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 오리온 중심부

    제목 : 오리온 중심부  망원경/렌즈 : William Optics WO-STAR71 (전면 65mm masking, D=65mm, f=350mm) 카메라 : Canon 6D (CentralDS 적외선필터 개조) 마운트 : 다카하시 P2 노출정보 : 30초 X 6 + 2분 X 85 (ISO3200) 촬영장소 : 수피령 촬영일시 : 2014...
    Date2014.10.31 CategoryNebula By장승혁 Views972
    Read More
  2. 북아메리카..

    NGC 7000 북아메리카 성운 맨날 이렇게 밝고 큰것만 찍어서... 엔코더 구입하면 좀 다른데로 나가봐야겠습니다 PENTAX 100 SDUF EM200 EOS350D ISO 800 x 15장합성 2006.9.22 포토샵-다크플랫처리.
    Date2006.09.25 CategoryNebula By최훈옥 Views970
    Read More
  3. M17

    경통: TEC MC250/12 with Reducer 적도의: Paramount ME 카메라: SBIG ST-4000XCM 일시: 2012년 5월 25일 장소: NADA Observatory 1 노출시간:  10분 8매, 1시간 20분 이미지 처리: ImagesPlus, Photoshop 몇가지 실수 한 것과 흐른 이미지를 버리...
    Date2012.05.26 CategoryNebula By김상욱 Views970
    Read More
  4. V1647 Orionis / McNeil 성운

    1월 초에 승남씨가 사진올린것을 보고... 레몬산 1m 망원경으로 몇장찍어달라고 부탁을 했었습니다. 1월 한달은 보고서 쓰느라.. 이제이미지 다운받아서 처리해봤습니다. . 컬러 이미지를 만들것은 아니었고... 그냥 위치 확인정도만... ^^ . 작은 이미지는 ...
    Date2006.01.27 CategoryNebula By박영식 Views969
    Read More
  5. [350D] 펠리칸성운

    ||1------------------------------------ 2006 04 28 새벽 2시경 양평 중원계곡 Borg 125ED, EOS350D w/ LPS P2 ISO 1600 x 8min x 5매 ------------------------------------ 광축문제가 아직 시원히 해결이 되지 않았지만 그냥 저냥 찍을랍니다. ^^;;; ISO...
    Date2006.04.28 CategoryNebula By유종선 Views968
    Read More
  6. M78 희미해진 McNeil 성운

    어제 저녁에 촬영한 M78입니다. 김승남님의 사라진 성운 확인을 위한 촬영이었는데, 우선 급한대로 모뎀으로 파일을 받아 보아 처리해 보았습니다. 플랫을 못찍어 먼지가 보이지만 패쓰하시구요. 저녁약속이 있어서 급히 세팅하고 나가느라 이미지가 어설픕니...
    Date2006.01.06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967
    Read More
  7. Simeis 147~~~

    서천동 번개관측으로 양평에서 찍은 황소자리 초신성 잔해입니다.. SH2 240 또는 Simeis 147로 불리는 어두운 대상입니다.. 카메라렌즈로 얼마나 찍힐지 테스트겸했는데 가능성을 보았습니다. 담에 광해가 적은 어두운 곳에 가서 다시 해봐야겠습니다. 벌써 ...
    Date2012.01.19 CategoryNebula By조용현 Views966
    Read More
  8. IC405 & IC410 ~~

    안녕하신지요~~ 설매재에서 구름 사이로 찍은 성운들입니다.. 새로 영입한 메그레즈72를 테스트하러 나갔는데... 어댑터를 놓고 가는 바람에 이틀 연속 썰매를 탔습니다.. 이틀째에는 구름이 오락가락해서 RGB를 한장씩 밖에 쓸수가 없었습니다.. 따라서 색감...
    Date2012.02.16 CategoryNebula By조용현 Views966
    Read More
  9. [re] 모자익 초기원본

    플랫처리후 레벨값 균일하게 적용한 상태입니다. 4도 x 5도 크기로 컷당 찍다보니 세로방향은 아슬아슬하게 겹쳣습니다. 3.5도 x 5.5도 화각으로 찍는게 낫겠다라는 생각이 듭니다. 포샵에서 화면왜곡?을 보정(edit>transform>distort명령사용해서..) ...
    Date2005.05.12 CategoryNebula By이윤 Views965
    Read More
  10. Heart Nebula ( IC 1805)

    ||12012.11.18 Fetus후 Heart 까지.. RGB 3x3 Test 입니다. FSQ-106 + FLI 16083 Ha 1200s x 3 , RGB 300s 3x3 각 1장씩.- 장수가 적으니 색감은 얼룩덜룩합니다. Flat이 빠지지 않아 주변부는 버리고 center부위만 Crop하였습니다. 2/3 resize하여 줄여서 올...
    Date2012.12.04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964
    Read More
  11. NGC7380, SH2-142

    세페우스에 자리한 성단 ngc7380과 성운 Sh2-142 입니다. 지난 여름에 찍었던 사진이구요, 파일 정리하다가 발견했습니다. ^^ 2013년 06월 10일 덕초현천문인마을 원격천문대 A-RO OGS14.5인치 STX16803 EQ1200GTO LRGB 각 10분씩 5장
    Date2014.02.08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963
    Read More
  12. 북아메리카 성운

    정확한 구도잡는 노하우를 빨리 배워야 하겠다고 느낀 사진이었습니다. FS102/EM200/EOS350D(리듀서) ISO 1600 5min x 6
    Date2006.08.04 CategoryNebula By최훈옥 Views961
    Read More
  13. 베일성운

    2005년 10월 22일 덕초현 천문인마을 AP130EDF, EM200, STL-11000M LRGB: 60m,20m, 20m, 20m 월령이 좋지 않았어도 일찍가서 한장 찍자는 마음으로 출사한 날입니다. 은하수라 별이 많습니다. 즐감하세요.
    Date2005.12.10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960
    Read More
  14. M17 (The Omega Nebula)

    M17 은 안시 관측하시는 분들이 숫자 2, 백조 성운 등으로 불리는데. 실제로 대구경 장비로 보면 성운의 필라멘트 구조가 보일 정도로 밝은 대상이라 여름철에 보면 즐거운 녀석이고 사진으로 찍을 경우 H-alpha 필터를 사용할 경우 디테일한 붉은 성운기를 잡...
    Date2014.06.02 CategoryNebula By김광욱 Views959
    Read More
  15. 북아메리카 성운

    거의 2달동안 星생활을 못해서 안달이 났던 나머지...어제 자정쯤 일과를 마치고 마티재로 갔습니다... 막상 도착하니, 엄청난 광해에 무엇을 촬영해야할지 난감했습니다...대전시 광해를 무릅쓰고, 북아메리카를 찍어봤습니다... 절대 노출을 오래줄수 없어...
    Date2005.04.14 CategoryNebula By박성준 Views958
    Read More
  16. NGC 3576 and 3603 in Carina

    Carina 성운 옆에 있는 성운입니다. 오른쪽 오징어 처럼 생긴놈이 3576 이고 왼쪽에 밝은 놈이 3604 입니다. Ha 로 찍었는데 나중에 확인해보니 초점이 맞지 않았더군요. 별이 퉁퉁 불어서, Ha 로 찍었다고 보여지지 않는 사진이 얻어 졌습니다. ^^ FL80s+리...
    Date2006.03.05 CategoryNebula By이준화 Views958
    Read More
  17. NGC281

    카시오페이아 자리에 있는 팩맨 성운입니다. 지난 천문인마을 스타파티때 촬영한 사진인데 요즘 일때문에 이제서야 처리를 해 보았습니다. 이것도 왕창 찍어 볼 생각이었는데 구름때문에 중도 하차하였고 , 조금씩 흐르고 시상도 나빴고 구름에 흐려진 프레임...
    Date2005.10.24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957
    Read More
  18. [st-2000xm] 오리온 대성운 3rd ed.

    캐논 FD 400/2.8L (5.6) SBIG ST-2000XM (-20도 냉각) L = 5m x 12 + 10m x 3 (1x1) RGB = 각 5m x 3 (2x2) 총 135분 20051005 충북 보은
    Date2005.10.06 CategoryNebula By김승남 Views954
    Read More
  19. IC 405, 410 M38

    ||1올해 11월에 찍은 마지막 사진입니다. 항상 이미지를 과하게 처리하게 되네요.. FSQ- 16803 L- 600s. Ha 1200s .RGB 300s 입니다. 1/3 크기로 줄여서 올립니다.
    Date2012.12.07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952
    Read More
  20. M1(CRAB)

    Object: M1(CRAB) Exposure: L4, RGB2, 1200sec Processing: Enhanced in Stellar image 4 Telescope system: 6inch Tak. Refractor, f=1200mm and 2000XM cooled CCD camera Mount: Tak. NJP Guiding: Auto guide Location: KOREA Date: 12/10/2004 KST 어제...
    Date2004.12.11 CategoryNebula By박병우 Views951
    Read More
  21. Veil

    ||1어제 날이 좋은 것 같아서.. .친구들이 근무하고있는 칠갑산 천문대에 놀러갔었습니다. 간편하게? SDUF와 EM-200, XQ-12 들구 갔었는데... 촬영돌려놓고 돕으로 하늘 보니까 참 좋네요... 얼마만에 안시를 하는 것인지... ㅠㅠ; 청양하늘도 많이 밝아졌습...
    Date2011.09.28 CategoryNebula By박영식 Views951
    Read More
  22. veil성운(ngc6960+ngc6992)

    날이 안좋아서 여름에 못찍었던 베일성운을 찍어보았습니다. 노터치로 찍으려고 5분씩 찍어서 합성했더니 성운기가 약해서 다음 기회에는 노출시간을 늘려야 겠습니다. 초점을 맞추고 시작하였는데 중간에 초점이 풀렸는지 별이 좀 부었습니다. FSQ106+EM200+...
    Date2005.09.30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950
    Read More
  23. NGC7822 + Ced 214

    금요일 밤에는 정말 춥더군요.. 바람도 많이 불어서 DSLR로 autogide를 하는것을 TEst하다가 되지 않아서 포기하고.. 200mm렌즈를 올려서.......... 일전에 찍어보았던.. 대상을 다시한번.. NGC7822 + Ced 214 200mm F2.8 Nude 20D ISO 1600 300sec 9장 합성....
    Date2005.12.04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950
    Read More
  24. 피다 만 장미

    장미 확대 촬영은 처음입니다. 어두운 대상이라 어렵네요... 2006. 1. 8 거창군 월성 수련원 Pentax 75SDHF, Takahashi EM-10B, Canon EOS 300D ISO1600, 약 360" 3매 합성
    Date2006.01.08 CategoryNebula By권기식 Views950
    Read More
  25. M78_0205

    지난 설전에 찍었던 M78 입니다. 예전에 ISO 1600으로 찍은 사진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예전에 올린 것만 못한 것 같습니다... 아래 황인준님이 올렸는데... 비교가 많이 됩니다... 2005.02.05 덕초현 중앙 천문대 12" F4, FL1200mm + Coma Corrector ...
    Date2005.02.19 CategoryNebula By조창우 Views949
    Read More
  26. [300D] 크리스마스트리성단

    -------------------------------- 2005년 12월 28일,29일 중원계곡 Borg 125ED, EOS 300D 1600 x 10min x 8장 합성 크롭후 50%리사이즈 ------------------------------- . 하도 많이 만지작 거리니까 8장이나 합성을해도 노이즈가 너무 많아 보기 싫습니다....
    Date2005.12.29 CategoryNebula By유종선 Views947
    Read More
  27. 말머리와 안드로메다 은하.

    가평에 관측을 갔엇습니다. 날씨는 끝내주는데 화악산 바로 밑임에도 불구하고 화악산 정상에서 찍은거랑 차이가 엄청 나더군요 하늘상태도 안좋고 찍새도 안좋고 뭐 이래저래 저급한 사진 올려서 죄송합니다.....^^;;; FS-102,EM200,EOS350D(without ir) 필...
    Date2006.01.22 CategoryNebula By최훈옥 Views947
    Read More
  28. ic805....LRGB합성

    위사진:: 지난 20일 토요일 밤에 찍은 L이미지(R645필터사용)를 10월15일 찍은 RGB이미지에 더했습니다. 달이 지기 전이고구름이 계속 왔다갔다 해서 좋지 않은 조건인데 찍히긴 찍히더군요. 6분노출 4장,30분노출 1장 ----총 54분노출, 10D + 200mm F1.8개방...
    Date2004.11.27 CategoryNebula By이윤 Views946
    Read More
  29. 111222_ngc2264

    111222_ngc2264 12월 22일 목요일 밤에 아산에서 촬영한 크리스마스용 입니다. 이날은 밤새 날이 좋아서 간만에 즐거운 마음으로 촬영할 수 있었씁니다. 조진원씨, 임경순씨가 함께 했었씁니다. 동장군이 찾아와서 좀 춥기는 했지만 그래도 날이 맑다는 것으...
    Date2011.12.24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945
    Read More
  30. NGC1333

    제목 : NGC1333 망원경/렌즈 : William Optics WO-STAR71 (D=71mm, f=350mm) 카메라 : QSI683WS (-30도) 마운트 :  다카하시 EM-200 Temma2M 필터 : Astrodon Tru-balance E-series Generation 2 LRGB filter (36mm) 노출정보 :  L-900sec x 10, RG-300sec x ...
    Date2014.10.27 CategoryNebula By장승혁 Views945
    Read More
  31. NGC2282

    12월20일 저녁 천문인 마을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외뿔소 자리에 있는 크기 3' 의 작은 성운입니다. R200SS용 콤마코렉터를 구입하여 콤마수차가 제거되는 것을 확인하고, 처음찍은 대상입니다. R200SS 콤마코렉터는 오리온250과 궁합이 잘맞더군요. 주변부까...
    Date2004.12.22 CategoryNebula By이준화 Views944
    Read More
  32. IC443

    초신성의 잔해 IC443(일명 해파리성운)의 일부분으로, 마치 여름철의 베일성운과 비슷하게 보입니다. 2005년 12월 4일 Astrovil RO GSO12inch, EQ1200GTO, ST-10XME L= 40m (R filter)
    Date2006.02.01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94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