것으로 별의 질량과 온도등을 알아낼 수 있습니다.
    측광과 달리 분광은 망원경 구경도 커야하고, 장시간 30분~1시간정도 노출을 해야하기 때문에 참 힘든 관측입니다. 물론 관측후에 자료처리도 만만치 않구요... ^^
  • 박영식 2005.04.07 16:55 (*.85.205.212)
    아~~, 위에 섬네일로 올린 작은것이 DDP 한번 돌린이미지이고,
    아래것이 USM 돌린 이미지 일껍니다. ^^
  • 황인준 2005.04.07 16:59 (*.85.131.118)
    개인적으로 위의 것이 부담없고 보기 좋네요...
  • 박영식 2005.04.07 17:14 (*.85.205.212)
    네... 좀 과한 느낌이 없지않아 있는거 같습니다...
    욕심이겠죠... 중심부와 주변의 희미한 별들까지 다 나타내려면...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이름 아이디 글쓴이
221 Star Cluster M13 구상성단 7 file 2009.04.18 1392 김상욱 quark 김상욱
220 Star Cluster m13 넓게보세요. 4 file 2009.04.20 1489 남명도 n8210 남명도
219 Star Cluster 악전고투속에 담은 M13 2 file 2009.04.21 1579 공준호 lightclad 공준호
218 Star Cluster M13 구상성단 9 file 2009.04.21 1608 선숙래 sukraeseon 선숙래
217 Star Cluster M92 - 헤르쿨레스자리 구상성단 11 file 2009.04.26 1479 김일순 arame 김일순
216 Star Cluster 090429_m22&m28 6 file 2009.05.01 1403 김호섭 obiwan 김호섭
215 Star Cluster 090429_m10&m12 5 file 2009.05.09 1459 김호섭 obiwan 김호섭
214 Star Cluster 090519_M24&25 3 file 2009.05.20 1563 김호섭 obiwan 김호섭
213 Star Cluster 090524_m13 6 file 2009.05.27 1727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212 Star Cluster 090525_M6_M7 5 file 2009.05.27 1584 김호섭 obiwan 김호섭
211 Star Cluster 페르세우스 이중성단 6 file 2009.08.17 1498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210 Star Cluster ngc457 4 file 2009.08.17 1345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209 Star Cluster m45 8 file 2009.09.20 1215 임재식 jaeshiklim 임재식
208 Star Cluster M35&NGC2158 3 file 2009.09.21 1278 임재식 jaeshiklim 임재식
207 Star Cluster 페르세우스 이중성단(NGC884 & 869) 11 file 2009.09.21 1489 김삼진 jinalji 김삼진
206 Star Cluster m45 10 file 2009.09.22 1376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205 Star Cluster M15 8 file 2009.09.24 1485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204 Star Cluster M45 13 file 2009.09.25 1777 김삼진 jinalji 김삼진
203 Star Cluster M13 11 file 2009.10.12 1548 황인준 sanfran 황인준
202 Star Cluster m37 3 file 2009.10.19 1397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201 Star Cluster M45 플레이아데스 3 file 2009.10.25 1733 장승혁 offaxis 장승혁
200 Star Cluster M45 2 file 2009.11.20 1239 임재식 jaeshiklim 임재식
199 Star Cluster 페르세우스 이중성단 file 2009.11.20 1507 장승혁 offaxis 장승혁
198 Star Cluster NGC884 & 869 2 file 2009.11.21 1400 전승표 josdak 전승표
197 Star Cluster 색감이... 4 file 2009.11.22 1248 최훈옥 oioigs 최훈옥
196 Star Cluster M46 & M47 2 file 2009.11.27 1328 전승표 josdak 전승표
195 Star Cluster M45 플레아데스 16 file 2009.12.07 1623 이건호 skymate 이건호
194 Star Cluster M35 & NGC 2158 7 file 2009.12.11 1385 김삼진 jinalji 김삼진
193 Star Cluster NGC2264 크리스마스트리 성단 file 2009.12.17 1448 장승혁 offaxis 장승혁
192 Star Cluster m35_ngc2158 6 file 2009.12.21 1553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191 Star Cluster M18 (NGC6613) file 2010.01.08 1114 신범영 shintong 신범영
190 Star Cluster M21 (NGC 6581) file 2010.01.08 1274 신범영 shintong 신범영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20 Next
/ 20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