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01.108.100) 조회 수 1658 추천 수 117 댓글 12


뮤론300 @f9, EQ1200GTO, ST-10XME
L: 5min x 3
2004년 2월 14일 덕초현 천문인마을
1/2 축소

4억2천5백만년 + 2일 전의 은하라는 군요. ^^


밤보석 내용 (이준석 저)
머리털자리 은하단  NGC 4889, 4874

NGC4565에서 Beta성의 서쪽으로 약 2도 움직이면 은하 북극의 바로 옆에 위치한 희미한 타원은하 NGC4889를 만나게 된다. 13.2등급에 1.0분×0.6분의 크기를 갖는 작은 은하이기 때문에 소구경 망원경으로는 작고 희미한 행성상 성운과 같이 보인다. 4억 2500만 광년 떨어져 있는 먼 은하이므로 멋진 모습을 보여 주진 못하지만 머리털자리 은하단의 한 일원으로 속해있다.

NGC 4889 이외에도 반 등급 정도 너 낮은 NGC 4874도 관측할 수 있는데 특히 10inch 급 이상의 대구경 망원경으로 NGC 4874에서 NGC 4889로 천천히 이동해 가면 약 13개의 희미한 은하들을 접하게 될 것이다. 이 일대를 머리털자리 은하단이라고 부르는데 머리털자리 은하단은 처녀자리 은하단보다 20배나 더 멀리 떨어져 있으며 적어도 1000여개의 은하들로 이루어졌다. 조그만 렌즈형, 타원형 은하들이 모여 있는 형태를 띠고 있는데 8inch급 망원경을 사용하면 동서방향으로 늘어져 있는 것이 보이며 10inch급 망원경을 사용하면 더 밝은 타원형의 중심부가, 더 큰 망원경으로는 NGC 4889주변에 다른 13개의 은하들이 들어올 것이다. 만약 여러분이 NGC 4874에서부터 천천히 이동한다면 모두 17개의 은하를 보게 될 텐데 이와 같은 모습을 보려면 적어도 10inch급 이상의 망원경이 필요하다.
  • 선숙래 2004.02.16 13:44 (*.148.226.69)
    우주를 보면 대개 오래 살고 있는 듯한 생각이 듭니다.4억년전 은하를 보고 있다니 말이죠.우주의 심연을 보는 것 같습니다.
  • 최원균 2004.02.16 14:23 (*.159.80.60)
    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주 인상적입니다.
    점점 촬영대상에 차별화를 두시는군요.~
    이번에는 별다른 음식생각이 안납니다.^^
  • 이건호 2004.02.16 15:59 (*.101.108.100)
    별보다 은하가 많은 곳 같습니다. 그리고 음식 보단 곤충들이 떠오르지만 차마 말 못합니다. ^^
    밝은 별을 찍고 나면 CCD에도 그 잔상이 몇십분 동안 남던데, 어찌된 일일까요? 이사진에도 일부 나타나서 애를 먹었습니다.
  • 이준화 2004.02.16 17:28 (*.249.97.68)
    정말 많은 은하들이 찍혔군요. 보기 좋습니다.

    밝은 별의 잔상이 남는것은 CCD 의 특징입니다. 사진을 한장 찍은후 짧은 노출로 1장 또는 여러장(실험을 통해서 매수를 정합니다) 찍어서 읽어버리면 밝은 별에의한 잔상은 사라질 겁니다.
  • 황인준 2004.02.16 20:17 (*.53.139.112)
    히야~~ 요즈음은 말이 필요없습니다..
  • 이건호 2004.02.16 21:27 (*.168.190.118)
    그렇군요. 아크투르스를 자동도입 정렬하는라고 잡았었는데, 20여분간 잔상이 사라지질 않아서 해맸습니다. 회로에 이상은 없나요? 규정이상으로 밝은 빛이 들어가도...
  • 이준화 2004.02.16 23:05 (*.249.97.68)
    회로에 이상은 없습니다. 걱정안하셔도 되리라 생각합니다.
  • 김영혜 2004.02.16 23:39 (*.125.37.119)
    히야~~~~~~~~~~~~~~~
    은하가 참 많군요.^^
  • 최승용 2004.02.17 12:01 (*.187.167.129)
    건호씨의 특별한 사진이군요.
    희미하지만 많은 은하들....
    정말 궁금한 곳이기도 합니다.^^
  • 육호준 2004.02.18 02:07 (*.178.35.229)
    굿샷!!!!
  • 김영렬 2004.02.18 05:32 (*.162.8.146)
    이번에는 산개성단이 아니라 산개은하 군요.
  • 이건호 2004.02.18 09:11 (*.101.108.100)
    봄이 오니 산개성단은 잠시 막을 내리고 은하들 사진이 주류가 될거 같습니다. 김경식님의 요청으로 찍어 본 곳인데, 좀더 샤프하지 못해 아까웠습니다.

  1. M77 고래자리 나선은하

    M77 2004년 12월 13일 덕초현 천문인마을 LRGB 30m, 15m, 15m, 15m GSO12", EQ1200GTO, ST10XME *이전사진 http://astrophoto.co.kr/zeroboard/view.php?id=pic_galaxy&no=17
    Date2005.01.19 CategoryGalaxy By이건호 Views1127
    Read More
  2. Abell 426

    페르세우스자리 은하모임 Abell 426 2004년 12월 15일 덕초현천문인마을 LRGB 50m, 15m 15m 10m GSO12", EQ1200GTo, ST10xme NGC 1275 (왼쪽 중앙부) 알골의 북동쪽 2도 지점에 있고, 은하중심에 블랙홀이 있을 것이라고 추측 한다고 합니다.(밤하늘의 보석).
    Date2005.01.20 CategoryGalaxy By이건호 Views874
    Read More
  3. M106

    저녁에 찍은 사진인데 전번 출사 2박 3일은 모두 초저녁이 시상이 극명하게 좋지 않았습니다. 항상 새벽이 되면서 좋아지더군요.. 사진 역시 노출시간 그리고 시상덕에 촛점을 잘 맞출수가 없었고 해서 사진이 삐리리 합니다.
    Date2005.01.20 CategoryGalaxy By황인준 Views1210
    Read More
  4. M106

    C11 ,ST10XE, EM200 TEMMA PC L =10*6, RGB=10*2(2*2) 저번관측에서 찍은 이미지인데 역시 초점 문제로 상이 삐리리합니다.^^ 이미지 처리도 어쩔 수 없이 과하게 되었구요.
    Date2005.01.22 CategoryGalaxy By정민경 Views1061
    Read More
  5. M51

    C11 ,ST10XE, EM200 TEMMA PC L =10*8, RGB=10*2(2*2) 아래 106찍기전날 찍은것 같습니다. 이번에도 삐리리 입니다. 여러가지 문제점중에 가장 큰 원인이 가대가 무게지탱을 하기 어렵다는 결론에 이르렀습니다.(사실 그전부터 알긴는했지만....) 결국은 제일...
    Date2005.01.23 CategoryGalaxy By정민경 Views1222
    Read More
  6. NGC 3359

    디테일을 표현하기에는 촛점거리의 아쉬움이 남는 사진입니다. 제가 좋아하는 부류인 막대나선인데 아쉬움이 남는군요. 나중에 빅센 R200용 익스텐더를 이용 해 볼 생각입니다. 촛점도 맞지를 않았습니다. HO-BYM 292FN AP EQ1200 ST-10XE w/ CFW-8a(-40) L :...
    Date2005.01.24 CategoryGalaxy By황인준 Views1024
    Read More
  7. M90

    M90 처녀자리 2004년 12월 19일 덕초현천문인마을 LRGB= 75m 15m 15m 15m GSO12", EQ1200GTO, ST10XME 실화각: 대각선 약 1/2도, 북쪽이 사진에서 아래방향 촬영한지 좀 지난 은하로 이제서야 처리를 했습니다. 겨울에 찍었던 사진들이 대략 다 정리가 된듯합...
    Date2005.01.25 CategoryGalaxy By이건호 Views1113
    Read More
  8. NGC4565_20D

    지난 1월 8일 찍은 사진 이제서야 편집해 올립니다. 자꾸 게을러 지는것 같아 걱정 이네요... CCD사진과 비교 되지만 그래도 올려 봅니다.... 자작 12inch F4 reflector,With Vixen R200SS Coma Corrertor NJP Temma PC, ST-5C Guide With Sky-90, EOS 20D, N...
    Date2005.01.27 CategoryGalaxy By조창우 Views1009
    Read More
  9. M104_20D

    역시 지난 1월 8일 찍은 사진 입니다... 생각보다 정말 작더군요... 클줄 알았는데...^^; 문득 작년 생각을 해보니, 1년 내내 망원경, 사진 고민만 하다 1년을 보냈던 것 같습니다... 올해는 좀 여유 있게 취미 생활을 해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자작...
    Date2005.01.27 CategoryGalaxy By조창우 Views1139
    Read More
  10. NGC5078 & IC879 _20D

    줄줄이 올립니다... ^^; 역시 지난 1월 8일 찍은 사진 입니다. 남쪽 대상을 찾아 보다가 흥미로운 대상이 보여 찍어 보았는데.. 너무 작아서 볼품이 없습니다. 남쪽 낮은 위치라 많이 타고 Detail도 떨어지고...찍다가 중도에 포기 하고 구상 성단을 몇개 찍...
    Date2005.01.27 CategoryGalaxy By조창우 Views1080
    Read More
  11. M84 M86 M87

    처녀자리에 속해있는 은하단의 일부로, 메시에 목록의 세개의 밝은 타원은하 M84(우), M86(우중), M87(좌하)를 한 화면에 보여줍니다. NGC4438 : The Eyes 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는 나선은하(중앙) 마카리안 체인: M84 M86 NGC4438을 거쳐 좌상단으로 뻣어가...
    Date2005.01.31 CategoryGalaxy By이건호 Views1376
    Read More
  12. m81 test

    70초 20장 sxv-h9 fsq 4인치로 암흑대의 표현이 가능할까 고민했었는데... 가능하군요^^
    Date2005.02.03 CategoryGalaxy By남명도 Views1055
    Read More
  13. 81.82양평에서

    2월5일저녁 양평에서 RGB(2X2)각 7장씩(130s) L 1x1 16장(130s) EM200t2jr 노터치 가이드 다카하시 FSq-106 , SXsxv-h9 맥심에서 --->합체 포샵 에서--->변신 구름때문에 아쉬움이 많은 사진입니다. 역시 양평엔 습기가 많더군요.^^ 81나선팔에 붉은게 몇개나...
    Date2005.02.06 CategoryGalaxy By남명도 Views1162
    Read More
  14. 레오 트료

    양평에서 음력 1월1이 새벽에 찍었습니다. Em200 t2jr SXV-h9 FSQ-106 RGB 4분 4장 L 4분 5장 윗 이미지 리사이즈 아래이미지 원본(맥심 합성후 포샵에서 레벨조절) 오토가이더 설정하다가 ..구도가 약간 치우쳤습니다.
    Date2005.02.09 CategoryGalaxy By남명도 Views965
    Read More
  15. m101

    4인치의 구경으로 무작정 도전해본 M101입니다. 4인치로는 힘들다는걸 느껴봅니다. 사양은 아래와 동일
    Date2005.02.09 CategoryGalaxy By남명도 Views820
    Read More
  16. M101

    나다 제1 천문대에서 마지막 날에 찍은 사진입니다. 적당히 들어오는 화각이기도 하고 해서 기대를 많이 했습니다만 옅은 구름이 오락가락 하는 바람에 충분한 노출을 주지 못한 것이 아쉽습니다. HO-BYM 292FN AP EQ1200 ST-10XE w/ CFW-8a(-30) L : 50min R...
    Date2005.02.10 CategoryGalaxy By황인준 Views1007
    Read More
  17. M83

    M83은 개인적으로 막대 나선을 좋아하는 저로서는 정말 잘 찍어보고픈 욕구가 생기는 은하입니다. 그중 M83은 북반구에서 겨우 찍을 수 있는 대물 중 대물인데 고도가 아주 낮습니다. 이날도 투명도가 좋지 않은데다 고도가 낮으니 촛점이 천정 부근과 틀려 ...
    Date2005.02.11 CategoryGalaxy By황인준 Views989
    Read More
  18. M65 & 66

    HO-BYM 292FN AP EQ1200 ST-10XE w/ CFW-8a(-30) L : 95min(1X1) RGB : 16min ea.(1X1) 나다 제1 천문대 덕초현 천문인 마을 2005. 2. 4
    Date2005.02.11 CategoryGalaxy By황인준 Views1057
    Read More
  19. [ST-2000XM] M101

    Equipment - 코스모스 FL-152 (D=152mm fl=1200mm, fluorite refractor) - SBIG ST-2000XM (-30도) - EM-200 Temmar II Exposure - LRGB = 90m 15m 15m 15m Image Processing - MaXim : Image combine - StellaImage : DDP filter and Level, Curve - Photosh...
    Date2005.02.12 CategoryGalaxy By김승남 Views967
    Read More
  20. M95 M96 M105

    어제 덕초현에서 찍은 사자 앞다리에 있는 또 다른 트리오 입니다. 원본 크기 그대로 올려봅니다. 숨은 그림 찾기 입니다. 찾아보세요 장미찍던 막간에 찍어보았습니다. LRGB=60:20:20:20 (2장 모자이크)
    Date2005.02.14 CategoryGalaxy By박현권 Views951
    Read More
  21. M65, 66, NGC3628

    일시 : 2005년 2월 13일 장소 : 부모님이 경작하시는 밭 일명 레오트료.. 저도 한번 찍어 보았습니다.
    Date2005.02.15 CategoryGalaxy By김일순 Views802
    Read More
  22. M101

    2월5일 저녁 덕초현 천문대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TRUE-BALANCE 필터에 LPS-P1 광해필터를 끼우고 촬영했더니 색균형이 맞지 않았습니다. 특히 붉은색은 Ha 를 찍은 것 처럼 찍혔습니다. 색상조정을 해도 제대로된 색이 나오지 않습니다. 결국 화려한 은하를 ...
    Date2005.02.15 CategoryGalaxy By이준화 Views1019
    Read More
  23. M81 Bode's Galaxy

    3일동안 거르지 않고 찍은 대상입니다. 워낙 좋아하는 은하이기에 정말 마음먹도 도전을 했습니다만 투명도가 떨어지고 구름이 오락가락 하였기에 기대만큼은 아닌 사진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은하 위에 형제 은하인 어두운 놈이 찍혔네요. 자세히 보십시오.....
    Date2005.02.16 CategoryGalaxy By황인준 Views1303
    Read More
  24. M64 Black eye

    이번 출사에서 이 대상을 찍을때가 가장 하늘상태가 좋았습니다. 역시 대구경과 고감도 CCD는 보여지는 것도 많은 것 같습니다. 당장은 RC 부럽지 않은 생각입니다. HO-BYM 292FN AP EQ1200 ST-10XE w/ CFW-8a(-40) L : 70min(1X1) 2005/2/12 RGB : 15min ea(...
    Date2005.02.16 CategoryGalaxy By황인준 Views1140
    Read More
  25. Leo Triple_050213_광덕산(이미지 재처리)

    작은 은하를 300D로 촬영한 것은 처음입니다. 그러나 어찌되었건 이미지처리는 무척 힘이드는군요..김일순님걸 흉내내보려고 무던 애를 써봤지만 허탕인 듯 합니다..ㅎㅎ 망원경: Vixen R200SS w/Coma Corrector(Fl=800, F/n=4) 마운트: Vixen Atlus 노터치 ...
    Date2005.02.16 CategoryGalaxy By박대영 Views976
    Read More
  26. M81 큰곰자리 나선은하

    GSO-12"Newtonian, Televue-Paracorr, SBIG-ST10XME, AP-EQ1200GTO LRGB 50m, 15m, 15m, 15m Two frame Mosaic 2004년 11월~2005년 2월 덕초현천문인마을 두장 모자익사진입니다. 촬영한지 꽤 되었는데, 좀 부족하다 싶어 지난번 관측때 중앙부만 보충촬영해...
    Date2005.02.17 CategoryGalaxy By이건호 Views1136
    Read More
  27. NGC 5360, 5363 & 5364

    예전에 ST-7E로 찍었던 적이 있는 사진입니다. 의외로 개성있는 은하라서 다시 찍어보았는데 역시 날씨가 따라주지 못했고 종합 노출시간이 부족했습니다. 게다가 어둡기까지... 장 촛점으로 찍어보고 싶은 은하입니다. 역시 공을 들인 사진과는 차이가 많이 ...
    Date2005.02.19 CategoryGalaxy By황인준 Views879
    Read More
  28. M106_20D_0205

    버젼 입니다... DSLR로 찍은 사진이 없기에.. 찍어 보았습니다. 앞에 올려진 세계적인 M106들과는 비교가 되지 않지만... 그래도 디카 나름대로의 느낌이 색다른 것 같습니다... 2005.02.05 덕초현 중앙 천문대 12" F4, FL1200mm + Coma Corrector + LPSP2 NJ...
    Date2005.02.19 CategoryGalaxy By조창우 Views765
    Read More
  29. NGC4631_4627_4656

    NGC4631 - 꽁치(고래) 및 NGC4627, 4656 입니다. 이젠 게을러져 예전처럼 바로 바로 이미지 처리를 못하고 하루 몰아서 이미지 처리를 합니다... 2주전에 찍은 사진을 이제서야 처리 하니... 급하게 건성건성 처리 하게 됩니다... 이러면 않되는데..... 아직...
    Date2005.02.19 CategoryGalaxy By조창우 Views792
    Read More
  30. M83...

    시간에 쫗기어 앞의 4631와 반반씩 찍었습니다... 사실 M83만 40장 찍어 보려 하였으나... 남쪽에 구름이 지나는 바람에 앞의 4631을 19장 구름이 없어진 후 M83을 18장 찍게 되었습니다.... 합성 매수가 아쉽지만... 2005.02.05 덕초현 중앙 천문대 12...
    Date2005.02.19 CategoryGalaxy By조창우 Views809
    Read More
  31. NGC 891

    무언가 지난 초겨울날 빼먹은게 있었던것 같았는데... 생각해 보니 891을 찍어 보질 못해서 부랴 부랴 2월 10일 초저녁 부터 찍어 보았습니다. 노이즈를 감추려고 적색은 죽이다 보니 배경 색이 이상 합니다... 있는데로 나둘걸.... 그래도 경통 업그레이드 ...
    Date2005.02.19 CategoryGalaxy By조창우 Views827
    Read More
  32. M33_050211

    예전에 찍은 M33원본 파일이 날라가 버려 늦겨울에 급하게 다시 찍었습니다... 예전에는 ISO 1600으로 찍었었는데.. 이번에 귀차니즘으로 그냥 ICO 800에 놓고 찍었습니다... 전체 30장중 중앙천문대 뒷산 나무 및 지붕에 걸려 7장을 버렸습니다.... 그래도 ...
    Date2005.02.20 CategoryGalaxy By조창우 Views88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44 Next
/ 4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