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alaxy
2005.04.06 14:22

Abell 2151 - SOAO - 2005_apr_06

(*.252.254.29) 조회 수 1018 추천 수 115 댓글 11




어제와 비슷한 시간에 쌍성관측이 끝났습니다...
역시 플랫찍을 시간까지 약 1시간 조금더 남아서...
무엇을 찍어볼까 고민하다가...
Abell Cluster 하나를 찍어봤습니다...
.
구경이 크고 CCD가 고감도여도  역시 f/ratio가 크다보니...
노출시간이 한참 모자랍니다.
바람도 많이 불고 해서 300초 이상 노출주기도 힘들고...
어찌어찌하여 몇장만 찍어봤습니다.
.
2005. Apr. 06. 04:00~05:10
SOAO, 24inch, 2KCCD, Johnson UBVRI filter
B:250sx4, V:200sx4, R:200sx4 (2x2 binning)
irfa에서 preprocess, maxim에서 combine
80% resize입니다.
  • 이건호 2005.04.06 19:20 (*.120.233.202)
    몇군데 핫픽셀은 제외하고는 노이즈 거의 안보이네요. 질소 냉각인가요? 가이드는 노터치인가보죠?
  • 박영식 2005.04.06 21:29 (*.252.254.29)
    네... 액체질소를 써서 -110도로 냉각합니다.
    오래된 마운트이다보니, 300초 이상은 흐릅니다.
    그러고 보니 벌써 30년이나 됐네요... ^^
  • 황인준 2005.04.07 01:45 (*.204.204.58)
    구경에 비해 별상이 커 보이고 은하의 핵이 두드러져 보이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어떤 처리를 하셨나 궁굼해 지는군요..
    그리고 "f/ratio가 크다"는 뭘 의미하는 것인지요..?
    제가 상경 출신이다 보니 모른는 것이 너무 많네요..^^




  • 박영식 2005.04.07 02:40 (*.252.254.29)
    별상이 커보이는 것은 이날 별의 FWHM이 약 3~ arc sec 정도 되었습니다. 실제 이미지 처리하는 과정에서 좀더 커졌구요..

    은하들이 워낙 표면광도가 어두운놈들이라, 밝은 놈들도 바닥레벨에서 1000ADU도 안올라옵니다...
    포토샵에서 레벨조정하는 과정에서 좀더 강조되어 보인듯 합니다...
    그리고 실제로 멀리있는 은하단이기때문에...
    나선팔이나 주변 structure 들은 잘 보이지않고 은하핵이 좀더 눈에띠게 보일뿐입니다.

    f/ratio는 구경비 입니다...
    소백산망원경의 경우 f/13.5 입니다...
    deepsky 하기에는... 거의 경쟁력이 없지만...
    관측 끝내고 남는시간에 한두장찍어본 것입니다. ^^
  • 황인준 2005.04.07 10:22 (*.204.207.188)
    아 F빠르기를 말씀하시는 것이었군요..
    24인치에 F13.5면 촛점거리가.. 휴~
    그런 촛점거리를 감안하면 FWHM이 3~정도에서 맺는 것도 대단하다는 생각이 드는데..
    평균 시상은 어느정도 수치를 나타내나요?
    그리고 증폭되는 궁금증이 많은데....
    화각으로 볼때 건호씨의 망원경과 10XME의 조합과 비슷해 보이는데 그럴 경우 F수가 빠른 건호씨의 조합이 더 경쟁력이 있게 되는 것인가요?
    앞으로 쓸일도 없고 쓸 가능성도 없어 보이는 천문대급 망원경과 초 고감도 CCD의 조합이지만 궁굼해집니다.
  • 이건호 2005.04.07 12:28 (*.101.107.100)
    FWHM이 3초각이었다면 같은날 다른 구경과, 다른 초점길이, 다른 CCD로 찍어도 비슷한 수치를 보여주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물론 망원경이 dffraction limited 되었다면요.
    제 망원경과 CCD는 화각이 30분각 x 20분각에 픽셀당 0.8 초각 정도 됩니다.
    소백산은 홈에보니 약 20분각x20분각이고 픽셀당 0.6 초각이네요. 아마 한픽셀이 24미크론인가 봅니다. 엄청 커서 11000xm보다도 크네요 ^^


    엄청남 크기의 망원경과 CCD로 화각이 비슷하게 나오니까 딥스카이에 효율적인지 않다는 말씀같이 들립니다.

  • 황인준 2005.04.07 12:41 (*.85.115.113)
    업글은 누구나 생각하고 있는 법이라서...
    혹 지금으로부터 10년후 20년후에는 어떤 장비가 최적에 조합일까... 뭐 이런 부분의 상상은 상상만으로도 즐겁기에..
    궁금한 부분입니다.
    과연 카세그레인(RC)외에는 대안이 없을까?
    하여간 여러가지 궁금해 집니다.
    위의 사진 데이타를 보니 3분여 정도씩 준 것 같은데 로우 이미지가 보고 싶어지네요..
    너무 영식씨를 귀찮게 하나요?
    ..!@#%^(*^%..
  • 박영식 2005.04.07 17:12 (*.85.205.212)
    아, 산에서 내려오는동안 글이 많이 올라왔었네요...
    하나씩 말씀드리자면...
    - 61cm에 f/13.5면 초점거리가 8200미리 정도 됩니다.
    - 소백산 시상은 FWHM으로 약 2~3.5 arcsec 정도됩니다.
    물론 더 좋거나 더 나쁜날도 있지만 평균적으로 2.5arcsec 정도라고보시면 됩니다.
    외국 site의 경우 가시광선영역에서 0.4~0.7arcsec가 되는곳이 많습니다... ㅡㅡ;
    - 구경은 크지만 f/수가 너무 차이가 나므로... 똑같은 시간을 노출을 준다면... 건호님 망원경이 더 유리하겠죠.. ^^
    - 소백산 CCD는 SITE사의 2kx2k CCD를 사용했습니다. 한픽셀 24um 이고 2048x2048 이므로 CCD 는 49mmx49mm 정도로 아주 큽니다. 또한 V영역에서 양자효율이 90%정도됩니다. 다만 픽셀이 크기때문에, 이미징하기에는 조금 detail이 떨어질 수 있지만, 한픽셀당 400,000 electron을 담을수 있기때문에, 측광할때 장시간노출에도 유리한 편입니다.
    하지만, 망원경이 30년 정도 사용을 했고, 소백산에 바람도 많이 불고해서, 300초 이상의 노출은 조금어렵습니다.
    2월에 올라갔을때는 25m/s의 바람도 불더라구요...이런.. ㅡㅡ;
    - 안귀찮습니다... ^^ pre process(zero, flat 보정까지만한)를 끝낸 한장의 200초짜리 R frame 이미지를 올려보겠습니다. ^^
    - 마지막으로... 이런 저런 용도로 망원경이 많이 다르겠지만... 개인이 쓰기에는 16인치 f/7 정도의 RC면 훌륭할 것 같습니다... ^^
  • 박영식 2005.04.07 17:29 (*.85.205.212)
    답글로 달았다기 지웠습니다..
    메인화면에 허옇게 나와서... ㅡㅡ;

    아래 링크 옮겨왔습니다. 참고하세요... ^^

    200초 노출을준, R filter 이미지 입니다...
    별로 깨끗하지 않습니다.. ^^

    http://www.kao.re.kr/~parkys/astrophoto/nada/pS2K21824.fits
  • 이건호 2005.04.08 08:25 (*.101.107.100)
    억~ 16인치 RC F7.....
    파일을 열어보니 R 프레임인데도 참 깨끗하네요. 집광력이 커서인지 짧은 노출에 별들도 적당하게 무르 익었구요^^
    Zero 보정은 무었인가요? Dark 감산은 안되었나 봐요.
  • 박영식 2005.04.08 10:22 (*.219.33.111)
    아~ 16인치 RC는... 인준님께서 10년 후에 어떤장비가 좋을까 생각하시는것 같아서요... ^^

    zero는... bias 입니다... 보통 iraf 처리하게되면 bias frame을 zero 라고 써야돼서... 저도 그렇게 쓰게됐습니다. ^^
    소백산CCD는 액체질소소 -110도로 냉각해서 300초 정도에는 dark가 거의 없어서, 보통 dark 는 찍지 않는 편입니다. 그래도 있긴 있죠... ^^
    군데군데 덩어리로 hot pixel 들이 있구요...
    cosmic ray 도 군데 군데 있습니다.

  1. M82

    2월 18일에 1박2일로 나다 천문대에 갔었습니다. 날은 아주 좋았으나 달이 있었습니다. 한 2시경 달이 지기는 했지만 달이 있었을때는 역시
    Date2005.03.22 CategoryGalaxy By황인준 Views1387
    Read More
  2. NGC3521

    M63과 아주 비슷한 은하입니다. 이미지 처리를 하지 않으면 구분이 안갈 정도입니다. 역시 촛점 문제가 있습니다만 해바라기에는 못 미치는 화려함입니다. HO-BYM 292FN AP EQ1200 ST-10XE w/ CFW-8a(-30) L : 40min(1X1) RGB : 10min ea(2X2) 나다 제1 천문...
    Date2005.03.24 CategoryGalaxy By황인준 Views1250
    Read More
  3. M91

    개인적으로 매력을 느끼는 대상입니다. 하지만 종합 노출시간의 아쉬움이 있습니다. HO-BYM 292FN AP EQ1200 ST-10XE w/ CFW-8a(-30) L : 30min(1X1) RGB : 5min ea(2X2) 나다 제1 천문대 덕초현 천문인 마을 2005. 3. 18 23:17~
    Date2005.03.28 CategoryGalaxy By황인준 Views1051
    Read More
  4. NGC4533, 4536 & 4527

    참 근사한 대상입니다. 화각도 아쉽고 게다가 초점이 이 사진을 찍을 무렵 많이 변해 버려 아쉬운 디테일이 되고 말았습니다. HO-BYM 292FN AP EQ1200 ST-10XE w/ CFW-8a(-30) L : 30min(1X1) RGB : 10min ea(2X2) 나다 제1 천문대 덕초현 천문인 마을 2005. ...
    Date2005.03.29 CategoryGalaxy By황인준 Views1251
    Read More
  5. [ST-2000XM] hickson 44

    COSMOS FL-152 SBIG ST-2000XM (-30도) Takahashi EM-200 Temmar 2 LRGB = 60m 10m 15m 5m 2005년 2월 11일 중앙부 실사이즈 크롭 아주 오래 전에 찍어 놓은대상인데... 이제사 처리를 하네요. 워크샵에서 배운 팁들을 사용해볼려고 했는데... 잘안되네요^^ ...
    Date2005.03.30 CategoryGalaxy By김승남 Views865
    Read More
  6. M102

    메시에목록의 오류중에 하나로 NGC5866을 M102로 부르고 있습니다. 희미하지만 중간에 암흑대가 관측되더군요. GSO12inch, EQ1200Gto, ST10XME Lrgb = 30, 15, 15, 15 2005년 3월 18일 덕초현RO
    Date2005.03.30 CategoryGalaxy By이건호 Views877
    Read More
  7. [ST-2000XM] Leo Trio

    Takahashi MT-160 SBIG ST-2000XM (-30도) Takahashi EM-200 Temmar 2 L = 5m x 9 - 2매 모자이크 050331 화각 설정을 잘못해서...ㅡㅗ ㅡ;;; 3628 걸어놓고 잠들어버렸다는...ㅠㅗ ㅠ
    Date2005.04.01 CategoryGalaxy By김승남 Views1744
    Read More
  8. M51

    M51 촬영일시: 2005년 4월 1일 오후 11시00분(PST) 촬영장소: Caspers Wilderness Park, Southern California 장비: 9.25inch SCT F6.3 reduced SBIG2000XM cooled CCD (섭씨 영하 15도 냉각) 노출: R/G/B 300sec X 3frames each,(2x2) L 400sec X 3frames (1...
    Date2005.04.03 CategoryGalaxy By강문기 Views1149
    Read More
  9. [ST-2000XM] M101

    Takahashi MT-160 SBIG ST-2000XM (-30도) Takahashi EM-200 Temmar 2 LRGB = 108m 9m 9m9m 3분 여러장 찍는게 좋은가 5분 여러장 찍는게 좋은가 테스트겸...해서 찍어봤습니다. 3분짜리 36장 합성입니다. 결론은... ST-2000XM 과 MT-160 의 조합에서는 3분짜...
    Date2005.04.05 CategoryGalaxy By김승남 Views854
    Read More
  10. [ST-2000XM] M64

    Takahashi MT-160 SBIG ST-2000XM (-30도) Takahashi EM-200 Temmar 2 LRGB = 42m 6m 6m9m 리사이즈 후 중앙부 크롭 MT-160에 ST-2000XM 조합으로 3분은 최소 30장 가까이 찍어야 겠습니다. 15장 정도 합성해도 SN 비가 맘에 들지 않네요. 5분으로 가야...
    Date2005.04.05 CategoryGalaxy By김승남 Views874
    Read More
  11. m96

    BRC250.20D.EQ900.6분x10장ASA800 은하는 무리인가 봅니다.
    Date2005.04.06 CategoryGalaxy By김시태 Views822
    Read More
  12. 200.8로 찍어본 은하~~( M81,82, M101)

    200.8렌즈로 함 찍어 보았습니다. 노출시간이 짧다는거 하나 맘에 듭니다만.. 크기가 너무 작아 원본 크기그대로 crop 하였습니다.. 원래는 쪼그맣게 떠있는 은하를 볼려고 했는데요.. 사진을 크기를 줄여 올리기에는 너무 작군요........................ M1...
    Date2005.04.06 CategoryGalaxy By신병석 Views1160
    Read More
  13. Abell 2151 - SOAO - 2005_apr_06

    어제와 비슷한 시간에 쌍성관측이 끝났습니다... 역시 플랫찍을 시간까지 약 1시간 조금더 남아서... 무엇을 찍어볼까 고민하다가... Abell Cluster 하나를 찍어봤습니다... . 구경이 크고 CCD가 고감도여도 역시 f/ratio가 크다보니... 노출시간이 한참 모자...
    Date2005.04.06 CategoryGalaxy By박영식 Views1018
    Read More
  14. M81_82

    M81_82 입니다. 사진으로 보니 정말 가깝게 붙어 있더군요... 2005.04.03, 덕초현 중앙천문대 12" F4, FL1200mm + Coma Corrector + LPSP2 NJP Temma PC, 20D ISO800, 240초 9장, 맥심 합성 후 포샵/스텔라 이미지 처리.... 처음 사진 둘은 50%리사이즈 이고,...
    Date2005.04.07 CategoryGalaxy By조창우 Views1094
    Read More
  15. M84 M86

    처녀자리 은하단에 속해 있는 커다란 타원은하입니다. 좌: M86 우: M84 GSO12inch, EQ1200GTO, ST10XME LRGB= 50m 15m 15m 15m 2005년 3월 30일 덕초현 RO
    Date2005.04.11 CategoryGalaxy By이건호 Views816
    Read More
  16. M63

    해바라기은하. 전에 뮤론으로 찍어본 적이 있는 대상이지만 12인치에서는 어떻게 나올지 궁금해서 촬영을 해 보았습니다. 안타레스성식이 있던날 밤에 찍었는데 밝은 달 영향으로 색과 어두운 영역등이 좀 안나왔습니다. 아무래도 다시 찍어보고 싶은 대상입...
    Date2005.04.12 CategoryGalaxy By이건호 Views995
    Read More
  17. M59_60 & NGC....

    지난 4월 3일 다른 대상을을 기다리다 시간이 남아 몇장 찍어 보았습니다... 생각보다 작은 NGC은하가 많이 나와 있습니다. 2005.04.03, 덕초현 중앙천문대 12" F4, FL1200mm + Coma Corrector + LPSP2 NJP Temma PC, 20D ISO800, 240초 7장, 맥심 합성 후 포...
    Date2005.04.14 CategoryGalaxy By조창우 Views860
    Read More
  18. M63 Sunflower

    촬영일시: 2005년 4월 9일 오후 10시30분(PST) 촬영장소: Caspers Wilderness Park, Southern California 장비: 9.25inch SCT F6.3 reduced SBIG2000XM cooled CCD (섭씨 영하 15도 냉각) 노출: R/G/B 300sec X 3frames each (2x2), L 400sec X 6frames (1x1)...
    Date2005.04.14 CategoryGalaxy By강문기 Views1031
    Read More
  19. [ST-2000XM] M85, M98, M99, M100

    Canon FD 400mm 1:2.8L (F5) SBIG ST-2000XM (-30도) LRGB = 27m 6m 6m 6m x 3장 모자이크 다음부터 모자이크 할 때는 3분짜리 5장 정도로 L 을 찍고 RGB는 2분짜리 1장씩만 찍어야겠습니다...ㅎㅎ
    Date2005.04.16 CategoryGalaxy By김승남 Views1002
    Read More
  20. Abell 1656 머리털자리 은하단

    Deeeeeeeep sky....... 수억~수십억광년 떨어져 있는 머리털자리 은하단. LRGB: 40m. 15m, 15m, 15m GSO12inch, EQ1200GTO, ST10xme 2005년 4월 16일 덕초현 RO
    Date2005.04.19 CategoryGalaxy By이건호 Views1478
    Read More
  21. NGC4631

    종합 노출이 부족한 것과 다크(딤채에서 찍은 것)가 깨끗하게 빠지지 않아 처리에 아쉬움이 남는 사진입니다. L만 더 찍었으나 시상이 안 좋을때 찍은 것은 오히려 디테일을 떨어뜨려 쓸 수 가 없었습니다. HO-BYM 292FN AP EQ1200 ST-10XE w/ CFW-8a(-30) L ...
    Date2005.04.19 CategoryGalaxy By황인준 Views1354
    Read More
  22. NGC4236

    그냥 크기가 큰 은하라서 찍어 보았는데... 너무 어둡더군요... 그래도 올라온 사진이 없어서 한 번 올려 봅니다. 지난 2월 12일날 찍은 사진 이제서야.... 2005.02.12, 덕초현 중앙천문대 12" F4, FL1200mm + Coma Corrector + LPSP2 NJP Temma PC, 20D ISO8...
    Date2005.04.20 CategoryGalaxy By조창우 Views826
    Read More
  23. M87 타원은하

    처녀자리에 있는 타원은하로 초점이 제대로 맞지 않아 아쉬움이 남지만 은하의 중심에서 7시 방향으로 분출하는 제트가 찍혀있습니다. 2005년 4월 13일 덕초현 천문인마을 RO LRGB = 40m, 15m, 15m, 15m GSO12inch, EQ1200GTO, ST10XME 밤하늘의 보석 m87 거...
    Date2005.04.20 CategoryGalaxy By이건호 Views1027
    Read More
  24. NGC3628

    상대적으로 노출을 많이 준 사진입니다만 투명도 때문인지 어두운 부분이 빈약합니다. 이날 새벽 은하수가 잘 보이지 않을 정도였습니다 . HO-BYM 292FN AP EQ1200 ST-10XE w/ CFW-8a(-30) L : 110min(1X1) RGB : 13min ea(2X2) 나다 제 1 천문대 덕초현 천문...
    Date2005.04.21 CategoryGalaxy By황인준 Views1272
    Read More
  25. M85 머리털자리 은하

    중앙의 밝은 렌즈형은하 M85와 좌측의 막대나선은하 NGC4394 입니다. GSO12inch, EQ1200GTO, ST10XME LRGB= 40m, 15m, 15m, 15m 2005년 4월 13일 덕초현 천문인마을 RO
    Date2005.04.22 CategoryGalaxy By이건호 Views1093
    Read More
  26. M102

    메시에 대상 치고는 시직경이 아주 작은 놈입니다. . HO-BYM 292FN AP EQ1200 ST-10XE w/ CFW-8a(-30) L : 50min(1X1) RGB : 6min ea(2X2) 나다 제 1 천문대 덕초현 천문인 마을 2005. 4. 4 01:17~
    Date2005.04.24 CategoryGalaxy By황인준 Views1555
    Read More
  27. 황인준님의 M102 사진의 질문입니다.

    1) 첨부사진의 ngc5866에서 2시방향 원내는 성도에 없는데? 이것은 무엇인지요? 2)그리고 현재 사용가능한 성도에서 몇등성까지 찾기가 가능한지요? 3)(더스카이에서는 15.5등성까지인가요?) 4)사진상에서는 훨씬더 어두운별까지 찍히는데 확인들하시는 방법...
    Date2005.04.26 CategoryGalaxy By김시태 Views988
    Read More
  28. M98

    머리털 자리의 10등급 측면 나선은하입니다. 디테일을 표현하자면 좋은 시상과 투명도, 긴 노출 그리고 12인치 이상의 대국경과 고감도 CCD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이날은 투명도가 극히 좋지 않았고 시상 또한 따라주지 않아 오래 찍고픈 으욕이 생기지를 않...
    Date2005.05.01 CategoryGalaxy By황인준 Views1182
    Read More
  29. M104 Sombrero

    촬영일시: 2005년 5월 2일 오후 11시00분(PST) 촬영장소: Caspers Wilderness Park, Southern California 장비: 9.25inch SCT F6.3 reduced SBIG2000XM cooled CCD (섭씨 영하 20도 냉각) 노출: R/G/B 300sec X 3frames each (2x2), L 300sec X 7frames (1x1)...
    Date2005.05.04 CategoryGalaxy By강문기 Views1245
    Read More
  30. M91, M99

    이동네 메시에 은하들이 참 많네요. 빨리 벗어나야 하는데 잘 안되는군요. 찍고나서 나중에 열어보면 시상과 초점때문에 맘에 안드는 사진이 많습니다. M91 머리털자리 막대나선은하 2005년 4월 5일 덕초현 천문인마을RO GSO12inch, EQ1200GTO, ST10XME LRGB=...
    Date2005.05.06 CategoryGalaxy By이건호 Views1024
    Read More
  31. NGC4038, 4039

    Antennae, Ring-Tail Galaxy라 하던데.. 무슨 뜻인지 모르겠습니다...^^; 지난 4월3일날 찍은 사진인데 이제서야.... 2005.04.03, 덕초현 중앙천문대 12" F4, FL1200mm + Coma Corrector + LPSP2 NJP Temma PC, 20D ISO800, 240초 15장, 맥심 합성 후 포샵/스...
    Date2005.05.08 CategoryGalaxy By조창우 Views1014
    Read More
  32. M98

    머리털자리 나선은하 2005년 4월 3일 덕초현 천문인마을RO GSO12inch, EQ1200GTO, ST10XME LRGB= 30m, 10m, 10m, 10m 노출을 더 주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많이 남는 은하입니다.
    Date2005.05.13 CategoryGalaxy By이건호 Views102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44 Next
/ 4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