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Galaxy
2004.09.30 08:42

스테판의 오중주

(*.101.108.100) 조회 수 1867 추천 수 122 댓글 12




가을철의 별자리인 페가수스에 있는 멋들어진 이름의 은하 그룹입니다.

2004년 9월 19일 덕초현 천문인마을 스타파티에서
GSO 12", EQ1200GTO, ST10XME
L 5min x 5
RGB 5min x 3


밤하늘의 보석(이준석저, 야간비행 홈)

스테판의 5중주(NGC 7317, 7318B, 7319, 7320)
1929년 에드윈 허블은 은하의 거리와 적색 편이에 대한 관계를 발표하였다. 이 법칙은 은하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편이는 커지고 스펙트럼의 적색에 대한 도플러 효과도 커진다는 내용이었다. 그러나 허블의 법칙은 대개의 은하들에게 적용되었지만, 몇 개의 예외도 있었다. 가장 대표적인 예가 페가수스자리에서 생겨났다.

1877년 에드워드 스테판은 프랑스의 마르세이유 천문대장이었는데, 잘 알려진 “스테판의 5중주”를 발견하였다. 이들 은하들은 그가 발견한 350개의 Deep Sky 목록에 속하는 것으로 그는 자신의 80㎝ 은도금 반사 망원경으로 발견해 냈다(그의 망원경은 푸코 테스트로 유명한 Leon Foucault에 의해서 제작된 것이었다).

스테판의 5중주는 NGC 7331의 남서쪽 0.5도 지점에 위치하는데 2개는 타원 은하이고 3개는 나선 은하들로 장시간 노출을 준 사진을 보면 희미한 구름과 같이 보이는 대상들이다.

1961년 천문학자들은 각 은하들이 다른 은하들 보다 더 작은 적색 편이를 나타내는 것을 알아냈다(허블의 법칙에 의하면 우리에게서 더욱 가까이 위치해야 한다). 5개 중 4개가 초속 6000㎞로 후퇴하고, 하나만이 800㎞로 움직이고 있었던 것이다. 이런 현상은 허블 상수가 75㎞/s 라면 각각 2억 5000만 광년, 3500만 광년 떨어진 셈이다. 특히 NGC 7320은 가장 낮은 적색편이를 나타낸다.

스테판의 5중주는 아마추어들에게 매력적인 대상이다. 스테판은 원래 NGC 7317, 18, 19, 20. 4개만을 관측했지만, NGC 7318이 A와 B로 나누어진 연결 은하로 판별되었다.

Harrington은 13인치 F/4.5 반사 망원경으로 가장 밝은 두 개의 은하를 볼 수 있었다고 하는데, 1분 크기의 타원 모습으로 밝기는 13등급 정도였다. Averted Vision을 사용하면 밝은 핵을 볼 수 있었으며, NGC7320은 앞의 두 은하보다 두 배나 더 커서 13.1인치 망원경으로도 희미하게 보였다(8인치 F/7 망원경으로는 보이지도 않았다). 아마도 더 큰 망원경을 사용하면 핵은 볼 수 있을 것 같았다고 한다.

NGC 7320은 크기가 ½분밖에 안되며, 사진등급으로는 17등급으로 24인치급 정도 되어야 볼 수 있을 것이다.

NGC7317, 19는 8인치급으로는 보이지 않지만 13.1인치로는 볼 수 있었다고 한다. NGC 7317은 14등급의 희미한 1분 크기의 원반형으로 보이는데 서쪽에 바로 12등급의 희미한 별이 위치한다. 특히 이 은하는 렌즈 상태가 좋아야 볼 수 있는 대상으로 약간의 먼지나 얼룩은 별빛을 산란시켜 은하와 같이 보이게 한다.

NGC7319는 스테판의 5중주에서 두 번째로 큰 은하로 크기가 2분이며, 밝기는 13등급이다(커다란 크기 때문에 표면 밝기가 낮다). Harrington은 Averted Vision을 사용해서 별처럼 생긴 은하를 발견할 수 있었다고 한다. 고배율로 NGC 7319를 관측하기 위해서는 10인치급 이상의 망원경이 필요하다.

  • 이경화 2004.09.30 09:01 (*.88.36.142)
    어느틈에 스테판 오중주를 찍었군요. 언젠가 칼라 스테판을 부탁했던것같은데..
    이름만큼이나 아름답고 신비로워 개인적으로 참 좋아하는 대상입니다.
  • 황인준 2004.09.30 09:09 (*.53.139.196)
    이런 영역에서는 역시 10이상은 없어 보입니다.
    망원경도 이젠 준비가 완전히 된데다가..
    부럽습니다. 그리고 멋집니다.
  • 윤홍선 2004.09.30 09:57 (*.244.218.34)
    형형색색이 다른 것이 무척이나 이채롭습니다. 환상적인 사진 감상 잘 했습니다.
  • 이준화 2004.09.30 10:54 (*.249.97.69)
    멋진 사진이군요~
  • 박정용 2004.09.30 11:19 (*.181.18.130)
    멋집니다.
    작은 은하들이 옹기종기 모여있는 멋진 사진들을 보면
    환상속으로 빨려드는 듯 하기도 하고..
    어쩌면 뽐뿌질 당하는 듯.. 어쩌면 도전의식도 생기는듯..
    ㅎㅎㅎ 결국 부러움에 몸서리가 쳐 집니다.
  • 이건호 2004.09.30 12:45 (*.101.108.100)
    1년만 경화님이 부탁하신 컬러사진을 얻었습니다.
    st10이 이런 심우주에는 잘 어울리는거 같습니다. 화려한 성운성단도 큰 매력이지마 이렇게 보일락말락하는 은하들의 맛도 나름대로 있는데... 도전의식이란 말이 어울립니다.
    오늘보니 가이드와 RGB 얼라인이 약간 눈에 거슬립니다. ^^
  • 이건호 2004.09.30 12:55 (*.101.108.100)
    대상확인차 안시로 잠깐보았는데 7320과 7319는 그런대로 확인 가능했지만 7318AB를 구별하진 못하겠고... 7317도 역시 봤다하면 과장일거 같은 정도였습니다.
  • 이건호 2004.09.30 13:52 (*.101.108.100)
    사진에 마우스를 대면 NGC 이름이 보이도록 했습니다.
  • 김형석 2004.09.30 15:54 (*.248.213.129)
    저도 이런 딮딮 스카이가 제일 좋습니다. ^______^
    좋은 하늘 or 좋은 장비 둘중에 하나 만이라도 갖춘다면 도전해 보겠습니다만 ^^;; 아직은 멀기만 하네요.
  • 박현권 2004.09.30 19:52 (*.72.183.187)
    덕분에 아주 멋진 장관 구경해 봅니다.
  • 김영렬 2004.10.01 19:51 (*.58.19.77)
    사진도 좋고, 자세한 설명으로 공부도 되는군요.
  • 심용택 2004.10.03 13:53 (*.244.20.221)
    마우스를 움직이면서 보니까 꼭 플라네타리움으로 장관을 보는것 같네요~~

  1. M100

    회사 설립이다 뭐다 해서 어찌저찌 하다 보니 처리가 늦어졌습니다. 이때는 초신성이 없었군요. 요 찍은 다음날 쯤 되나 봅니다.^^ 아래 주루룩 있는 사진들 모두 대단합니다. 업로드 빈도가 많으니 리플 달기가 버겁군요.. 12인치와 비교하니 약간 더 나은 ...
    Date2006.04.05 CategoryGalaxy By황인준 Views1260
    Read More
  2. NGC3344

    이 역시 2월 초순에 찍은 사진입니다. 컬러를 찍을 당시 투명도가 좀 안 좋았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아니나 다를까 다양한 색 표현에 어울리는 색 정보를 얻는데 실패를 했습니다. 아주 매력적인 은하입니다. M100 M74같은 정면 은합니다. HO-BYM 380FN w/ R20...
    Date2006.04.07 CategoryGalaxy By황인준 Views1282
    Read More
  3. NGC4216

    처녀자리에 있는 나선은하 모임입니다. 3개의 은하가 서로 어떤 연관이 있는지는 모르겠으나, 보이는 각도가 특이하네요. 원반비행접시의 방향바꾸기라고할까요... 암튼. 2006년 3월 24일 덕초현천문인마을 원격관측소 GSO12inch, EQ1200GTO, ST10-XME LRGB:=...
    Date2006.04.10 CategoryGalaxy By이건호 Views1002
    Read More
  4. NGC4631

    번트대는 은하 배꼽달린 은하 꽁치 은하 멸치 은하 생선 은하 나다에서 붙인 이름도 가지가지입니다. ^^ 2006년 3월 3일 덕초현천문인마을 GSO12inch, EQ1200GTO, ST10-XME L = 5m x 12m, RGB = 5m x 3장씩
    Date2006.04.12 CategoryGalaxy By이건호 Views1112
    Read More
  5. The Markarian's chain

    The Markarian's chain 은 처녀자리에 있는 큰 타원은하인 M84와 M86에서 시작하여 북동쪽으로 곡선을 그리며 나열되어 있는 십여의 은하들의 지칭하는 것으로 1970년대에 이를 최초로 언급한 아르메니아의 천문학자 이름을 딴 것이라 합니다. 마카리안 연쇄...
    Date2006.04.19 CategoryGalaxy By신범영 Views1171
    Read More
  6. m101 & m57 by st2000xcm

    m101 : 10분*11 m57 : 10분*9 어제밤 작업한 삐리리한사진 올립니다. sct경통 때문인지 원샷칼라ccd 때문인지 제실력부족인지... 색상 나타내기가 힘듭니다. 그나마 이번 세미나에서 이건호님의 강의중 팁을 얻어 처리하니 전보다 좀 나아진것 같습니다. 장비...
    Date2006.04.23 CategoryGalaxy By도영재 Views1193
    Read More
  7. NGC4725

    요즘 날이 안 좋아서 심심하네요. 지난달 사진인데 요즘 이일저일 바빠서 이제야 처리해보았습니다. 머리털자리에 있는 두 은하로 큰것이 4723 작은것이 4712입니다. 전에 황인준님이 15인치로 잘 찍었던 놈이죠 ^^ 2006년 3월 24일 덕초현 천문인마을 GSO12i...
    Date2006.04.23 CategoryGalaxy By이건호 Views974
    Read More
  8. m57 & m101 이미지 재처리버전

    전에 올리던 이미지처리와 다른 방법으로 합성해보았습니다. 원샷 ccd와 sct경통의 영향으로 색표현이 힘든것인줄 알고 장비교체 직전까지 갔습니다만... 이건호님의 도움으로 새로운 합성법을 이용하니...색정보가 나타납니다. 그동안 합성후 rgb변환을 하였...
    Date2006.04.26 CategoryGalaxy By도영재 Views1119
    Read More
  9. NGC4567/8

    윗쪽이 NGC4567 아래쪽이 4568 으로 처녀자리 M58 아래에 사이 좋게 붙어 있는 두 은하입니다. 2006년 2월 27일 덕초현 천문인마을 GSO12inch, EQ1200GTO, ST10XME LRGB=30m 15m 15m 15m
    Date2006.05.15 CategoryGalaxy By이건호 Views1117
    Read More
  10. M84 부근

    역시 지난 주 테스트 촬영때 M57과 같이 찍었던 사진으로 마카리안체인으로 유명한 M84부근입니다. 떨어지는 투명도에 광해가 있는 서쪽이어서 비넷이 좀 보이네요. ADT KASTRON 12.5 (w/ R200CC) AP EQ1200GTO SBIG STL-11000M L 이미지만 10m x 4장 합성 20...
    Date2006.05.30 CategoryGalaxy By이건호 Views1069
    Read More
  11. M63 Sunflower Galaxy

    시상이 상당히 좋을 때였습니다. 많이 시간의 노출이 아니더라도 사진의 S/N비가 좋은 것은 아마도 단 초점 반사의 장점이 아닐까 합니다. 때 늦은 은하 사진도 덜 덥게 느껴져 좋습니다. 역시 은하는 대각으로 누운 것이 더 좋아 보입니다. 예전 12인치 사진...
    Date2006.06.02 CategoryGalaxy By황인준 Views1648
    Read More
  12. 안드로메다 은하 입니다만...

    하늘이 50점도 안되는 하늘이어서 무리하게 강조했더니 지저분 ... 영 맘에 안들지만. 기록차원에서.^^ 영월 별마로 천문대 FS102/EM200/EOS350D(F 5.9 리듀서) ISO 800 4min x 6 포샵 동쪽만 열린 하늘에선... M31빼곤 뭘찍어야 할지 모르겠네요.. 좀더 공부...
    Date2006.07.23 CategoryGalaxy By최훈옥 Views1396
    Read More
  13. 060802-NGC7331

    촬영일: 2006년 08월 1, 2일 새벽 촬영지: 경기도 안산 일대학 망원경: SMC 12"(300mm Newtonian, f4) 적도의: GEMINI 40 카메라 : SBIG 2000XM(-3, -5도) RGB : 각4min x5 , x5, x5(2x2) L : 4min x 8(08.01,1x1) + 5min x 12(08.02,1x1) 이런 저런 일로 휴...
    Date2006.08.03 CategoryGalaxy By박정용 Views1187
    Read More
  14. 06년 첫 m31...

    지루한 장마가 끝나고 요사이 날이 좋군요.^^ 습기가 좀 있었지만 유성도 많이보고 육안으로 안드로메다은하를 찾을수 있었습니다. 작업은 fs60c와 ccd로 2시간 작업했습니다만... 역시 후처리 실패입니다. 중심부가 타버려서... 이미지 처리 특강 보충수업받...
    Date2006.08.04 CategoryGalaxy By도영재 Views1179
    Read More
  15. 060802_ngc7331

    2006년 8월 2일 밤에 찍은 ngc7331 입니다. 휴가 기간 중이라서 마음 편하게 별을 볼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역시 안산 시내라는 치명적인 약점이 그대로 노출된 이미지 입니다. 광축도 정확하지 않아서 별상도 찌그러지고 플랫도 적용하지 못한 못난 이미지 ...
    Date2006.08.04 CategoryGalaxy By최승용 Views1168
    Read More
  16. 060804_m33

    2006년 8월 4일 금요일 밤 안산 일대학에서 박무에 휩싸인 하늘에서 찍어 본 m33 입니다. 지난 수요일에 찍으려고 가이드성까지 잡아 놓았는데 그만 엄청난 구름이 몰려 와서 포기해야만 했던 아까운 대상이었습니다. 간만에 안산에서 좋은 하늘에 멋진 모습...
    Date2006.08.05 CategoryGalaxy By최승용 Views1048
    Read More
  17. m33 & m8

    m33 : 15분*11장, fs60c, st2000원샷칼라ccd m8 : 15분*4장, uhc필터, 상동 경북 울진지역 날이 좋아 어제밤에도 작업에 들어갔습니다만...먼저작업한 m8은 달의 광해와 노출부족으로 실패하고... 그나마 m33은 나은데 구경의 한계입니다.^^ 달의 광해에 과연...
    Date2006.08.05 CategoryGalaxy By도영재 Views1049
    Read More
  18. M66

    이 역시 예전 사진입니다. 계조가 풍부한 것은 확실한데 이전 12인치 사진이 워낙 시상이 좋을때여서 그런지 별 차이가 없군요. 15인치의 미러셀을 약간 변경했는데 어떨지 모르겠습니다. ADT Kastron 380DS w/ R200s용 코마커렉터 AP EQ1200 GTO ST-10XE w/ ...
    Date2006.08.07 CategoryGalaxy By황인준 Views1428
    Read More
  19. 060804-M33

    촬영일: 2006년 08월 05일 새벽 촬영지: 덕초현 망원경: SMC 12"(300mm Newtonian, f4) 적도의: GEMINI 40 카메라 : SBIG 2000XM(-10도) RGB : 각3min x 5, x4, x4(2x2) L : 3min x 12(1x1) 지난 토요일 새벽 덕초현에서 촬영한 M33 입니다. 은하의 크기가 크...
    Date2006.08.07 CategoryGalaxy By박정용 Views1323
    Read More
  20. M33 - 2

    금요일 새벽에 강원도에 다녀 왔습니다. 결혼 후 처음 가는 일이라 눈치 보다 과감히 결단 내리고.... 다행이 하늘이... 몇년만에 아니 처음으로 8월에 은하수가 눈에 들어 오더군요... 결단 내린 것이 정말 다행 인것 같습니다^^; 정말 오랜 만에 찍어 보는 ...
    Date2006.08.07 CategoryGalaxy By조창우 Views1109
    Read More
  21. 060812_m15

    지난 2006년 8월 12일 토요일 밤부터 일요일인 13일 새벽까지 계속된 관측에서 얻은 이미지 입니다. 기상 조건이 좋지 못하여 이미지가 좋지 않습니다. 이미 박정용씨의 이미지에서 확인 하셨겠지만.... 찍어논 이미지라서 어떨결에 만들어 올립니다. 지난 일...
    Date2006.08.16 CategoryGalaxy By최승용 Views1165
    Read More
  22. 060803-NGC891

    촬영일: 2006년 08월 4일, 새벽 촬영지: 경기도 안산 일대학 망원경: SMC 12"(300mm Newtonian, f4) 적도의: GEMINI 40 카메라 : SBIG 2000XM(-30도) RGB : 각3min x 5, x4, x4(2x2) L : 3min x 15(1x1) 지난 8월3일 촬영된 입술입니다. 입술주름도 잘 보이고...
    Date2006.08.16 CategoryGalaxy By박정용 Views1608
    Read More
  23. 안드로메다(사진추가)

    2006. 8. 28 양평 폐가 EF200mm F2.8L(2.8) 300D w/o LPF iso800 5minx6 EM200 Temma2 no-touch guide 주변부 크롭 후 50% 리사이즈 회원가입후 첫 포스팅입니다. 부족한 사진이지만 더 이상 미룰 수 없어 올립니다. ^^ 올 여름도 거의 다 지나 가네요. 곧 천...
    Date2006.08.30 CategoryGalaxy By이상헌 Views1420
    Read More
  24. 안드로메다

    부산 동호회 회원 한 분으로부터 경통을 넘겨받았습니다. 옥션표 150mm F5 반사 망원경입니다. 테스트차 한 컷 찍어봤는데 기념으로 올려봅니다.. ^^; EOS 300D, ISO 800, 245" 1매 코마 코렉터를 사용하면 수차가 좀 개선이 될지 의문입니다..
    Date2006.09.04 CategoryGalaxy By권기식 Views1033
    Read More
  25. NGC253

    아주 오랜만에 사진을 찍었습니다. 근 5개월간의 공백을 매우고 싶은 마음에 이것 저것 짧게 많이 찍은 것 같습니다. 이번에 처음으로 3인치 코랙터를 테스트했습니다. 그리고 미러셀 부분을 손을 본 후 처음 촬영이었는데 시상도 좋았겠지만 변경결과가 아주...
    Date2006.09.04 CategoryGalaxy By황인준 Views1513
    Read More
  26. M31

    ||12일 양평에서 촬영한 M31입니다. 새로 오븐에 구운 CCD건조제 테스트용입니다. 결론은 그럭저럭 잘 구워졌다이고 flat은 이전것을 썼으나 역시 새로 찍어야 한다였읍니다. FSQ106+STL11000 L: 600x3 RGB: 300x1 each crop & resize
    Date2006.09.06 CategoryGalaxy By강문기 Views1351
    Read More
  27. 060906-M31

    촬영일: 2006년 09월 07일 새벽 촬영지: 경기도 안산 일대학 망원경: SMC 12"(300mm Newtonian, f4) 적도의: EQ 1200 GTO 카메라:SBIG 2000XM(-10도) RGB : 각3min x 5, x4, x5(2x2) L : 3min x 10(1x1) 안드로메다를 적당한 화각에 멋들어지게 찍고 싶은데 ...
    Date2006.09.09 CategoryGalaxy By박정용 Views2131
    Read More
  28. M33 바람개비 은하

    2006년 9월 1일 덕초현 천문인마을 원격천문대 KASTRON 12.5" F5 (w/r200cc) EQ1200GTO STL-11000M LRGB = 60m 15m 15m 15m 이달 초에 날이 좋아 간만의 원격촬영을 했었습니다. 키보드의 F11을 눌러 보세요.
    Date2006.09.14 CategoryGalaxy By이건호 Views1349
    Read More
  29. m33 by 바이삭

    10분 * 19 em200, 바이삭(f7.1), st2000xcm 어제 벌초후 피곤했지만...하늘이 대박날 조짐을보여 작업들어갔습니다. 새로 이동용으로 마련한 em200 템마와 바이삭을 첫가동해 보았습니다. 바이삭에는 간이리듀서(클로우즈업필터 no2)를 이용해 f를 7.1로 만들...
    Date2006.09.25 CategoryGalaxy By도영재 Views1224
    Read More
  30. 060923-M31

    촬영일: 2006년 09월 23일 촬영지: 천문인마을 망원경: FSQ-106 적도의: EQ 1200 GTO 카메라:케논 20D 노출: 4min x 10(ISO 800) 천문인 마을 스타파티때 참가하여 모처럼 보고싶던 분들도 만나고 하늘도 좋아서 즐겁고 그저 행복하였습니다. FSQ106을 300미...
    Date2006.09.25 CategoryGalaxy By박정용 Views1445
    Read More
  31. ngc 253

    지난 9월 23일, 덕초현 스타파티 때 찍은 두번째 이미지입니다. 지난번 헬릭스 사진에서도 언급했듯이 디카에서의 사선노이즈는 무척 심각합니다. 원인을 잘 알지 못하니 더욱 답답합니다. 같은 이미지를 처리하는 과정에서도 심하게 나타날 때가 있고 혹은 ...
    Date2006.09.26 CategoryGalaxy By고창균 Views1212
    Read More
  32. 안드로메다은하(M31)

    지난주 금요일부터 월요일까지 좋은 월령에 맑은 날씨가 겹쳐서 천문인들에게는 더할 나위없이 좋은 주말이었습니다. 토요일 덕초현 천문인마을에서 열린 스타파티장의 하늘도 상당히 좋아서 많은 천체카메라가 하늘을 향했습니다. IC 1396을 찍고나서 새벽에...
    Date2006.09.27 CategoryGalaxy By신범영 Views112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44 Next
/ 4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