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alaxy
2009.03.03 01:21

Galaxy cluster near M106

(*.176.123.168) 조회 수 1501 추천 수 203 댓글 7




오래간만에 찾아간 양평 임도에서 조용현님이 망원으로 찍은 M106주변의 은하단을 광각으로 촬영해보았습니다.
역시 은하를 찍기엔 e-160의 단촛점이 부담스럽지만 최근 장만한 5D Mark2의 광각 및 해상도 테스트 차원에서 찍어본 사진입니다.

[Canon 5D Mark2 on Takahashi E-160/ EM200 Temma2/ No-touch guide/ 300s x 10 Frames / ISO 3200 / Dark & Flat Field Subtracted and combined on MaximDL5/ Yangpyung, S.Korea]
  • 임재식 2009.03.03 19:04 (*.51.58.105)
    은하들이 앙증맞습니다. 노이즈가 거의 없는 듯합니다. 오두막사면 저도 한 번 테스트 해봐야겠습니다.^^
  • 조용현 2009.03.03 21:47 (*.88.105.175)
    흐르지만 않았어도 좋았을 텐데...
    노터치로...그래도 노출시간에 비하면 아주 잘나왔습니다..
    전 망했어요...20분씩 9장을 했어도 별 효과가 없네요..
  • 황인준 2009.03.04 00:15 (*.105.86.84)
    사진 멋집니다. 요즈음 많이 바쁘지요..?^^
  • 최승용 2009.03.04 16:46 (*.117.76.123)
    가이드 카메라만 장만해서 제대로 찍으면 되겠네요.^^
  • 공준호 2009.03.06 23:17 (*.176.123.168)
    ㅎㅎ 75SDHF에 미드DSI 가이드셋 이미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530mm 단초점에 가이드까지 하는게 귀찮아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사진을 보니 가이드해서 장시간 촬영으로 다시 도전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 공준호 2009.03.06 23:20 (*.176.123.168)
    어찌보면 5D Mark2에 더 촘촘히 배열된 Pixel들 때문이라는 생각이드는군요. 1D Mark3로 촬영시에는 5분 노출 정도론 Crop 모드에서도 흐르는 걸 보기가 쉽지 않았거든요. 해상도가 향상되었다는 결과이니 본 촬영목적으로는 긍정적 테스트 결과입니다. ^.~
  • 신범영 2009.03.15 02:54 (*.109.29.204)
    500mm 초점거리와 5분정도의 노출에서는 극축과 발란스만 잘 맞으면 노터치도 봐줄만한데 아무래도 시간이 많이 걸리고 상황에 따라 영향을 만이 받는지라 가이드하느것이 정신건강에 좋을 듯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이름 아이디 글쓴이
1078 Galaxy M106 3 file 2010.03.18 1656 권기식 orion96 권기식
1077 Galaxy M106 7 file 2010.12.18 1532 김삼진 jinalji 김삼진
1076 Galaxy M106 6 file 2011.01.11 1438 김정식 kjsfund 김정식
1075 Galaxy M106 1 file 2012.03.16 1164 공준호 lightclad 공준호
1074 Galaxy M106 5 file 2015.02.16 518 박성준 einpark 박성준
1073 Galaxy M106 4 file 2015.04.02 431 이준화 joonhwa 이준화
1072 Galaxy M106 5 file 2016.01.20 370 이준화 joonhwa 이준화
1071 Galaxy M106 7 file 2016.02.03 178 임재식 jaeshiklim 임재식
1070 Galaxy M106 2 file 2016.02.09 190 이준화 joonhwa 이준화
1069 Galaxy M106 4 file 2016.03.08 229 박성준 einpark 박성준
1068 Galaxy M106 6 file 2017.02.23 180 정병준 xuranus 정병준
1067 Galaxy M106 6 file 2017.02.26 254 장승혁 offaxis 장승혁
1066 Galaxy M106 1 file 2020.04.01 144 김삼진 jinalji 김삼진
1065 Galaxy M106 file 2020.07.10 231 선숙래 sukraeseon 선숙래
1064 Galaxy M106 1 file 2023.02.23 74 김삼진 jinalji 김삼진
1063 Galaxy M106 file 2024.02.29 47 김삼진 jinalji 김삼진
1062 Galaxy M106 (횡성 청태산) 3 file 2010.05.17 1561 공준호 lightclad 공준호
1061 Galaxy M106 - MC500 첫사진 11 file 2010.04.25 1912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060 Galaxy M106 / Test Shot 4 file 2009.03.30 1434 공준호 lightclad 공준호
1059 Galaxy M106 ~~ 4 file 2009.03.03 1687 조용현 zztop 조용현
1058 Galaxy M106 담아봅니다(8인치 SCT) file 2017.05.05 185 김도익 kimdoik 김도익
1057 Galaxy M106 새버전 17 file 2007.01.23 1290 이건호 skymate 이건호
1056 Galaxy M106 인근 6 file 2016.03.02 180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055 Galaxy M106 주변 8 file 2014.04.04 1439 이광호 lfo2910 이광호
1054 Galaxy M106, 2003년 4월 26일 file 2003.05.07 1909 박병우 qkrquddn 박병우
1053 Galaxy M106, NGC4217 5 file 2004.01.31 1101 정민경 c6782 정민경
1052 Galaxy M106, NGC4248 and NGC4217 3 file 2020.05.02 286 이준화 joonhwa 이준화
1051 Galaxy M106_20D_0205 6 file 2005.02.19 765 조창우 nunki92 조창우
1050 Galaxy M106~~ 6 file 2009.02.19 1502 조용현 zztop 조용현
1049 Galaxy M106과 주변부 4 file 2010.03.19 1633 장승혁 offaxis 장승혁
1048 Galaxy M106과 친구들 3 file 2010.05.17 1458 김광욱 applewo 김광욱
1047 Galaxy M108 6 file 2003.10.29 1483 이준화 joonhwa 이준화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44 Next
/ 4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