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 IC443 해파리성운 머리

    지난해 11월쯤 저녁에 시간이 나서 좀 찍었던 파일을 처리해 보고 있습니다. 근데, 이것도 걍 테스트차원이라고 하려구요 ㅎㅎ 2013년 12월 01일 덕초현천문인마을 원격천문대 A-RO OGS14.5인치 STX16803 EQ1200GTO RGB 각 10분씩 3장 (2x2)
    Date2014.02.08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035
    Read More
  2. 백조좌 NGC 6888부근..

    ||1어제 달이 휘엉청 떴지만.. TEst shot을 날렸습니다. 한번 합성해 본 김에 올립니다. guidescope으로 가지고 있는 60c에 SKY90용 field flattner를 물려서.. 6303으로 Ha image만.. 결과는 field는 약 280mm정도의 화각인것 같은데요..결정적으로 주변의 ...
    Date2006.05.09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034
    Read More
  3. 오리온 대성운 - 재처리

    토, 일요일 날이 흐린 가운데 배내골에 다녀왔습니다. 세 시간을 헤매서 괜찮은 장소를 찾았습니다. 차만 사면 자주 나갈 수 있을 것 같네요. ㅋㅋㅋ 2시 쯤에 하늘이 걷혔는데 오리온이 이미 기울고 있었고, 나뭇 가지에 걸려서 많이 찍지 못했습니다. Penta...
    Date2005.12.12 CategoryNebula By권기식 Views1033
    Read More
  4. 장미성운

    캐논FD300mm 2.8L (@F4) EQ1200GTO, ST10xme Ha (HaGB) : 100m 15m,15m 2006년 1월 21일 덕초현천문인마을
    Date2006.02.09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033
    Read More
  5. NGC 7635

    광명시내의 엄청난 광해 때문에 자연스러운 LRGB를 찍을 수 없는게 안타깝습니다. 총노출시간은 긴편이지만 각각 5분이라는 짧은 시간때문에 성운기가 많이 죽어있습니다. 커브를 살짝살짝 조정해서 거짓색을 입혀보았습니다. 별색을 살릴 수 없는게 가장 문...
    Date2004.10.05 CategoryNebula By김형석 Views1032
    Read More
  6. M16,M17

    부분일식 전날 운두령에 밤늦게 도착하여 찍은 사진입니다. 원래 촬영계획은 없었고, 안시만 좀 하다가 아침까지 쉬려고 했었는데 바람이 많이 불어서 안시는 포기하고 간단하게 노터치로 돌려봤습니다. 노출시간이 짧고 투명도도 좋지 않아서 노이즈가 많습...
    Date2012.05.27 CategoryNebula By장승혁 Views1032
    Read More
  7. M45 재처리...

    재처리가 대세인듯하여..^^ 저도 이미지 재처리하여 올립니다. 사실 이번 합성은 무림의 고수가 해줬습니다..^^ 컴터 업그레이드까지는 당분간 그쪽 스튜디오를 이용할 생각입니다...~~ 사실 저번 10장은 작업시 모니터가 어두웠던 탓도 있고, 무리하게 성운...
    Date2004.11.10 CategoryNebula By최원균 Views1031
    Read More
  8. My heart ~ in cassiopea / Flaming star nebular in Auriga

    혜성사냥후에.... 천상의 Heart 와 & Flaming star 를 담아보려고 했으나.. SKY 90 with 300D로는 어림도 없습니다. 살짝 찍힌 사진이라. 이미지 처리를 많이 하였습니다. ** 요즘 세계적인 명작을 올리는 분위기에서.. 누가 되지 않을지 모르겠습니다. .. ㅎ...
    Date2005.01.05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031
    Read More
  9. 안타레스주변부...

    정말 간만에 별보러 갔습니다. 2달은 더 된거 같군요. 어제 새벽에 장수에서 찍었는데 봄날치고는 좋은 날이었습니다. 투명도 더 좋은날 다시한번 찍어봐야 겠습니다. 200mm F1.8 + 루미콘딮스카이필터 + nude300d asa800 , 4min 14cut stacked
    Date2005.04.15 CategoryNebula By이윤 Views1030
    Read More
  10. 오리온자리의 버나드루프

    필름스캔하는 중에 나온 사진입니다. 아마 제가 사용한 마지막 E100S인 것 같은데 이로 미루어보아 촬영시기는 2003년 말에서 2004년 초가 될 것 같습니다. 올겨울에는 멋진 버나드루프를 다시 한번 촬열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 싶습니다. 촬영장소: 천문인마...
    Date2005.10.15 CategoryNebula By박대영 Views1030
    Read More
  11. IC405 & 410

    겨울철 한번은 찍어보게 되는 대상입니다. 카메라의 화각과 대상의 방향이 잘 맞지 않아 간신히 두 대상을 넣어 보았는데 주변부 여유가 없으니 답답하네요. 카메라의 구도를 원격으로 바꾸는 로테이터가 해결책인데 가득이나 접안부가 무거워서 엄두가 안납...
    Date2012.01.05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029
    Read More
  12. IC 5146 Cocoon Nebula

    요즈음 호빔 천문대는 날은 좋으나 투명도가 떨어지는 날의 연속입니다. 해발고도 160미터 정도의 고도와 주변이 벼 수확을 하기전이라서 그런지 다른곳에서는 연일 맑고 좋은 하늘을 만났다는 소식이 들려오는 가운데서도 이곳에서는 은하수가 보이지 않네요...
    Date2011.09.27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028
    Read More
  13. M8, M20 부근...은하수...

    Astro350D 메모리카드에 있던 사진을 다운을 안받았었나 봅니다. ㅎㅎ 오랫만에 이미지 처리하려니까... 손떨려서 잘 안되네요. 그래도, 성운 주변의 은하수...별 참 많은 곳입니다. 과감하게? 1/2 resize 했습니다. 삼양 렌즈가 컨트라스트는 좋은 것 같은데...
    Date2012.08.01 CategoryNebula By박영식 Views1028
    Read More
  14. NGC2359

    아래 사진과 같은날 촬영하였습니다. 안시로 볼때 OIII필터의 위력을 잘 보여주는 대상입니다. 다음에는 OIII 필터로 찍어보픈 대상입니다. 2005년 11월 9일 덕초현 천문인마을 GSO12inch, EQ1200GTO, ST-10XME LRGB=40m, 15m, 15m, 15m
    Date2005.11.13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027
    Read More
  15. NGC2237 장미...

    지난 토요일 대전 NGC분들과 장수를 다녀왔습니다. 도착하자마자 훌륭한 관측지에 감탄만 하다가 날씨가 점점 흐려져서, 구름사이로 겨우 몇장 건졌습니다. 합성매수가 많지 않다보니 노이즈와의 전쟁을...가산합성을 많이 하다보니 노이즈가 거시기 하군요. ...
    Date2005.02.14 CategoryNebula By박성준 Views1026
    Read More
  16. M27

    Imaging Date: May 23th, 2012 Imaging Site: Astrovillage,Korea Telescope: ADT Starship RCA400C Mount: Paramount ME Guiding: self guide Imaging Camera: SBIG STL 11000 ( -20C ) Imaging Software: MaxIm4 Exposure: L 300sec X 8(1X1) RGB 300sec X ...
    Date2012.05.26 CategoryNebula By선숙래 Views1026
    Read More
  17. 장미성운

    촬영일: 2006년 1월 7일 00h21m~ 촬영지: 강원도 화천 광덕수련원 망원경: pentax SDUF II(fl=400mm), LPS P2+Fringe killer filter 적도의: 다카하시Temma 2 카메라:canon350D(no nude) 노출정보: iso800 500초x6장 이미지처리: 스텔라이미지합성, Photoshop...
    Date2006.01.08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025
    Read More
  18. 코쿤성운

    Canon FD 400mm 1:2.8L (F5) SBIG ST-2000xm (-25도) LRGB = 65m 5m 5m 5m 맥심 -> 스텔라이미지 -> 포토샵 -> 니트이미지 -> 포토샵
    Date2005.05.04 CategoryNebula By김승남 Views1024
    Read More
  19. IC1396

    제목 : IC1396 망원경/렌즈 : William Optics WO-STAR71 (전면 65mm masking, D=68mm, f=350mm) 카메라 : Canon 6D (CentralDS 적외선필터 개조) 마운트 : 다카하시 P2 노출정보 : 2분 X 87 (ISO3200) 촬영장소 : 수피령 촬영일시 : 2014년 10월 27일 20 57분...
    Date2014.11.03 CategoryNebula By장승혁 Views1024
    Read More
  20. IC1805

    역시 흐른것을 버리기 아까워 함 합성해보았습니다. TOA 130S with Nude 20D ISO1600 5min 3장 합성.후 뽀샵... 카시오페아 밑의 heart 의 일부입니다만.. 잘안보이네요.. ㅎㅎ
    Date2005.10.07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023
    Read More
  21. NGC7000 - North America Nebula

    -NADA 제1천문대 -Canon FD 300mm F2.8 -> F4 -NJP Temma2 -ST-10XME w/ CFW-8A(-20) -Hα : 1800sec(1X1) X 4 -L : 300sec(1X1) X 9 -RGB : 300sec ea(2X2) X 3 -2006. 9. 24 Hα와 L 이미지를 섞어 최종 L이미지로 사용하였는데... Hα 이미지는 별상이 작고 L...
    Date2006.10.11 CategoryNebula By김일순 Views1023
    Read More
  22. Orion test

    ||12012. 10.18일 TOA의 Flattener와 6303 CCD의 거리를 좀 조정하고 UHC-S filter를 장착하여 찍어보았습니다. 장착할데가 마땅치 않아 Flattner 앞쪽에 설치를 하였더니 G와 Blue가 밝은별이 있으면 위아래로 둥그런 Ghost ? 를 남기네요.. UHC-s 색감을 볼...
    Date2012.11.23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023
    Read More
  23. M42 부근...

    충북음성에서... 2004. Dec. 18~19. Canon 10D, iso800, 180s, 100s Pentax SDUF(400mm), AP1200QMD . 180초짜리와 100초짜리 찍어서 달랑 두장 합성... 처음으로 DSLR로 오라이언 성운을 찍어봤습니다... 재밌네요... 3분노출에 요놈들이 나온다는 것이... ^...
    Date2004.12.20 CategoryNebula By박영식 Views1022
    Read More
  24. Gamma Cygni

    적도의 바꾸고 그동안 마구 헤메다가 그나마 가이드 된 사진 입니다. 원본의 사진도 별 수는 없지만 LPS 필터 때문인지, 필름이 유효기간이 살짝 넘은 이유인지, 아니면 제가 포토샵에 너무 무지몽매해서 인지 제가 아는 매뉴얼에서의 포토샵은 여기가 한계 ...
    Date2005.12.21 CategoryNebula By지승용 Views1022
    Read More
  25. Seagul Nebula_051228

    같은 날 촬영한 갈매기성운입니다. 말머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둡고 넓은 영역에 퍼져있는 붉은색 성운은 어찌 나올지 궁금했습니다. 짧은 노출로도 성운기는 표현되었으나 풍부하지는 않았습니다. -------------------------------------------------------...
    Date2005.12.30 CategoryNebula By박대영 Views1022
    Read More
  26. [ST-2000XM] NGC 2264

    SBIG ST-2000XM (-35도) nFD 400mm 1:2.8L (f/5.6) L (1x1) = 10m x 6 RGB (2x2) = 각 5m x 3
    Date2005.01.11 CategoryNebula By김승남 Views1021
    Read More
  27. ngc6992(베일)

    Object:NGC6992(동베일성운) Date: 2012.7.25 Telescope: TEC140(WO4 Reducer & LPS-P2필터장착) f5.4 Mount: EM200 Temma2 Camera: QSI583WS Exposure:Ha(600s*6장) RGB(400s*3장) Guiding: 80mm 빅센/DSI2mono Location: 경기도 양평군 벗고개 정말 오랜만...
    Date2012.07.28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021
    Read More
  28. [ST-2000XM] IC 434 RRGB

    FD 400mm 1:2.8L (F5.6) ST-2000XM (-35도, -20도) RRGB RGB = 270m 70m 70m (all 1x1) 올초에 찍었던 것과 저번달에 찍었떤 것, 어제 찍은 것까지 다 합쳐보았습니다....만 역시나 들인 공에 비해 맘에 들지 않네요.
    Date2005.11.10 CategoryNebula By김승남 Views1018
    Read More
  29. 060427_m17

    2006년 4월 28일 새벽에 안산 일대학에서 촬영한 m17 입니다. 동남쪽 아래쪽에 위치한 관계로 지역적 특성과 박무와 이슬 등으로 인하여 좋은 이미지는 아닙니다. 안산에서는 항상 테스트 밖에는 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인터넷이 1주일 가량 불통이 되는 바...
    Date2006.05.03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018
    Read More
  30. NGC7635_Bubble

    지난주 일요일 새벽이 찍은 사진 이제서야 올립니다. 냉각 CCD에 비해 디테일이 많이 떨어집니다. 빨리 돈벌어 냉각 CCD 사야 하는데... 12인치 F4, Coma Corrector, LPSP2, NJP TEMMA PC 20D, 1.4X Convertor(FL 1680mm) ISO1600, 4분30초 12장 Maxim 합성 ...
    Date2004.11.14 CategoryNebula By조창우 Views1017
    Read More
  31. California nebula_051203

    처음으로 다크처리를 한 이미지입니다. 그동안 다크처리의 어려움으로 다크없이 작업했는데 오늘 시험삼아 해봤습니다. 촬영당시의 온도차로 말미암아 완전한 다크처리는 되지 않았지만 어느정도는 효과가 있었던 것 같습니다. . - Date: 05-12-03 - Site: Ga...
    Date2005.12.05 CategoryNebula By박대영 Views1016
    Read More
  32. 저물어가는 나무

    ||1저물어가는 크리스마스 트리를 한번 겨누어 보았습니다. 구석구석 멋진 성운인데.. 올해도 Ha image만 한번 얻어보고 끝나는군요. 흑. Epsilon with 6303 . Ha . 1x1, 600sec x 8. Half resize. 모두 똑같은 setting입니다.
    Date2006.03.06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01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