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1. NGC2237(Rosette Nebula) in Monoceros

    바람때문에 반사경통으로 가이드하기가 어려운 날이 많아져서 FSQ106으로 경통을 바꾸었습니다. 1년 만에 올리는 경통이라 다시 익숙해지려면 약간의 시간이 필요할것 같습니다. 지난 12월2일 결혼19주년 밤, 아내를 위하여 세상에서 가장 큰 장미 한송이를 ...
    Date2008.12.08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491
    Read More
  2. NGC2237 장미성운

    Epsilon 160 / EM200 TEMMA 2 / 300D 4min 18장 / ISO 1600 2004년 11월 13일 덕초현 30장 정도를 생각하고 있었는데 흐른거 빼고나니 18장. 생각처럼 잘 되지 않네요.
    Date2004.11.18 CategoryNebula By김일순 Views1237
    Read More
  3. NGC2237 장미성운

    장미성운 입니다. 3월 10일 NADA1 천문대에서 혼자 여유롭게 사진촬영했습니다. 빨리 김일순 선생님 만나서 이미지 처리 한 수 지도 받아야 되는데, 자주 가지를 못하고 있습니다. 촬영대상 : NGC2237 장미성운 촬영일시 : 2007년 3월 10일 촬영장소 : 덕초현...
    Date2007.03.19 CategoryNebula By지승용 Views1574
    Read More
  4. ngc2237 장미성운

    광해때문에 원래 계획된 대상은 찍다가 포기하고 올해도 또 장미 한송이 꺽게 되었습니다. 좀 식상하겠지만, 그래도 개인적으론 광시야 ha로 처음 찍어보게 되었습니다. 칼라를 입히지 못한게 아쉬움으로 남습니다. 2009. 12. 17 용호동 방파제 telescope : n...
    Date2009.12.18 CategoryNebula By조영현 Views1631
    Read More
  5. ngc2237 장미성운

    2011. 10. 26 새벽 경남 의령 한우산 FD300mm 2.8L(@f2.8) GPD-ss2kpc astro 400D / iso1600 Ha(Baader 7nm) : 10m×9 RGB(LPS-P2) : 5m×16 80S / DSI / Maxim 가이드 바람이 너무 불어서 별들이 전부 엉망이 되어버렸습니다. 다음에 다시 찍어야겠습니다.
    Date2011.10.30 CategoryNebula By조영현 Views1086
    Read More
  6. ngc2237 장미성운

    2013. 12. 3 의령 한우산 OK목장 Canon FD300mm 2.8L EM200-ss2kpc Astro 50D S2 : iso1600 / 10m×10 Ha : iso1600 / 8m×16 O3 : iso1600 / 10m×8 밤새 미세먼지 많이 마셨더니 목이 칼칼합니다.
    Date2013.12.04 CategoryNebula By조영현 Views924
    Read More
  7. NGC2237 장미...

    지난 토요일 대전 NGC분들과 장수를 다녀왔습니다. 도착하자마자 훌륭한 관측지에 감탄만 하다가 날씨가 점점 흐려져서, 구름사이로 겨우 몇장 건졌습니다. 합성매수가 많지 않다보니 노이즈와의 전쟁을...가산합성을 많이 하다보니 노이즈가 거시기 하군요. ...
    Date2005.02.14 CategoryNebula By박성준 Views1026
    Read More
  8. NGC2237 장미 한송이

    빠알간 ... 2탄. 장미.. 촛점이 나가서.. ㅠㅠ AF 300mm 2.8 ( F 4) ISO 800 5min x 8
    Date2005.10.11 CategoryNebula By신병석 Views983
    Read More
  9. NGC2237 Rosette Nebula - Mapped Color

    ST 10XE의 네로우 밴드 필터로 색정보를 얻어 11K의 Ha 이미지와 HaSiiHaOiii 한 것을 가지고 11K의 것의 화각안에 넣어 보았습니다. 10XE의 화각이 훨씬 작아 어려운 작업이기는 하지만 나름 기대하는 정도의 사진은 나오는 것 같습니다. 결국 총 11시간 노...
    Date2008.12.14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831
    Read More
  10. NGC2237 Rosette Nebula

    구름피해 찍느라고 GB를 연속으로 찍지 못해 HaHaGB합성 할때 결국 약간 잘려나가고 말았네요. 60미리 당상처럼 써 먹고 있습니다. 그만큼 넓은 시야에 굶주려 있었나 봅니다. 정말 장미빛처럼 내고 싶어 애를 썼는데 와인색이 잘 안나오네요..^^ FS-60c w/ S...
    Date2005.10.17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503
    Read More
  11. NGC2237 Rosette Nebula

    이번 출사에서는 300mm FD를 테스트하는 목적도 있었습니다. 어뎁터를 잘못 제작한 결과로 만족스러운 위치에 두고 찍을수는 없었으나 대단한 성능을 보여 주었습니다. 색수차는 거의 없고 주변까지 샤프하고 동그란 성상.. 11000을 강문기 교수님으로부터 빌...
    Date2006.01.11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172
    Read More
  12. ngc2237 Rosette Nebula

    지난 월령에는 좋은 날이 많이 있었습니다. 날이 맑으면 어김없이 천문대에 가서 사진을 찍고는 하는데 장비의 세트가 많아서인지 늘 머리속이 멍해지곤 합니다. 더우기 별지기와 함께라면 그 즐거움에 귀차니즘이 발동을 하기도 합니다. 예전 나다천문대에서...
    Date2008.12.10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776
    Read More
  13. NGC2237 Rosette Nebula

    철지난 이미지로 오랜만에 포스팅합니다. 별만세 관측소의 유일한 광해원이 남서쪽의 포천인데 그 광해지역을 유유히(?) 흐르는 장미를 잡아보았습니다. 지난 해엔 원체 몸이 바쁜지라 사진이라곤 찍어본게 없었는데, 올해 좀 자유로워지면서 망원경 손 좀 봤...
    Date2011.03.24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648
    Read More
  14. NGC2237 Rosetta Nebula - Canon 20D

    외뿔소 자리에 있는 대상인데 성단과 함꼐 있고 시직경 또한 크며 아름다운 대상입니다. 그 아름다운 정도 만큼 사진을 찍어내기가 쉽지가 않네요.. 역시 덕초현에서 찍은 20D 마지막 사진입니다. 초저녁 안드로메다 은하를 찍을때 촛점을 맞추어 놓고 계속 ...
    Date2004.10.27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414
    Read More
  15. NGC2237 - Rosette Nebula

    -NADA 제1천문대 -Canon FD 300mm F2.8 -> F4 -NJP Temma2 -ST-10XME w/ CFW-8A(-30) -Hα : 1200sec(1X1) X 4 -RGB : 600sec ea(1X1) X 4 -2006. 11. 15 장미 한송이 꺾었습니다. ^^; 이미지를 다시 처리할 때 Hα만을 L로 사용하려했는데 Hα 이미지 파일이 이...
    Date2006.12.11 CategoryNebula By김일순 Views1314
    Read More
  16. NGC2237

    나다 천문대에서 2월 4일에 찍은 사진입니다. 예전 부터 찍어 보고 싶었던 사진이었는데 하늘이 좋지 않아 사실 100프로 만족스러운 사진은 아닙니다만 소원은 풀었습니다. 이미지 처리도 쉽지 않아 애를 먹었습니다. HO-BYM 292FN AP EQ1200 ST-10XE w/ CFW-...
    Date2005.02.09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1121
    Read More
  17. ngc2237

    [촬영정보] Pentax 125SDP (+ reducer, F4.9) NJP Temma pc + STV autoguide Canon EOS 5D (w/o LPF, w/lps-p2) 2006-11-18 경상북도 소백산 언저리, 문드래미산장 ISO 1000, 8min * 13장 (darkflat 4장, 총 17장, 136min) darkflat처리, 맥심에서 average합...
    Date2006.11.19 CategoryNebula By고창균 Views1249
    Read More
  18. NGC2237

    * Camera : SBIG ST-2000XM + CFW9 / Astrodon Filter set * Telescope : Canon nFD300mm(f2.8 / @f4.0) * Mount : Takahash EM200 Temma2 jr. * Exposure : Ha=1200s×8(1*1), RGB = 각 600s×4(1*1) * Date : 2008. 11. 29 ~ * Location : 의령군 자굴산 쇠목...
    Date2008.12.04 CategoryNebula By전승표 Views1470
    Read More
  19. ngc2237

    Date: 2010.02.20 Telescope: TMB130SS/WO RF4 Mount: EM200 Temma2 Camera: QSI583WS Exposure: HaRGB=600초x8장:RGB=300초x3장 Guiding: 66mm ED/DSI(main relay) Location: 홍천군 두촌면 출발하기 전 기상청 예보는 좋지않았지만 강원도 날씨는 기상청예...
    Date2010.02.21 CategoryNebula By전영준 Views1993
    Read More
  20. NGC2237

    망원경 : PENTAX 125SDP 800mm F6.4 + Reducer(x0.77) = 616mm F4.9 적도의 : EM-200 Temma2 카메라 : SBIG ST-10XE 가이드 : Self Guide in main CCD (-9'c) 촬영정보 : Ha 1200*9 / Dark처리 처리정보:MaXimDL(Digital Developement), PhotoShop CS5 Portab...
    Date2010.09.25 CategoryNebula By김정식 Views1645
    Read More
  21. NGC2237

    자그마한 적도의 CRUX 170HD에 버틸테면 버텨봐 하고 5인치 굴절에 3키로가 넘는 CCD를 달고는 촬영을 했습니다. 이미 광해가 많은 지역이지만 고도가 높을 때는 아직은 찍을만 합니다. 오랜만에 디지털 현상을 하려니 쉽지가 않습니다. 특히 이 장미성운의 붉...
    Date2017.02.28 CategoryNebula By황인준 Views326
    Read More
  22. NGC2207

    큰개자리에 있는 성운입니다. 2006년 2월 17일 덕초현 천문인마을 원격관측소 GSO12inch, Eq1200GTO, ST10XME LRGB=30m, 10m,10m,10m
    Date2006.05.05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879
    Read More
  23. NGC2175(손오공)

      제목:NGC2175망원경/랜즈 : TEC140 (FS60C ASI224MC Guiding) 카메라: STX 16803-25마운트: Paramount MX+ GEM 촬영정보 :Ha 300(1*1)10장.L:180(1*1)30장. RGB:180(1*1)각20장 RGB:180(1*1)20장장소 : 수비관측소(RO)촬영일시 : 2022-10-19일 촬영후기:성운...
    Date2022.10.29 CategoryNebula By김삼진 Views64
    Read More
  24. NGC2174_monkey nebula & NGC2175_open cluster

    맑은 날씨와 비례해서 강한 바람과 추위가 몰아쳤던 밤이었습니다.. 템마케이블의 오류로 수동 고투의 고통과 가이드의 오류가 있었음에도.. 그래도 간만에 출사가 속이 시원했습니다.. 템마 드라이버 오류인 것으로 잘못 생각하고 관측지에서 추위속에서 컴...
    Date2010.12.09 CategoryNebula By조용현 Views1678
    Read More
  25. NGC2174_20041212

    원숭이 성운인데... 정식 명칭이 원숭이 인지가 궁금 합니다... 지난 12월 12일 찍은 24장 사진중 간신히 16장을 건질수 있었던 사진 입니다. 앞서 찍었던 M45는 무려 30장 정도를 통채로 날려 버려서... 나중에 또 찍으면 되지 하지만 자꾸 미련이 남습니다....
    Date2004.12.26 CategoryNebula By조창우 Views1103
    Read More
  26. NGC2174/5, IC443, M35

    3가지 대상을 한 화각에 담아보았습니다. 촬영 일시 : 2010.11.02, 0시 54분 ~ 3시 04분 촬영 장소 : 수피령 기온 : -1~3도 렌즈 : Sigma APO MACRO 150mm F2.8 EX DG HSM (F3.2) 카메라 : Canon 50D (적외선필터 개조) 마운트 : 다카하시 EM-10B 가이드 : 노...
    Date2010.11.05 CategoryNebula By장승혁 Views1673
    Read More
  27. NGC2174... 윙크하는 성원숭...

    ||1역시 양동면 임도에서 26~27일에 찍은 이미지입니다. 촬영도중 뱃더리가 방전되는 바람에 이미지를 찍다가 멈췄습니다..약간 아쉽네요 성원숭은 디지몬에서 나오는 원숭이 캐릭터 중 하나입니다.. [2008.12.26~27] 양평군 양동면 임도.. - Newtonian 10inc...
    Date2008.12.28 CategoryNebula By조용현 Views1486
    Read More
  28. NGC2174, Monkey Nebula

    쌍동이자리 발밑에 있는 원숭이얼굴을 닮은 성운입니다. 자세히 보면 히죽 웃고 있는 원숭이(손오공)의 옆모양과 흡사합니다.^^ 구름이 가끔씩 지나가는 상황이어서 찍은 사진 중 상태가 좀나은 것을 골라 합성했지만 전체적으로 디테일도 떨어지고 색상도 푸...
    Date2006.12.31 CategoryNebula By신범영 Views1213
    Read More
  29. NGC2174 원숭이성운

    2006년 2월 4일 덕초현천문인마을에서 AP-130EDF, EQ1200GTO, ST10XME HaRGB:= 90m, 15m, 15m, 15m
    Date2006.02.24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080
    Read More
  30. NGC2174 원숭이 성운

    보이는 모습이 원숭이를 닮아 Monkey Nebula 라는 애칭이 붙여진 성운입니다. 오리온 자리와 쌍둥이 자리의 경계 부근으로 겨울철 은하수가 흐르는 곳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2004. 10. 09 양평 L 5min x 4 + Ha20min x 1 RGB 5min x 2 Vixen FL70s @ F6 EM200...
    Date2004.10.18 CategoryNebula By이건호 Views1187
    Read More
  31. NGC2174 원숭이

    2007. 11.12 궁평리 FD500mm F4.5 5D w/ LPS-P2 w/o LPF ISO1600 6minx4 EM11T2j 70s w/ToUCam autoguide 25% resize 가이드를 완전히 실패해습니다. 별이 숭구리 당당~~~ 차라리 notouch로 찍을 걸..... 구름도 주~~욱 흘렀고요~~ 크게 기대하지 않아서 실망...
    Date2007.11.13 CategoryNebula By이상헌 Views1350
    Read More
  32. ngc2174 원숭이

    2013. 11. 8 의령 한우산 OK목장 Canon FD300mm 2.8L EM200-ss2kpc Astro50D S2 : iso3200 / 600*8 Ha : iso3200 / 600*6 O3 : iso1600 / 600*8 O3와 S2를 다 찍고 Ha를 16장 걸어놓고 차에서 잤더랬습니다. 새벽 5시에 일어나보니 하늘엔 구름이 잔뜩 깔려있...
    Date2013.11.09 CategoryNebula By조영현 Views67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 84 Next
/ 84



NADA. Network of Amatuer Digital Astrography © Since 2003, All Rights Reserved

Design ver 2.0 / Google Chrome 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