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alaxy
2005.03.02 10:59

M82

(*.249.97.69) 조회 수 1307 추천 수 88 댓글 20




2월28일 저녁 덕초현에서 찍은 사진 입니다.  지난번 사진보다 좋아졌다고 생각됩니다만, 여전히 부족하군요...

오리온250mmF4.8+R200ss 콤마코렉터
L:3minx40, RGB:5minx6
  • 최승용 2005.03.02 11:02 (*.255.216.142)
    투명도가 좋았던 밤이었는데 덕초현에서 찍으셨군요.
    제 눈에는 엄청납니다......
  • 김영재 2005.03.02 11:31 (*.251.197.105)
    디테일이 죽음입니다..중심부의 모습을 보면
    m82는 은하라기 보다는 초거대 항성의 폭발잔해 같은
    느낌이 드네요.
  • 유종선 2005.03.02 11:37 (*.155.236.80)
    와... 최곱니다. 자연스러우면서도 디테일이.. 어쩜..
  • 이준희 2005.03.02 11:47 (*.111.41.48)
    요즘 딥스카이 갤러리에 피튀기는 사진이 너무 많이 올라와 무섭습니다. 사진 좋습니다.
  • 황인준 2005.03.02 12:36 (*.85.131.114)
    허~ 참....
  • 김영렬 2005.03.02 12:43 (*.58.19.61)
    전에 추천링크에 있던 Russell Croman 사진 못지 않네요.
  • 남명도 2005.03.02 12:46 (*.76.81.14)
    이준화님의 m81 결정판 이네요...
  • 박정용 2005.03.02 12:59 (*.121.98.245)
    최고네요..대~단합니다.
  • 김승남 2005.03.02 13:44 (*.199.230.236)
    이준화님께선 짧은 노출로 여러장을 합성하시네요.
    음... 3분 노출 40장과 10분 노출 12장... 어느게 나을까요?
    ^^
  • 이준화 2005.03.02 14:27 (*.249.97.69)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일반적으로는 긴노출로 찍는 것이 좋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센서는 Full Well Capacity 가 작아서 긴 노출을 주기 어렵습니다. 대상에 따라서 10분 노출도 무리가 없기는 하지만 3분 노출로 합성한 사진과 비교해서 그리 큰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습니다. 그래서 짧은 노출로 찍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이드가 불안한 경우 에는 짧은 노출로 찍는 경우에 손해보는 시간이 적어진다는 점도 3분 노출로 많이 찍는 이유중의 하나입니다.
  • 황형태 2005.03.02 16:54 (*.241.102.218)
    대단합니다... 허걱!!! 입니다...
  • 이건호 2005.03.02 17:08 (*.101.107.100)
    놀라움의 연속입니다.
  • 박대영 2005.03.02 17:17 (*.98.199.215)
    정말로 생생한 사진입니다..마치 살아있는 듯한..
  • 육호준 2005.03.02 19:17 (*.117.3.253)
    리플을 안달수없는 사진이군요.
    정말 좋은사진입니다. 보기에도 고맙군요.
  • 추현석 2005.03.02 20:17 (*.242.81.186)
    저도 육선생님과 동감입니다.
    뭐라 감탄사를 써야할지~~~
    " 피 튀기는 군요~~~ !"
  • 최원균 2005.03.02 21:29 (*.176.144.202)
    담배값 인상에 맞추어, 시가성운도 점점 고품질화 되어가네요~~
  • 박영식 2005.03.03 09:08 (*.219.33.111)
    작은 대상인데... detail이 끝내줍니다... ^^
  • 이경화 2005.03.03 10:42 (*.88.36.134)
    와! 은하 위성을 보는것 같네요.
    잘 모르지만 MT160 리듀서와 R200ss 콤마코렉터와의 차이인가요? 밤보석을 찾아보았어요.
    M82는 폭발하고 있는 것으로 짐작되는 불규칙은하이다.
    그러나 최근 연구 자료에 따르면 별들이 급격하게 생성되는 지역에 따라서 불규칙한 모양을 갖게 된 것이라고 하는데 그 흔적은 자그마치 150만년 전의 빛이라고 한다. M82는 10분 크기의 바늘모양을 하고 있는데 밝기는 8.4등급이다. 이집트에는 M82의 모습이 그려진 파피루스 조각이 있어서 몇몇 사람들은 이집트인들이 먼 외계에서 온 후인이라고 주장하기까지 하였다.
  • 김일순 2005.03.04 16:14 (*.104.39.86)
    ㅎㅎㅎㅎ 이렇게 해서 82 내부를 훤히 들여다 보네요..
  • 박현권 2005.03.04 22:20 (*.72.183.156)
    제가 이런 M82를 찍는다면, 아마 두번 다시 더이상 찍지 않을겁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이름 아이디 글쓴이
1014 Galaxy NGC2403 6 file 2007.11.18 1473 선숙래 sukraeseon 선숙래
1013 Galaxy NGC2403 4 file 2018.12.18 190 이준화 joonhwa 이준화
1012 Galaxy NGC2366 5 file 2003.12.12 1152 이준화 joonhwa 이준화
1011 Galaxy NGC2336 5 file 2003.10.04 1510 이준화 joonhwa 이준화
1010 Galaxy NGC2146 11 file 2004.10.21 885 이준화 joonhwa 이준화
1009 Galaxy NGC206 in Andromeda 8 file 2011.10.04 1215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008 Galaxy NGC1365와 화로자리은하단 Fornax galaxy cluster 11 file 2007.01.10 1222 이건호 skymate 이건호
1007 Galaxy NGC1365 와 화로자리은하단 5 file 2016.09.04 211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006 Galaxy NGC1365 막대나선은하 5 file 2003.12.26 1311 이건호 skymate 이건호
1005 Galaxy NGC1365 3 file 2016.08.19 196 이준화 joonhwa 이준화
1004 Galaxy NGC1313 9 file 2006.12.09 1307 이준화 joonhwa 이준화
1003 Galaxy NGC1300, NGC7478, NGC891, NGC7331과 스테판 오중주 11 file 2003.10.21 2014 이건호 skymate 이건호
1002 Galaxy NGC1300 11 file 2006.10.06 1235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001 Galaxy NGC1097 인근 2 file 2016.09.20 123 황인준 sanfran 황인준
1000 Galaxy NGC-3190 9 file 2007.02.12 1153 김삼진 jinalji 김삼진
999 Galaxy NGC 925 7 file 2004.11.09 876 황인준 sanfran 황인준
998 Galaxy NGC 891_080930 5 file 2008.10.02 1876 박대영 youngst 박대영
997 Galaxy NGC 891 1 file 2003.10.21 1447 황인준 sanfran 황인준
996 Galaxy NGC 891 8 file 2004.10.21 880 김형석 halpon 김형석
995 Galaxy NGC 891 11 file 2004.11.08 991 김형석 halpon 김형석
994 Galaxy NGC 891 9 file 2004.11.21 1079 황인준 sanfran 황인준
993 Galaxy NGC 891 file 2005.02.19 827 조창우 nunki92 조창우
992 Galaxy NGC 891 3 file 2008.08.29 1647 최훈옥 oioigs 최훈옥
991 Galaxy NGC 7793 file 2016.11.01 136 이준화 joonhwa 이준화
990 Galaxy NGC 7590, 7599, 7582, 7552 2 file 2016.10.12 156 이준화 joonhwa 이준화
989 Galaxy NGC 7331_ 040902 9 file 2004.09.02 2709 최승용 starbox60 최승용
988 Galaxy NGC 7331 Group 6 file 2015.09.11 220 박성준 einpark 박성준
987 Galaxy NGC 7331 7 file 2003.10.22 1608 황인준 sanfran 황인준
986 Galaxy NGC 7331 9 file 2004.10.25 952 김상욱 quark 김상욱
985 Galaxy NGC 6946 12 file 2004.10.24 1069 황인준 sanfran 황인준
984 Galaxy NGC 6822: Barnard's Galaxy 4 file 2016.09.05 134 이준화 joonhwa 이준화
983 Galaxy NGC 6744 3 file 2016.09.13 144 이준화 joonhwa 이준화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44 Next
/ 4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