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alaxy
2005.04.06 14:22

Abell 2151 - SOAO - 2005_apr_06

(*.252.254.29) 조회 수 1018 추천 수 115 댓글 11




어제와 비슷한 시간에 쌍성관측이 끝났습니다...
역시 플랫찍을 시간까지 약 1시간 조금더 남아서...
무엇을 찍어볼까 고민하다가...
Abell Cluster 하나를 찍어봤습니다...
.
구경이 크고 CCD가 고감도여도  역시 f/ratio가 크다보니...
노출시간이 한참 모자랍니다.
바람도 많이 불고 해서 300초 이상 노출주기도 힘들고...
어찌어찌하여 몇장만 찍어봤습니다.
.
2005. Apr. 06. 04:00~05:10
SOAO, 24inch, 2KCCD, Johnson UBVRI filter
B:250sx4, V:200sx4, R:200sx4 (2x2 binning)
irfa에서 preprocess, maxim에서 combine
80% resize입니다.
  • 이건호 2005.04.06 19:20 (*.120.233.202)
    몇군데 핫픽셀은 제외하고는 노이즈 거의 안보이네요. 질소 냉각인가요? 가이드는 노터치인가보죠?
  • 박영식 2005.04.06 21:29 (*.252.254.29)
    네... 액체질소를 써서 -110도로 냉각합니다.
    오래된 마운트이다보니, 300초 이상은 흐릅니다.
    그러고 보니 벌써 30년이나 됐네요... ^^
  • 황인준 2005.04.07 01:45 (*.204.204.58)
    구경에 비해 별상이 커 보이고 은하의 핵이 두드러져 보이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어떤 처리를 하셨나 궁굼해 지는군요..
    그리고 "f/ratio가 크다"는 뭘 의미하는 것인지요..?
    제가 상경 출신이다 보니 모른는 것이 너무 많네요..^^




  • 박영식 2005.04.07 02:40 (*.252.254.29)
    별상이 커보이는 것은 이날 별의 FWHM이 약 3~ arc sec 정도 되었습니다. 실제 이미지 처리하는 과정에서 좀더 커졌구요..

    은하들이 워낙 표면광도가 어두운놈들이라, 밝은 놈들도 바닥레벨에서 1000ADU도 안올라옵니다...
    포토샵에서 레벨조정하는 과정에서 좀더 강조되어 보인듯 합니다...
    그리고 실제로 멀리있는 은하단이기때문에...
    나선팔이나 주변 structure 들은 잘 보이지않고 은하핵이 좀더 눈에띠게 보일뿐입니다.

    f/ratio는 구경비 입니다...
    소백산망원경의 경우 f/13.5 입니다...
    deepsky 하기에는... 거의 경쟁력이 없지만...
    관측 끝내고 남는시간에 한두장찍어본 것입니다. ^^
  • 황인준 2005.04.07 10:22 (*.204.207.188)
    아 F빠르기를 말씀하시는 것이었군요..
    24인치에 F13.5면 촛점거리가.. 휴~
    그런 촛점거리를 감안하면 FWHM이 3~정도에서 맺는 것도 대단하다는 생각이 드는데..
    평균 시상은 어느정도 수치를 나타내나요?
    그리고 증폭되는 궁금증이 많은데....
    화각으로 볼때 건호씨의 망원경과 10XME의 조합과 비슷해 보이는데 그럴 경우 F수가 빠른 건호씨의 조합이 더 경쟁력이 있게 되는 것인가요?
    앞으로 쓸일도 없고 쓸 가능성도 없어 보이는 천문대급 망원경과 초 고감도 CCD의 조합이지만 궁굼해집니다.
  • 이건호 2005.04.07 12:28 (*.101.107.100)
    FWHM이 3초각이었다면 같은날 다른 구경과, 다른 초점길이, 다른 CCD로 찍어도 비슷한 수치를 보여주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물론 망원경이 dffraction limited 되었다면요.
    제 망원경과 CCD는 화각이 30분각 x 20분각에 픽셀당 0.8 초각 정도 됩니다.
    소백산은 홈에보니 약 20분각x20분각이고 픽셀당 0.6 초각이네요. 아마 한픽셀이 24미크론인가 봅니다. 엄청 커서 11000xm보다도 크네요 ^^


    엄청남 크기의 망원경과 CCD로 화각이 비슷하게 나오니까 딥스카이에 효율적인지 않다는 말씀같이 들립니다.

  • 황인준 2005.04.07 12:41 (*.85.115.113)
    업글은 누구나 생각하고 있는 법이라서...
    혹 지금으로부터 10년후 20년후에는 어떤 장비가 최적에 조합일까... 뭐 이런 부분의 상상은 상상만으로도 즐겁기에..
    궁금한 부분입니다.
    과연 카세그레인(RC)외에는 대안이 없을까?
    하여간 여러가지 궁금해 집니다.
    위의 사진 데이타를 보니 3분여 정도씩 준 것 같은데 로우 이미지가 보고 싶어지네요..
    너무 영식씨를 귀찮게 하나요?
    ..!@#%^(*^%..
  • 박영식 2005.04.07 17:12 (*.85.205.212)
    아, 산에서 내려오는동안 글이 많이 올라왔었네요...
    하나씩 말씀드리자면...
    - 61cm에 f/13.5면 초점거리가 8200미리 정도 됩니다.
    - 소백산 시상은 FWHM으로 약 2~3.5 arcsec 정도됩니다.
    물론 더 좋거나 더 나쁜날도 있지만 평균적으로 2.5arcsec 정도라고보시면 됩니다.
    외국 site의 경우 가시광선영역에서 0.4~0.7arcsec가 되는곳이 많습니다... ㅡㅡ;
    - 구경은 크지만 f/수가 너무 차이가 나므로... 똑같은 시간을 노출을 준다면... 건호님 망원경이 더 유리하겠죠.. ^^
    - 소백산 CCD는 SITE사의 2kx2k CCD를 사용했습니다. 한픽셀 24um 이고 2048x2048 이므로 CCD 는 49mmx49mm 정도로 아주 큽니다. 또한 V영역에서 양자효율이 90%정도됩니다. 다만 픽셀이 크기때문에, 이미징하기에는 조금 detail이 떨어질 수 있지만, 한픽셀당 400,000 electron을 담을수 있기때문에, 측광할때 장시간노출에도 유리한 편입니다.
    하지만, 망원경이 30년 정도 사용을 했고, 소백산에 바람도 많이 불고해서, 300초 이상의 노출은 조금어렵습니다.
    2월에 올라갔을때는 25m/s의 바람도 불더라구요...이런.. ㅡㅡ;
    - 안귀찮습니다... ^^ pre process(zero, flat 보정까지만한)를 끝낸 한장의 200초짜리 R frame 이미지를 올려보겠습니다. ^^
    - 마지막으로... 이런 저런 용도로 망원경이 많이 다르겠지만... 개인이 쓰기에는 16인치 f/7 정도의 RC면 훌륭할 것 같습니다... ^^
  • 박영식 2005.04.07 17:29 (*.85.205.212)
    답글로 달았다기 지웠습니다..
    메인화면에 허옇게 나와서... ㅡㅡ;

    아래 링크 옮겨왔습니다. 참고하세요... ^^

    200초 노출을준, R filter 이미지 입니다...
    별로 깨끗하지 않습니다.. ^^

    http://www.kao.re.kr/~parkys/astrophoto/nada/pS2K21824.fits
  • 이건호 2005.04.08 08:25 (*.101.107.100)
    억~ 16인치 RC F7.....
    파일을 열어보니 R 프레임인데도 참 깨끗하네요. 집광력이 커서인지 짧은 노출에 별들도 적당하게 무르 익었구요^^
    Zero 보정은 무었인가요? Dark 감산은 안되었나 봐요.
  • 박영식 2005.04.08 10:22 (*.219.33.111)
    아~ 16인치 RC는... 인준님께서 10년 후에 어떤장비가 좋을까 생각하시는것 같아서요... ^^

    zero는... bias 입니다... 보통 iraf 처리하게되면 bias frame을 zero 라고 써야돼서... 저도 그렇게 쓰게됐습니다. ^^
    소백산CCD는 액체질소소 -110도로 냉각해서 300초 정도에는 dark가 거의 없어서, 보통 dark 는 찍지 않는 편입니다. 그래도 있긴 있죠... ^^
    군데군데 덩어리로 hot pixel 들이 있구요...
    cosmic ray 도 군데 군데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이름 아이디 글쓴이
982 Galaxy NGC 672 / IC 1727 6 file 2015.09.11 248 박성준 einpark 박성준
981 Galaxy NGC 55 1 file 2003.10.28 1445 이건호 skymate 이건호
980 Galaxy NGC 55 9 file 2016.08.29 165 이준화 joonhwa 이준화
979 Galaxy NGC 5363 & 5364 2 file 2004.05.02 1122 황인준 sanfran 황인준
978 Galaxy NGC 5360, 5363 & 5364 2 file 2005.02.19 879 황인준 sanfran 황인준
977 Galaxy NGC 5128 Centa -A 6 file 2005.01.08 911 신병석 starzan 신병석
976 Galaxy NGC 5128 (Centaurus A) 14 file 2006.03.12 1178 이준화 joonhwa 이준화
975 Galaxy NGC 5128 (Centaurus A) 4 file 2014.05.28 716 신병석 starzan 신병석
974 Galaxy NGC 5128 7 file 2016.10.10 187 이준화 joonhwa 이준화
973 Galaxy NGC 5033 5 file 2005.01.17 925 황인준 sanfran 황인준
972 Galaxy NGC 4945 6 file 2016.09.27 197 이준화 joonhwa 이준화
971 Galaxy NGC 4725 / 4712 12 file 2005.03.21 1068 황인준 sanfran 황인준
970 Galaxy NGC 4631, 고래 한 마리 5 file 2010.04.17 1503 김상욱 quark 김상욱
969 Galaxy NGC 4631, 4656 6 file 2006.01.18 1066 황인준 sanfran 황인준
968 Galaxy NGC 4631 Group file 2017.03.17 356 박성준 einpark 박성준
967 Galaxy NGC 4565입니다 3 file 2008.05.10 1460 최훈옥 oioigs 최훈옥
966 Galaxy NGC 4565 10 file 2004.01.08 1377 조창우 nunki92 조창우
965 Galaxy NGC 4565 7 file 2010.04.05 1709 김상욱 quark 김상욱
964 Galaxy NGC 4490/85 16 file 2005.01.10 1010 황인준 sanfran 황인준
963 Galaxy NGC 4038/4039 11 file 2005.03.16 1042 황인준 sanfran 황인준
962 Galaxy NGC 4038/4039 4 file 2005.03.20 1028 신병석 starzan 신병석
961 Galaxy NGC 4038-39 Ring-Tail Galaxy 7 file 2009.03.21 1611 선숙래 sukraeseon 선숙래
960 Galaxy NGC 3718, 3729 & Hickson 56 5 file 2005.02.23 1106 황인준 sanfran 황인준
959 Galaxy NGC 3718 & 3729 2 file 2004.12.17 823 신병석 starzan 신병석
958 Galaxy NGC 3628 햄버거은하 6 file 2016.02.17 259 김상욱 quark 김상욱
957 Galaxy NGC 3628 9 file 2010.01.19 1331 선숙래 sukraeseon 선숙래
956 Galaxy NGC 3359 5 file 2005.01.24 1024 황인준 sanfran 황인준
955 Galaxy NGC 2976 7 file 2004.11.12 920 황인준 sanfran 황인준
954 Galaxy NGC 2903 6 file 2010.01.10 1304 선숙래 sukraeseon 선숙래
953 Galaxy NGC 253 - Sculptor Galaxy 6 file 2014.10.08 1078 신병석 starzan 신병석
952 Galaxy NGC 253 (2nd ) 9 file 2004.12.18 913 신병석 starzan 신병석
951 Galaxy ngc 253 8 file 2006.09.26 1212 고창균 byulcozi 고창균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44 Next
/ 4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