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alaxy
2008.10.13 00:29

M31 Andromeda Galaxy

(*.105.86.66) 조회 수 2425 추천 수 160 댓글 17








지금까지 제가 찍은 천체사진중에 가장 장 노출의 사진입니다.
투명도가 좋지 못한 시즌의 사진이고 해서 100% 만족할만하지는 않지만
역시 장노출에 의한 정보량의 증가가 어느정도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게 되었습니다.
컬러정보는 충분한 듯 하고 해서 다음에는 날 좋을 때 L채널만 추가로 더 찍어보아야 겠습니다.
마음에 100%드는 사진은 없는 법이지만 어느정도는 만족할 수 있는 안드로메다입니다.
이미지 처리는 이리저리 해 보면 더 좋은 이미지가 될 것 같습니다만.....
모니터의 색 얼라인이 마음에 안들어 새 모니터 들이면 다시 손을 볼 생각입니다.

색수차 적은 단초점 굴절 망원경의 위력또한 실감했습니다.
혹 다음에는 단초점 10인치급 반사로 모자이크를 해 보고 싶습니다.

FSQ106ED F5(Fl530mm)
EM11Temma2Jr.
SBIG ST-11000XM (-20)
L : 600sec X 46(1X1), RGB:600sec X 12 (1X1) Ha:1200sec X 3 (1X1)
충남 아산 호빔천문대
2008년 10월 1일 ~10월 11일
  • 이상헌 2008.10.13 00:39 (*.212.243.40)
    허~~ 눈이 부십니다. 할말을 잃었습니다.
  • 김호섭 2008.10.13 00:53 (*.53.169.82)
    106경통과 11K의 찰떡조합에 맞는 완벽한 구도를 통해 예술작품을 탄생시키셨습니다.
    더이상 뭔말이 필요하겠습니까.
  • 임재식 2008.10.13 06:54 (*.218.68.112)
    허걱~~~~
    대단하십니다. 노출시간도 그렇고 사진도 그렇고....^^
  • 전영준 2008.10.13 10:06 (*.138.203.2)
    이런 장노출로 눈버리면 안되는데 걱정입니다..^^
  • 김삼진 2008.10.13 10:08 (*.131.71.43)
    허걱에 저도 한표입니다.^^
  • 김일순 2008.10.13 11:30 (*.110.19.24)
    GG.
  • 김상욱 2008.10.13 11:45 (*.55.40.75)
    Ha 때문인지 안드로메다 안에 들어있는 붉은 성운들이 울긋불긋 잘 보입니다. 대단한 작품입니다.
  • 이준화 2008.10.13 11:49 (*.125.184.66)
    역시나 대단하십니다.
  • 전승표 2008.10.13 11:50 (*.103.83.29)
    노출시간을 보니 따라하고 싶어도 불가능하겠습니다.^^;;
    나선팔에 발광성운이 반짝반짝하네요.
    즐감했구요 대단하단 말 밖에는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 김영렬 2008.10.13 16:33 (*.66.58.82)
    장시간 노출로 대단한 사진이 얻어졌군요.
    단초점 10인치급 기대합니다.
  • 신범영 2008.10.13 17:00 (*.241.50.130)
    같은 시스템으로 2-3시간 노출했던 이미지와는 비교가 안되네요...
    10시간 이상 장노출의 위력이 팍팍 느껴집니다.
    관측소 바닦에서 잠자고 있는 FSQ가 그립습니다.^^
  • 권기식 2008.10.13 18:42 (*.254.206.23)
    사이즈별로 느낌이 정말 다르네요...
    어마어마한 노출에 할 말을 잃었습니다...
  • 이상희 2008.10.13 21:46 (*.144.109.66)
    연타석 홈런을 날리시는군요 ^^
    더이상의 안드로메다는 다른분들이 올리기 힘드실것 같네요 ㅎㅎㅎ
    아름답습니다 ㅠ.ㅠ
  • 박현권 2008.10.13 23:25 (*.51.83.184)
    제가 찍은 M31 처리하면서 이 이미지를 몇번이고 보았습니다.
    다른건 다 모르겠고, 어찌나 M31의 영역이 넓은지, 한참을 보았습니다.
  • 황인준 2008.10.14 09:09 (*.105.86.66)
    이 노출시간이 모두 투명도 좋은 날이었다면 어땠을까요..
    노출대비 디테일이 떨어지는 것은 아마도 투명도 때문인듯 싶습니다.
    좋은 리플들 감사합니다.
  • 유종선 2008.10.14 19:02 (*.252.52.32)
    잠수 하다보니... 계속 눈팅만 하게 되고...
    한두개 리플 안달다보니 어찌 리플 달 엄두가 나질 않아 그냥 깊은 잠수 모드였는데....

    이거.... 정말 리플을 안달수 없는 사진이군요...
    첨을 찍었던 대상이 안드로메다 였는데 이후로 한두번 시도가 허사로 끝나...
    언젠가 다시... 하면서 기다렸는데..
    정말 교과서 같은 색감에 작은 구경의 굴절에도 불구하고 어마어마한 디테일의 사진을 보게 되는군요.
  • 최승용 2008.10.18 11:03 (*.117.76.123)
    그동안 찍으시느라고 고생이 많았겠습니다.
    몇날 몇일을 찍으시더니 이렇게 화려하고 거대하고 착한 이미지가 나오네요.
    다만 노출을 주던 날들이 박무가 있었던 날들의 연속이라서 조금 아쉽겠지만 지금도 만족스럽습니다.
    초겨울에도 한번 더 도전 해 보세요. 그리고 기절 시켜 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이름 아이디 글쓴이
54 Galaxy NGC 55 9 file 2016.08.29 109 이준화 joonhwa 이준화
53 Galaxy M108, M98 Region file 2016.02.25 107 황인준 sanfran 황인준
52 Galaxy NGC247 3 file 2016.11.04 107 이준화 joonhwa 이준화
51 Galaxy M51 3 file 2016.10.11 106 김성엽 sungkim01 김성엽
50 Galaxy NGC55 10 file 2016.09.30 102 황인준 sanfran 황인준
49 Galaxy NGC6822 file 2016.11.18 101 황인준 sanfran 황인준
48 Galaxy M106 1 file 2020.04.01 101 김삼진 jinalji 김삼진
47 Galaxy NGC6744 2 file 2016.08.24 98 이준화 joonhwa 이준화
46 Galaxy Leo Trio(M65,M66,NGC3628) 1 file 2020.04.03 98 김삼진 jinalji 김삼진
45 Galaxy NGC300 1 file 2016.10.12 95 황인준 sanfran 황인준
44 Galaxy M77 4 file 2015.09.17 93 김태환 omnibus 김태환
43 Galaxy NGC 6822: Barnard's Galaxy 4 file 2016.09.05 91 이준화 joonhwa 이준화
42 Galaxy ngc253 2 file 2016.09.15 90 황인준 sanfran 황인준
41 Galaxy E.T 1 file 2017.05.06 90 성대환 davidsung 성대환
40 Galaxy NGC253 3 file 2016.11.28 88 정병준 xuranus 정병준
39 Galaxy M63 1 file 2021.01.17 87 김삼진 jinalji 김삼진
38 Galaxy M31 3 file 2023.09.24 87 김삼진 jinalji 김삼진
37 Galaxy NGC 1097 4 file 2016.09.02 86 이준화 joonhwa 이준화
36 Galaxy M15 3 file 2023.08.31 86 김삼진 jinalji 김삼진
35 Galaxy M83 2 file 2023.06.05 84 김삼진 jinalji 김삼진
34 Galaxy M83 1 file 2016.10.02 81 황인준 sanfran 황인준
33 Galaxy NGC 7793 file 2016.11.01 79 이준화 joonhwa 이준화
32 Galaxy M58, Siamese Twins file 2016.03.02 70 황인준 sanfran 황인준
31 Galaxy NGC1097 인근 2 file 2016.09.20 70 황인준 sanfran 황인준
30 Galaxy M104 1 file 2023.06.05 70 김삼진 jinalji 김삼진
29 Galaxy Small Magellanic Cloud 2 file 2016.10.04 66 황인준 sanfran 황인준
28 Galaxy M77/NGC1055 1 file 2023.02.14 64 김삼진 jinalji 김삼진
27 Galaxy M51 1 file 2023.02.13 62 이광호 lfo2910 이광호
26 Galaxy M33 4 file 2023.08.01 59 김영대 n4584 김영대.
25 Galaxy Leo Trio (M65, M66m and NGC3628) 1 file 2023.02.20 56 김삼진 jinalji 김삼진
24 Galaxy M63 1 file 2023.03.01 56 김삼진 jinalji 김삼진
23 Galaxy M106 1 file 2023.02.23 50 김삼진 jinalji 김삼진
Board Pagination Prev 1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Next
/ 4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