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 IC2118 - 마귀할멈성운(Witch Head Nebula)- D3 TEst shot

    ||1너무나 간만에 나갔었습니다. . 오랜만에 해서그런지 세팅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렸습니다. 춥고.. 배고프고.. ..... 고정관측지가 부럽습니다...ㅠㅠ 첫째사진 주말에 D3로 Test 겸 찍어본 마귀할멈성운입니다. 빨간놈들은 잘 않찍힐것같아서 일부러 시퍼...
    Date2008.12.29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602
    Read More
  2. IC443

    Date: 2008. 12. 27(아산 호빔천문대) Camera: QHY8(one-shot color) Exposure: LPS-P2 (800s 4장) Ha (800s 6장) Optics: TMB 130SS within AP0.75x리듀서 Mount: Takahashi Temma2 Guide: Meade DSI(GPUSB Guiding) 오랜만에 호빔천문대를 찾아 황인준 선배...
    Date2008.12.29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422
    Read More
  3. IC2177_081228

    시골로 내려온 후 이런 저런 일때문에 좋은 하늘임에도 불구하고 한동안 사진을 찍지 못했습니다. 그러다가 어제 오전에 마당에 장비를 설치해두었다가 퇴근 후 집에 와서 찍었습니다. 양평관측지에서는 할 수 없었던 저고도의 남천대상이 우선 공략대상이라 ...
    Date2008.12.28 CategoryNebula By박대영 Views1273
    Read More
  4. NGC2174... 윙크하는 성원숭...

    ||1역시 양동면 임도에서 26~27일에 찍은 이미지입니다. 촬영도중 뱃더리가 방전되는 바람에 이미지를 찍다가 멈췄습니다..약간 아쉽네요 성원숭은 디지몬에서 나오는 원숭이 캐릭터 중 하나입니다.. [2008.12.26~27] 양평군 양동면 임도.. - Newtonian 10inc...
    Date2008.12.28 CategoryNebula By조용현 Views1486
    Read More
  5. 081226_ngc2264

    2008년 12월 26일 호빔 천문대에서 첫 촬영이 시도 되었습니다. 그동안 이동 관측으로 인한 체력낭비가 심했는데 황인준씨 도움으로 고정관측을 하게 되었습니다. 적도의도 이건호씨의 Skymax V를 인수하여 설치하고...... 적도의도 NJP보다 크고 anygoto가 ...
    Date2008.12.28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497
    Read More
  6. EOS 5D Mark II로 찍은 말머리 성운입니다.

    EOS 5D Mark II로 찍은 말머리 성운입니다. 400mm로 촬영하였구요. ISO 1600에서 5분 노출한 6장의 이미지를 합성하였습니다. 촬영장소는 호빔천문대 입니다. 이전에 호빔에 갔었을때는 제가 워낙에 운이 없어서 몇번 연속으로 날씨가 나쁘거나 습하거나 그랬...
    Date2008.12.28 CategoryNebula By박성래 Views1281
    Read More
  7. 오리온&말머리 성운

    크리스마스날 하늘이 하도 눈이 시려워서 마음은 콩밭이라 낮에 집사람과 애들한테 아양떨고 겨우 꼬셔서 별마실 다녀왔습니다.^^ 5D에 EF200 2.8인데 노터치 3분 으로 찍어보니 가운데는 그럭저럭인데 주변부는 날르네요.이것도 마스킹해서 F4정도로 해야하...
    Date2008.12.27 CategoryNebula By김삼진 Views1359
    Read More
  8. IC443+M35_081225

    지난 12월 6일 이후로 단 하루도 쨍한날이 없어서 12월 기상치곤 답답한 날을 보내야 했습니다. 아기다리고기다리던 맑은 날이 간만에 찾아오자 망설임없이 연말송년회약속도 내팽개치고 광덕산으로 달려갔습니다. 마당엔 간만에 4대의 EM200 TEMMA2_Jr가 약...
    Date2008.12.27 CategoryNebula By김호섭 Views1290
    Read More
  9. EOS 5D Mark II로 찍은 M45입니다.

    원래는 약간 초점이 안맞았습니다만, 이렇게 저렇게 해서 이미지처리로 인해 부은듯한 느낌이 들도록 해 보았습니다. 가이드가 잘 안되서 별이 약간 찌그러지기도 하고 그렇네요. 원래 RAW 촬영 후 DPP에서 RAW 현상 하려고 마음먹고 있었습니다만, 찍고나서 ...
    Date2008.12.27 CategoryNebula By박성래 Views1363
    Read More
  10. 해파리성운(IC443)

    해파리성운입니다. 몇번 찍어보게 되는데 초신성잔해(ic443)와 반사성운(ic444)의 다른 색감이 이채롭네요. 온도가 내려가니 초점 조정장치가 먹통이 되어 버려서, 아쉬운 디테일의 사진이 되었습니다. [촬영정보] - Pentax 125SDP (+reduser F4.9) - NJP Tem...
    Date2008.12.26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451
    Read More
  11. 하트성운 IC1805

    같은날 찍었어요 구도가 틀렸습니다.....ㅠㅠ Penatx 100 SDUF ASTRO 350D EM200 Tjr ISO 1600 7min x 28 2008.12.25 강원도 화천 별만세 관측소
    Date2008.12.26 CategoryNebula By최훈옥 Views1301
    Read More
  12. 태아성운 IC1848

    올해도 외롭고 심심했던 크리스마스가 될뻔하였으나 날이 좋아서 ㅎㅎ 별과 함께하는 크리스마스가 되었습니다. Penatx 100 SDUF ASTRO 350D EM200 Tjr ISO 1600 7min x 19 2008.12.25 강원도 화천 별만세 관측소
    Date2008.12.26 CategoryNebula By최훈옥 Views1233
    Read More
  13. IC443 & NGC2174

    12월 18일 날이 좋아보여서 달뜨기전 까지 부지런히 찍었습니다 만 이리 저리 처리하는데 시간을 많이 투자해도 영 마음에 안듭니다.^^ FSQ 106ED에 리듀샤를 장착하니 F/3.5가 되나요...한 화각에 손오공까지 거뜬이 들어오네요. 회원 여러분 즐거운 성탄과 ...
    Date2008.12.25 CategoryNebula By김삼진 Views1353
    Read More
  14. Ced214 in Cepheus

    세페우스자리의 카시오페아 방향에 있는 발광성운으로 크기는 50분X40분 정도입니다.(왼쪽이 북쪽이고 10시방향에 있는 작은 산개성단은 B59, 더 왼쪽-북쪽에 캘리포니아성운처럼 길게 드리워진 NGC7822이 있는데 사진에는 안나왔습니다.) 전체적으로 붉은 기...
    Date2008.12.22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410
    Read More
  15. 내겐 너무 어려운 M1(crab nabula)...

    ||1게성운 정말 어렵네요...메세에 1번부터 이러니... 복잡한 중심부가 표현도 잘 안되고 ...이미지도 이쁘지 않고.... Ha 영역의 처리 미숙으로 바탕은 붉은기가 돌며 거칠고... 은하 찍으로 갔다가 찍어본 이미지입니다.. 2008.12.18 양동면 임도 -10inch n...
    Date2008.12.21 CategoryNebula By조용현 Views1459
    Read More
  16. EOS 5D Mark II로 찍은 M27입니다.

    오랜만에 올려봅니다. 예전에 양산품 출시전에 나온 테스트 바디로 찍었던 사진입니다. 9월 중순말경에 찍은 사진이라 촬영 데이터가 없네요. 하여간 뭐 이정도로 나옵니다. 렌즈는 EF 800mm f5.6 L IS USM 사용했습니다.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Date2008.12.19 CategoryNebula By박성래 Views1405
    Read More
  17. M42 & NGC1977...

    12월 초에 찍고서 그동안 바쁜일로 이제서야 얼렁뚱땅 이미지를 만들었습니다.~~ 자주 드르지 못하다가 와 보니 엄청난 이미지들이 올라와있었습니다.. 숨이 막힐 지경인 작품들 뿐이네요.. 그럴땐 이런 소박한 맛을 보는 것도 또 다른 재미가 될수도... 기가...
    Date2008.12.18 CategoryNebula By조용현 Views1549
    Read More
  18. M42 / Wisps of the Great Orion Nebula

    매 계절이 다가올 때마다 겨누는 오리온 자리의 밝은 대상.. 늘 안시를 한다해도 가장 먼저 겨누고는 하지요. 북반구에서 볼 수 있는 가장 아름답고 밝은 대상인 이 대 성운을 불루밍 덕에 겨눌 수 없어 한이 맺히기도 했던 대상입니다. 좀더 많은 노출을 주...
    Date2008.12.15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2116
    Read More
  19. IC434 (Horsehead Nebula) in Orion

    바람의 등쌀에 떠밀려 ADT320 반사망원경을 내리기 전날 그냥 지나기 아쉬워 찍어 보았습니다. 불꽃성운을 집어넣으려 지난겨울 찍었던 이미지에 비하여 화각을 이동하였는데 이미지처리를 하고 보니 결국은 일부가 짤린 어정쩡한 화각이 되고 말았습니다. 11...
    Date2008.12.15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782
    Read More
  20. NGC2237 Rosette Nebula - Mapped Color

    ST 10XE의 네로우 밴드 필터로 색정보를 얻어 11K의 Ha 이미지와 HaSiiHaOiii 한 것을 가지고 11K의 것의 화각안에 넣어 보았습니다. 10XE의 화각이 훨씬 작아 어려운 작업이기는 하지만 나름 기대하는 정도의 사진은 나오는 것 같습니다. 결국 총 11시간 노...
    Date2008.12.14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831
    Read More
  21. NGC1333 - 페르세우스자리 거시기...

    -NADA 제1천문대 -ADT Kastron 380DS w/ Paracorr -AP EQ1200 GTO -ST-10XME w/CFW-8A(-30, -40) -L : 400초X35장(1X1) -R : 400초X9장(2X2) -GB : 각 400초X10장씩(2X2) -2008. 11/03, 1/04, 11/29, 12/02 많이 찍었는데도 이미지가 좀 거칩니다. 이정도면 ...
    Date2008.12.13 CategoryNebula By김일순 Views1877
    Read More
  22. IC410

    연말연시 안녕들 하시지요? ^^ 지난주 금요일 바람 많던 날 새벽에 찍었는데 ST10으로 찍다보니 블루밍 처리를 잘 못해서 올챙이 표현이 잘 안되었고 건조제를 다시 재생 해야할듯 싶습니다.바탕에 까만 점들이 생겨서 처리하느라 많이 힘들었습니다.^^ 2008-...
    Date2008.12.12 CategoryNebula By김삼진 Views1329
    Read More
  23. ic443 해파리

    지난번 올린 해파리에 색상을 입힌 버전입니다. 먹물대신 피를 토하는 해파리로 업그레이드 하였습니다. EM200+Epsilon180ED Carbon+STL11000C1 HaRGB=120:9:9:9 유리별-하늘이 천문대 2008-11-21
    Date2008.12.11 CategoryNebula By박현권 Views1611
    Read More
  24. ngc2237 Rosette Nebula

    지난 월령에는 좋은 날이 많이 있었습니다. 날이 맑으면 어김없이 천문대에 가서 사진을 찍고는 하는데 장비의 세트가 많아서인지 늘 머리속이 멍해지곤 합니다. 더우기 별지기와 함께라면 그 즐거움에 귀차니즘이 발동을 하기도 합니다. 예전 나다천문대에서...
    Date2008.12.10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775
    Read More
  25. 081206_M1

    2008년 12월 6일 토요일 천문인 마을에서 촬영한 게성운 입니다. 초저녁에 도착한 천문인 마을은 맑은 하늘에 반달이 휘엉청 밝았씁니다. 날씨는 추었지만 차안에 있던 장비라서 냉각 겸해서 게성운을 찍었는데.... 역시 별상이 엄청 큽니다. 이미지도 시퀀스...
    Date2008.12.10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641
    Read More
  26. [필름] 오리온 + 말머리

    오랜만에 포스팅입니다. 디지털 사진 동호회에 필름 사진만 계속 올려서 죄송하기는 한데 저는 아직까지 필름 사진이 손에 익어서 이게 편하네요. 필름 사진 올린다고 짜르시지는 않겠죠? 2008. 12.5~12.6 횡성 덕초현 중앙천문대 별통 125ED (Borg 125ED) D=...
    Date2008.12.10 CategoryNebula By이준희 Views1695
    Read More
  27. Orion

    이 역시 금요일 밤에 찍었습니다. 투명도 좋고 시상도 괜찮은 1년중 몇 안되는 날이었습니다. 예전에 짜이스 185미리와 QHY-8로 실패를 본 사진인데 이번에는 핀은 맞았으나 프랫을 제대로 찍지 못해 아쉬운 사진이 되고 말았습니다. 본격적인 촬영을 또 다음...
    Date2008.12.09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569
    Read More
  28. NGC2264(Christmas Tree Cluster) in Monoceros

    외뿔소자리에 있는 NGC2264는 생긴 모양대로 크리스마스트리 성운으로 알려져 있고 트리 맨 위의 역삼각형 모양의 어두운 성운은 Cone(원뿔)성운입니다. 트리에 전구를 많이 달기 위해서 별상을 좀 강조하였습니다... 그러고 보니 크리스마스가 며칠안남았네...
    Date2008.12.09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492
    Read More
  29. M42

    조인제씨의 입실론 180의 광축을 맞춰보고자 잠시 관측실 안에 설치를 했었습니다. F2.8의 빠르기에 비해 조정장치의 섬세한 조정이 불가능하거나 각종 유격들의 허용오차 범위 밖에 광축이 있었습니다. 특성상 아주 정확한 광축과 감광면까지의 거리거 맞아...
    Date2008.12.09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818
    Read More
  30. IC2177 Seagull Nebula

    지난 금요일 날이 추워지면서 좋은 하늘을 밤새도록 준 그 날이었습니다. Astro350D는 임재식님한테 불하 받은 것으로 200미리 1.8과 만나면 어떤 성능을 보일까 궁금해서 고도도 낮은 넘이지만 겨누어 보았습니다. 한 화각에 헬멧도 들어가는데 아쉽습니다. ...
    Date2008.12.08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471
    Read More
  31. ngc2237_081202

    비슷한 이미지 자주 올린다고들 하실까봐 그게 그거 같으면서도 조금 다른 이미지 인데도 올리기가 망설여지네요. 어쩐일인지 제 FD300도 고샘경우 처럼 전체의 1/4분면에서 별상이 약간 길어지는 현상이 있습니다. 이날 훈옥군과 같이 광덕산 별만세 관측소...
    Date2008.12.08 CategoryNebula By김호섭 Views1366
    Read More
  32. NGC2237(Rosette Nebula) in Monoceros

    바람때문에 반사경통으로 가이드하기가 어려운 날이 많아져서 FSQ106으로 경통을 바꾸었습니다. 1년 만에 올리는 경통이라 다시 익숙해지려면 약간의 시간이 필요할것 같습니다. 지난 12월2일 결혼19주년 밤, 아내를 위하여 세상에서 가장 큰 장미 한송이를 ...
    Date2008.12.08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49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