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76.123.168) 조회 수 1873 추천 수 191 댓글 8




||1지난 1월말 구매후 처음 찍었던 5D Mark2 Test shot입니다.
감도 및 Pixel 해상도 점검 차원에서 ISO 1600에 300초로 11장을 찍고, Full Size 21M Pixel WideAngle에서 크롭으로 줌인해들어가 1:1 Crop까지 다양한 사이즈 비교샷들입니다.

두장의 사진 밖에 못올리므로 아래에 Flicker 제 폴더에서 링크를 해 왔습니다.  폴더에 21M full size 사진도 있으니 5D Mark2에 관심있는 분들은 재미있게 보아주세요. ^.~

[ M81&M82, Canon 5D Mark2 / Takahashi E-160 on EM200 Temma2 / ISO 1600 / 300 secs X 11 Frames / Dark and Flat subtracted and combined on MaximDL5 / 횡성 온누리펜션]

M81 & M82 (5D Mark2 /w E-160 530mm) at Full 21M Pixels!(5634 x 3753)

M81 & M82 at Medium Angle

M81 & M82_Center Crop

아래 두장은 1:1 Crop입니다.
M82_Crop(1to1)

M81_Crop(1to1)
  • 공준호 2009.03.07 18:47 (*.176.123.168)
    물론 마지막 두장의 1to1 크롭 사진들은 무리가 있어보이지만, 비교의 차원에서 올린 사진들로 참고로만 보아주세요. ^.~
  • 이건호 2009.03.09 08:41 (*.101.107.100)
    오두막, 노이즈 억제가 훌륭히 잘 되는것 같네요.
    이젠 블랙닷 현상도 없나봐요???
    언제 만나서 오두막 사용법좀 배워야 겠습니다.
  • 조용현 2009.03.09 10:29 (*.241.95.130)
    마크는 없지만 비교해볼 수 있는 좋은 자료입니다..
    이미지도 훌륭하고요..
  • 전영준 2009.03.09 10:46 (*.138.203.2)
    깔끔합니다..
    플랫이미지는 어떤 방법으로 하셨는지요?...^^
  • 공준호 2009.03.09 13:37 (*.40.232.3)
    일단 블랙 닷 현상은 눈에 띄지 않는것으로 보아 최근 기종에서는 완전히 해결이 되었거나 만약 있다면 너무 작아 거의 보이지 않는 모양입니다. 위의 사진중 중간의 chromatic noise들이 좀 눈에 띄는 사진들은 은하계 내의 색 표현을 좀더 드라마틱하게 하기위해 saturation level을 40% 정도 올려준데서 발생한 것이구요. 첫사진이나 마지막 두사진처럼 20% 내에서 처리하면 이런 노이즈들은 거의 보이지 않습니다.

    High ISO값인 1600에 장노출로 찍은 이미지 치곤 충분히 성능을 발휘해준다고 보이구요. 다만, 제가 주력으로 쓰던 1D mark3역시 노이즈 억제력면에선 상당한 수준에 있던 카메라라 아직 이 두개 기종간의 우열을 가리기는 힘들다고 생각이 됩니다. 다만, 해상력에서 상당히 앞서는 5D Mark2가 1DMark3와 비슷한 정도의 노이즈 억제능력을 보여준다면 이는 분명히 비교우위에 설수 있는 근거가 된다는 말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플랫 이미지는 사실 H-Crop 과 E-160 조합에서는 그리 걱정을 안하고 후처리만으로도 큰 문제가 없었던 분야기는 한데, Full Frame에서는 주변부 광량저하가 확실히 보여지는게 사실이라 Flat보정을 해 주었구요.

    Flat 보정은 지난번에 NADA게시판에도 소개가 된 바 있는 모니터 스크린을 이용한 Flat을 촬영하고 이를 주파수별 특성은 크지 않은것으로 가정하여 흑백 마스터 Flat 이미지 상태로 하여 MaximDL에서 등록하고 Dark와 Flat 마스터 이미지들을 이용해 보정하는 방식으로 처리했습니다. 물론 이 경우에도 Stretching(Leveling)과 Curving 작업을 통해 중간계조 부분을 강조하다 보면 완벽한 Flat이 아닌 부분이 살짝 들어납니다만 이는 MaximDL의 Flatten 필터를 한번 더 사용하여주면 거의 만족할만한 수준으로 정리가 됨을 확인했습니다.

    이 모든 작업을 21M Pixel Color에 FIT format E-floating 모드로 진행하다보니 메모리 요구가 커지고 연산이 느려지다가 컴퓨터가 다운되는 현상이 생기는 것이구요. 일단 CPU는 Quad-Core를 사용하고 있고 속도는 Vista Index에서 5.9/6.0을 마크하는 시스템이라 일단 메모리만 확장키위해 주문을 해 놓은 상황입니다.
  • 최승용 2009.03.11 16:16 (*.117.76.123)
    대단 합니다.
    그리고 이런 거대한 이미지의 사진을 처리하려면 우선 컴부터 바꿔야겠네요...^^
  • 신범영 2009.03.15 02:42 (*.109.29.204)
    대단한 작업입니다.
    맥심버젼이 얼마인지 모르겠는지 맥심5버젼에서는 이미지처리에서 컴퓨터의 부담이 많이 줄어들어서 용량이 큰 여러장을 이미지 처리할때 도움이 됩니다.
  • 공준호 2009.03.15 03:12 (*.176.123.168)
    안타깝게도 맥심5 최신 업데이트 버전입니다. 약 2~3주 전에 Canon 5D Mark2의 새로운 RAW format(new CR2)를 지원하는 새 업데이트가 처음 나왔습니다. 아직은 초기라 약간의 문제가 있는듯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이름 아이디 글쓴이
950 Galaxy M106 6 file 2009.05.07 1685 신범영 shintong 신범영
949 Galaxy M51 (Whirlpool Galaxy) 6 file 2009.05.03 2077 신범영 shintong 신범영
948 Galaxy 090429_ngc4565 9 file 2009.04.30 1688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947 Galaxy 090422_m101 11 file 2009.04.27 1699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946 Galaxy NGC4631 and 4656 4 file 2009.04.19 1535 공준호 lightclad 공준호
945 Galaxy ngc4725_4565_mel111 5 file 2009.04.19 1366 김호섭 obiwan 김호섭
944 Galaxy 090419_ngc4725_4565 1 file 2009.04.19 1449 김호섭 obiwan 김호섭
943 Galaxy 체인 일부........ 3 file 2009.04.19 1288 최훈옥 oioigs 최훈옥
942 Galaxy 090418_ngc4565_mel111 2 file 2009.04.19 1346 김호섭 obiwan 김호섭
941 Galaxy M64 검은눈? 은하.. 2 file 2009.04.19 1575 최훈옥 oioigs 최훈옥
940 Galaxy M51(부자은하) 5 file 2009.04.18 1725 김삼진 jinalji 김삼진
939 Galaxy M64 Black Eye 6 file 2009.04.18 1360 선숙래 sukraeseon 선숙래
938 Galaxy 090416_m51 11 file 2009.04.17 1919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937 Galaxy 090401_ngc4631 5 file 2009.04.06 1635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936 Galaxy 090401_m108 5 file 2009.04.06 1689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935 Galaxy M108 5 file 2009.04.03 1513 김삼진 jinalji 김삼진
934 Galaxy M106 / Test Shot 4 file 2009.03.30 1434 공준호 lightclad 공준호
933 Galaxy M101 /w correct colors 3 file 2009.03.30 1520 공준호 lightclad 공준호
932 Galaxy M81_82_090327 4 file 2009.03.29 1565 김호섭 obiwan 김호섭
931 Galaxy ngc4631-4656 6 file 2009.03.29 1656 전영준 nostra89 전영준
930 Galaxy M101 5 file 2009.03.28 1524 공준호 lightclad 공준호
929 Galaxy NGC3628 8 file 2009.03.28 1472 김삼진 jinalji 김삼진
928 Galaxy Leo Brothers ( M65, M66, NGC3628 ) 9 file 2009.03.25 1609 황인준 sanfran 황인준
927 Galaxy 처녀자리 은하단 6 file 2009.03.24 1338 이건호 skymate 이건호
926 Galaxy 090322_m82 10 file 2009.03.23 1806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925 Galaxy NGC 4038-39 Ring-Tail Galaxy 7 file 2009.03.21 1611 선숙래 sukraeseon 선숙래
924 Galaxy M106 4 file 2009.03.19 1777 김삼진 jinalji 김삼진
923 Galaxy 81-82 10 file 2009.03.16 1623 남명도 n8210 남명도
922 Galaxy 090301_ngc2903 9 file 2009.03.16 1700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921 Galaxy Leo-Trio 부근의 은하단 (Wide-Angle) 3 file 2009.03.07 1724 공준호 lightclad 공준호
» Galaxy M81 & M82 5DMK2 Test Shots: From Max. Wide Angle To 1to1 Crop 8 file 2009.03.07 1873 공준호 lightclad 공준호
919 Galaxy M106 ~~ 4 file 2009.03.03 1687 조용현 zztop 조용현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44 Next
/ 4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