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 060902_M27

    이게 몇번째 M27인지 모르겠습니다만... 안산에서 토요일 같은 밤 하늘의 조건이라면 선택의 여지가 별로 없습니다. 하늘은 조금 짙은 박무로 인하여 여름철 대삼각형도 잘 보이지 않을 정도였으니까요... 하지만 ccd의 힘은 대단 하더군요. 그 하늘에서도 성...
    Date2006.09.04 CategoryNebula By최승용 Views1163
    Read More
  2. 오리온 칼 부분

    매년 찍어주고 있는 오리온 대성운 부분을 올해도 역시나 찍어봤습니다. 2011년말~12년초 겨울 : http://www.nightsky.kr/xe/2568 2010년말~11년초 겨울 : http://www.nightsky.kr/xe/1787 2009년말~10년초 겨울 : http://www.nightsky.kr/xe/1332 2007년말~0...
    Date2013.02.12 CategoryNebula By김광욱 Views1163
    Read More
  3. 안타레스 주변부

    지난 10일새벽에 장수에서 찍었습니다. 아래쪽도 찍었는데 구름이 오락가락 하는 바람에 쓸수없게 되어버렸네요. 200mm F1.8 L 렌즈 +nude300D asa800, F1.8개방조리개, 4분 x 15매모자익 다음번 전갈 전체찍으면 그땐 잘 짜집기 하기로 하고 치명적인 잘못이...
    Date2005.05.12 CategoryNebula By이윤 Views1162
    Read More
  4. IC 1396

    토요일..강릉에 친구를 만나고 돌아오는길, 천문인 마을에 들려 한컷 찍고 왔습니다. 날씨가 좋아보였는데 밤에는 구름이 오락가락하고 새벽에는 아에 구름이 하늘을 막아버렸습니다. T.T 바람도 아주 세차게 불더군요 장비: FD 300 2.8L EM-100 non가이드 촬...
    Date2007.08.12 CategoryNebula By변성식 Views1161
    Read More
  5. Bubble Nebula & M52 부근 영역

    ||1오랜만에 별 빛 맑은 청태산 자연휴양림에서 행복했던 시간이었습니다. 새벽 두시반 지나면서 달이 떠서 RGB 채널이 조금 부족한 듯하게 나왔지만, 별하늘아래 하룻밤을 지새우고 하늘을 보고 누워 여명의 하늘을 맞이한 이후에 아직도 별빛에 취한듯 이쁘...
    Date2011.09.25 CategoryNebula By공준호 Views1160
    Read More
  6. NGC1499 (캘리포니아성운)

    밤하늘에는 동식물이나 지명 이름을 붙인 DSO (Deepsky Objects) 들이 많이 있지요   이 성운은 미국의 구석탱이에 붙어 있는 캘리포니아주의 모습과 비슷하다고 해서 캘리포니아 성운으로 불리우는 녀석 입니다.   누가 이름 붙였는지.....
    Date2011.09.29 CategoryNebula By김광욱 Views1160
    Read More
  7. IC434 말머리성운

    2011년 10월 29일밤 몽골리아 존모드 모닝캄300 적도의 + 다카하시 FSQ 85 망원경 + QSI583 카메라 + 가이느 QSY5 (최승용님 지원) L 600초 9장 RGB 300초씩 각 3장 Ha 600초 1장 (총 노출 8700초 -145분) CCD 영하 30도 냉각
    Date2011.11.21 CategoryNebula By조진원 Views1160
    Read More
  8. 장미의 부분

    최소한 4장을 찍어야 할 화각인것 같습니다. 노이즈리덕션을 하지 않았습니다. 일시 : 2004.11.21. 02:~ 촬영장비 : BRC250. EQ900.보그76 ST4가이드.캐논 20D 감도 :800 합성매수 :6분x14장
    Date2004.11.22 CategoryNebula By김시태 Views1159
    Read More
  9. Network Nebula maped Color test ^^;;

    어제는 정말 좋은 날씨였지요?^^ 광명시에서도 달만 없었다면 은하수가 꽤나 잘 보였을 것 같았습니다. 아직 S2필터가 없어서 Ha와 O3필터만 가지고 찍어보았습니다. 역시나 가이드에 문제가 있었는데, 이제는 문제가 뭔지 알아냈습니다. ^^!! 다음에는 좀 나...
    Date2004.10.03 CategoryNebula By김형석 Views1158
    Read More
  10. NGC 2174 Monkey Nebula

    손오공입니다. 이미지 처리를 약간 달리했는데 색정보의 거친 느낌을 깔끔히 마무리 할 수 있었습니다. 늘 크로즈업만 찍다가 이렇듯 넓은 사진 찍으면 속이 후련해 집니다. Canon FD 300 2.8L (전면 75mm Masking F 4.1) ST-10XE w/ CFW-10(-40) Ha : 600sec...
    Date2006.01.12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158
    Read More
  11. 베일성운입니다.

    간밤에 잠깐 날씨가 좋았었습니다. 천문대 아르바이트 좋은점은 순간포착이 가능하다는 겁니당..헤헤헤..^^ 그런데,다 좋았는데 그만 NR을 안하고 말았습니다..ㅠㅠ 어쩐지 셔터가 빨리빨리 넘어가드라니........ 흑흑..베일하곤 영 인연이 없네요 FS102(F 5....
    Date2006.07.31 CategoryNebula By최훈옥 Views1158
    Read More
  12. 날씨는 좋았는데....

    초점이 살짝 나가버렸어요.. 별상에 신경쓰다보니 초점이 미흡했네요 그렇다고 별상이 나아지는것도 아닌데... 그냥 좀더 열심히 하라는 의미인것 같습니다 그나저나 하늘이 너무 좋았습니다 2007. 6. 16 강원도 화천군 별만세 제1관측소 EM200 R200 EOS350D ...
    Date2007.06.17 CategoryNebula By최훈옥 Views1158
    Read More
  13. NGC 7000

    FD 400mm 1:2.8L (F5) ST-2000XM (-25도 ~ 30도) EM-200Temmar 2 R이미지 13장 모자이크 급한대로 처리해보았습니다. 천천히 시간을 가지고 빵빵한 컴퓨터로 세밀히 작업을 해야겠지요^^;;
    Date2005.05.13 CategoryNebula By김승남 Views1157
    Read More
  14. 때늦은 Heart IC1805

    ||13월 3일 겨울철 별자리가 모두지고 나서 봄철의 은하밭이 풍성할때.. FL 500mm 인 Epsilon으로 은하를 찍을까?? 뭘 할까 하다가.. 평소에 잘 쳐다보지 않던 북극성 아래 북녁을 보니.. 아직도 카시오페아가 빵끗 웃고 있더군요.. 음... 저거야,, 20D로 항...
    Date2006.03.11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157
    Read More
  15. IC1318

    IC1318은 백조자리 중앙 별인 감마성 근처에 퍼져있는 엷은 성운입니다. 모양이 나비를 닮아 버러플라이~ 라는 애칭을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이번 출사에서는 간만에 5인치 굴절을 이용해서 넓은 영역을 디테일하게 찍어 보고 싶었습니다. AP130EDF, EQ1200G...
    Date2006.09.27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157
    Read More
  16. ngc1977(050115)

    2005.01.15. BRC250. 20D. 5분x22장 합성 카메라 청소후 시험으로 찍었습니다. 도우넛츠모양의 현상은 먼지가 있었던것 같습니다. 청소한후에는 사라졌습니다. 수시로 청소를 해야 할것같습니다.
    Date2005.01.17 CategoryNebula By김시태 Views1154
    Read More
  17. 날이 개었었어요.

    EM200/FS102/EOS350D/리듀서 ISO 800 x 5min x 6장 합성 2006.8.21 구름이 들락날락 하긴 했지만 하늘은 참 좋았습니다. 고창균님,신범영 님과 함께 하였습니다
    Date2006.08.22 CategoryNebula By최훈옥 Views1153
    Read More
  18. M17

    11.5인치 F5.2 뉴톤 경통 (GS-Optic 12인치 돕소니언) 텔레뷰 파라코어 ST-10XME, EQ1200 LRGB: 25min, 20min, 10min, 10min 2005년 3월 18일 천문인마을 이번 18일 사진은 아직 이른 감이 있었습니다. 이제 4월이면 여름철 성운들을 촬영할 수 있는 좋은 달...
    Date2005.03.31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152
    Read More
  19. M27

    2004년 4월 27일, 천문인 마을 다카하시 FS102 (D=102mm, f=820mm, F:8) 다카하시 EM200 SBIG ST-2000 XCM, 300sec x 3, self guide 1/2 resize 후 crop 비온후 개인날 밤이라, 습기가 많아서 인지 사진은 별로입니다. 다른 날 90초 노터치로 찍은 것보다 별...
    Date2004.04.29 CategoryNebula By김영렬 Views1151
    Read More
  20. IC443

    쌍둥이 자리에 있는 대상입니다. 밝은 별 때문에 불루밍이 생기는 관계로 꺼려지는 대상이지만 도전해 보았습니다. 입실론을 써 본 바로는 이 촛점거리 근처에서는 최고의 사진용 망원경이 아닐까 합니다. 다시한번 최 형주님께 감사드립니다. . Takahashi e-...
    Date2004.12.19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151
    Read More
  21. 오리온대성운-안산버젼

    얼마전에 안산시내에 있는 정왕초등학교에서 촬영해본 오리온 대성운입니다. 경위대식 포크마운트 미드 14인치-gps UHTC LX200, 0.67 AP 리듀서 사용 ST10XME, RGB 10초 7장 합성 (2x2 binning), -35c 노터치 가이드 물론 경위대식이기에 필드 회전이 있지만 ...
    Date2005.01.05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151
    Read More
  22. 나도 초생달성운(NGC6888)

    . Object: NGC6888 . Exposure: L: 600sec x 3, RGB: 600sec x 1 Processing: Enhanced in Stellar image 4 Telescope system: Tak. FS152, f:1200mm and 2000XM cooled CCD camera Mount: Tak. NJP Guiding: Auto guide Location: KOREA Date: 8/10/2004 KST...
    Date2004.09.12 CategoryNebula By박병우 Views1150
    Read More
  23. 말머리 성운

    2004년 10월 8일, 충청남도 성거산 다카하시 FS102 (D=102mm, f=820mm, Reducer F:6) 다카하시 EM200, SBIG ST-2000 XCM, 300 sec x 3, 1/2 resize 말머리의 연속이군요. 계속 올라오는 말머리에 자극 받아 처리를 조금 급히 해보았습니다.
    Date2004.10.14 CategoryNebula By김영렬 Views1150
    Read More
  24. Object: NGC7293

    Object: NGC7293 . (윗 사진) Exposure: L6 RGB2: ALL 600sec Processing: Enhanced in Stellar image 4 Telescope system: Tak. FS152 f:1200mm and 2000XM cooled CCD camera Mount: Tak. NJP Guiding: Auto guide Location: KOREA Date: 10/10/2004 KST . ...
    Date2004.10.13 CategoryNebula By박병우 Views1149
    Read More
  25. NGC6992

    늘 마음 놓고 찍어 본적 없는 대상입니다. 이번에도 실패인 셈인데 아마도 내년에는 기변해서 도전해 볼까 합니다. 라지 포맷으로 말이죠. 300미리라 해도 아쉬움이 남는 화각이죠... 늘 아쉬움 뿐인 베일을 내년 봄에는 확실히 찍어 볼 예정입니다. 노출이 ...
    Date2006.11.03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148
    Read More
  26. 다시 처리해 본 해파리성운(IC443)

    플랫을 찍어와서 새로 처리를 해보았습니다. 전보다 물론 처리하기가 수월해졌습니다만, 왼쪽 중간과 오른쪽 아래에 앰프열에 의한 열화 노이즈를 완전히 빼지 못해 사진을 crop하고 말았습니다. 설은 잘 쇠고 계십니까?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좋은 사진 듬...
    Date2007.02.18 CategoryNebula By김상욱 Views1148
    Read More
  27. 캘리포니아와 플레이아데스

    ||1캘리포니아와 플레이아데스 .. 항상 같이 찍어보고 싶었습니다. . 하지만.. 역시 따로 크게찍어서 모자익하는게 정답인것 같습니다. 펜탁스 90mm F2.8 -> 5.6 . FLI 16803 Crop . half resize L 1200x3 RGB 1x1 900s x3
    Date2011.11.26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1147
    Read More
  28. M78

    2005년 11월 9일 덕초현천문인마을 GSO12inch, EQ1200GTO, ST-10XME LRGB=40m, 15m, 15m, 5m 몇일 되었지만 이제 시간이 나서 처리해보았습니다. 이날은 평일이지만 날이 좋을 것 같아 11K로 안드로메다 촬영하러 덕초현에 다녀온 날입니다. 갑자기 구름이 와...
    Date2005.11.13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146
    Read More
  29. M17, 고니성운(Swan nebula)

    평소와 달리 노출을 5분으로 줄여 주고 찍었더니 오른쪽 아래 앰프열 노이즈가 좀 줄어들어서 보기가 좋네요. 두 번째 대상으로 NGC6888을 선택해서 2시간 짜리 노출 걸어 놓고 천문인마을에서 조화백님과 와인과 소주를 곁들여 화백님의 지난 인생 이야기 들...
    Date2007.06.10 CategoryNebula By김상욱 Views1146
    Read More
  30. M52 & NGC 7635

    Ha 영상을 찍은 M52와 NGC 7635입니다. 시상이 좋지 않아 예리한 맛은 떨어집니다. - 촬영일: 2011.9. 1, 6, 22 - 망원경: APM 80/500 w/0.8x reducer(Fl=400mm) - 카메라: FLI ML-8300M w/Astrodon LRGB filter @-35C - 마운트: Vixen Atlux - 가이더: Canon...
    Date2011.11.12 CategoryNebula By박대영 Views1146
    Read More
  31. 펠리칸 성운의 부분 - HX916테스트

    날이 좋아서 새로 구한 HX916카메라를 테스트 해 보았습니다. USB라 편하고 무엇보다도 ST-7보다 가볍고 해상도가 높아서 좋네요. ST-4를 잘 못다뤄서 노터치로 100초씩 찍을 수 밖에 없었습니다. 100초도 흐르네요. ㅋ Orion 8" Em200 tmjr HX916 Ha 100초 1...
    Date2004.09.10 CategoryNebula By김형석 Views1145
    Read More
  32. 베일성운 (아직도 어색한 경통)

    R200과 조금 친해지는 시간이었습니다 그간 코마코렉터의 렌즈가 거꾸로 박혀있어서 별상이 개판되었는데 이를 설계도면보고 수정했구요 반면에 광축조정하는 나사 하나가 광축조정중에 망가져서 광축을 100%못맞췄습니다 결정적으로 사진찍는 도중에 화각돌...
    Date2007.06.16 CategoryNebula By최훈옥 Views114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